당산나무

한국무속신앙사전
당산나무
[마을](/topic/마을) 지킴이로서 신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 모셔지는 신격화된 나무.
definition
[마을](/topic/마을) 지킴이로서 신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 모셔지는 신격화된 나무.
mp3Cnt
0
wkorname
김열규
정의[마을](/topic/마을) 지킴이로서 신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 모셔지는 신격화된 나무.
정의[마을](/topic/마을) 지킴이로서 신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 모셔지는 신격화된 나무.
[[Dangsan](/topic/Montaña,EspírituProtectordelPueblo)](/topic/Dangsan)namu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 árbol adorado como un guardián del pueblo.

El dangsannamu es adorado como un árbol divino, o una deidad tutelar que se encarna en un árbol. Este árbol deificado está ubicado generalmente en un santuario de la aldea, pero a veces, éste mismo sirve como un santuario. Más aun, se considera a menudo como el centro de la veneración comunal, el árbol divino llamado sinmok que es el eje central de la comunidad. El santuario de la deidad del pueblo llamado dangsan se percibe como un espacio sagrado entre el cielo y la tierra, un altar donde los rituales se realizan para atender a los dioses que hayan descendido a la tierra. El dansanmanu está en el centro de dicho espacio.

En la mitología del fundador del primer reino en la península coreana, [[Dangun](/topic/Dangun,FundadordeGojoseon)](/topic/Dangun), se encuentra un árbol divino llamado sindansu, que sirve como un dangsannamu. En el mito, el padre de Dangun, Hwanung, que desciende al sindansu, que, efectivamente, es un “árbol cósmico”, o “un árbol del mundo” que conecta el cielo con la tierra. El sindansu está plantado en medio de un altar donde los rituales se llevan a cabo para dar la bienvenida al dios celestial. Por otra parte, se puede decir que el sindansu es un eje vertical, un poste que conecta el cielo con la tierra; sirve también como una columna ubicada en el centro de las cuatro direcciones, frontal, posterior, izquierda derecha. En fin, es el punto donde se encuentra la evidencia de que el dansannamu se refiere al “árbol cósmico” o el “eje cósmico”. Según “Cuenta de los Bárbaros Orientales”, uno de los 20 volúmenes del Libro de Wui de los Registros de los Tres Reinos, aparece una frase relacionada con el árbol en [[Sodo](/topic/DistritosagradoenMahan,unodetresestadostribalesdeHan)](/topic/Sodo), el ejemplo representativo del dansannamu, que dice “Un árbol grande que tenía los tambores y sonajeros colgados fue erigido para ser adorado como un espíritu”.
作为村庄守护者,被视为有神灵降临而受供奉的被神化了的树。

“[堂山](/topic/堂山)树”既因有守护村庄的神灵降临而受供奉,也作为村庄守护者本身而被神化。堂山树既可以与堂山或[守郎](/topic/守郎)庙(音)的堂神祭堂和谐共存,其本身也可以成为堂山或[守郎堂](/topic/守郎堂)。不仅如此,堂山树既是堂山的中心,也可升华为村庄的中轴,成为一个村庄或共同体的神木。堂山被视为村庄的神圣之地,其本身就是连接天上世界和地上世界的媒介,也可成为直接迎接天上降临的神灵并进行[告祀](/topic/告祀)[巫祭](/topic/巫祭)活动的祭坛。堂山的核心即为堂山树。

[檀君](/topic/檀君)神话中有叫做神檀树的堂山树出现。檀君之父桓雄从天上降临至神檀树下,此时,神檀树是支撑天上世界,连接天与地的宇宙树和世界树。由此,可谓是在地上迎接天神进行告祀并进行巫祭的祭坛正中,巍峨矗立于高处之物。纵向上,连接天上世界与地上世界的轴或柱即为堂山树。横向上,堂山树则为占据前后左右四方中心的柱或轴。堂山树被称之为宇宙树及宇宙轴的根据亦可在此寻找。“竖起一棵大树挂上铃铛和鼓供奉鬼神”(《三国志》魏志东夷传) 中流传下来的苏涂之树即为堂山树的代表性示例。
내용당산(堂山)은 한 고을, 한 [마을](/topic/마을)의 지킴이신을 모신 성역이다. 당산은 마을의 수호신을 모신 신단(神壇) 또는 신당이 위치한 산, 강원도 화천군 강동면에서는 마을 수호신을 모신 곳을 ‘산제당’이라고 일컫는다. 화천의 산제당은 다른 지역 같으면 당연히 당산 또는 [서낭당](/topic/서낭당), 도당이라고 불리는 마을의 성역이다. 당산은 어느 특정 지점이 아니다. 고을의 수호신인 고을지킴이를 모신 단(檀)이나 작은 건조물을 가리킬 때는 서낭당, 산신당, 도당 등으로 바꾸어 지칭하기도 한다.

당산은 한 마을 안의 비교적 야트막한 언덕 또는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게 마련이다. 더러는 낮고 작은 봉우리에 위치하기도 한다. 당산은 숲 안에 있어서 우묵하고 안존하다.다소곳한 성역이라는 느낌을 풍기기 마련이다. 그래서 신령이 깃든 곳이라는 인상을 받게 된다.

당산의 핵심이 바로 당산나무이다. 우거진 고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나무 둘레에 금색이 처져 있거나, 밑동에 왼새끼 또는 [백지](/topic/백지)가 감겨 있는경우가 많아서 쉽게 다른 나무들과 구별이 된다. 밑동에 바싹 붙어서 작은 당집이 있거나 신줏돌이 자리하고 있는 형태로 보기에는 흔한 편이다. 그러나 꼭 이처럼 당집이나 신줏돌, 곧 신으로 섬겨진 돌이나 바위와 짝지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독자적으로 나무만이 신목(神木)으로 있는 경우도 있다.

당산나무는 신격화된 나무이다. 신목이자 신주 나무이다. 고을지킴이 신이 깃들여 있는 것으로 모셔지기도 하지만 마을 또는 고을의 지킴이 그 자체로 승화되어 있기도 하다.접신목(接神木)이기도 하지만 그 스스로 신주로 승격되어 있기도 한다. 나무가 곧 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산나무는 성수(聖樹)가 된다.

당산나무 또는 서낭나무는 당산, 도당 또는 서낭당의 중핵이다. 당산의 당집 또는 서낭당의 당집과 어울려 있는가 하면 그 자체로 당산 또는 서낭당이 되기도 한다.

이들 나무에 당산신이나 [서낭신](/topic/서낭신)이 직접 내리거나 거기 접신(接神)해 있기 때문에 나무가 신체(神體)로 섬겨지기도 하는 것이다. 마을의 지킴이 신을 통틀어서 골매기, 곧 고을막이의 신으로 칠 때 당산나무나 서낭나무는 바로 골매기가 되기도 한다. 이런 때 마을의 민속신앙으로는 [나무고사](/topic/나무고사)가 베풀어진다. 즉 나무 자체가 따로 굿이나 고사를 받게 되는 것이 나무고사이다.

그러나 당산나무는 그 자체가 신앙의 대상으로 신격화되는 것뿐만이 아니다. 당산의 중심이자 마을의 중심축으로 승화되기도 한다. 이 점에서 당산나무가 지니는 지역공동체와의 연관성을 찾게도 된다. 이런 경우 한 마을 또는 공동체의 정자나무가 되고 신목이 된다. 정자나무는 한 지역의 공동체가 그 공동체다움을 향유하게 되는 구심체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당산나무의 성격은 당산 자체가 마을이며 이는 고을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음과 겹쳐[지게](/topic/지게) 된다. 모든 사례에서 당산은 마을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지리적으로는 가장자리나 어느 한쪽에 치우쳐 있다고 해도 심리적으로는 마을의 중앙 또는 중심에 덩그렇게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당산 자체는 세계의 중심된 또는 우주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마을의 세계산 또는 우주산이라고 간주된다. 이것은 [단군신화](/topic/단군신화)에서 태백산이나 가락국의 신화에서 구지봉(龜旨峰)이 지니게 되는 면모이며, 성격과 맞통하게 된다. 각 마을의 당산은 작은 태백산이고 작은 구지봉인 셈이다.

당산은 그 자체가 하늘세계와 지상세계를 잇는 매체가 되기도 한다. 하늘에서 오는 신의 내림을 직접 받아서 고사를 지내고 굿을 치는 제단이 되기도 한다. 이 점은 가락국의김수로왕 신화가 구체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단군신화에서는 우주산에 또 당산나무가 솟아 있다. 신화에서는 직접적으로 신단수(『[삼국유사](/topic/삼국유사)』에서는 神壇樹,『 [제왕운기](/topic/제왕운기)(帝王韻紀)』에서는 神檀樹)라고 일컫고 있다. [신내림](/topic/신내림)의 박달나무로 간주될 수 있지만 신수(神樹)인 박달나무가 단국(檀國)이라는 나라 이름의 기틀이 되고 단군(檀君)이라는 군주 칭호의 기틀이 되어 있다.

『삼국유사』와 『제왕웅기』사이에서 신단(神壇)과 신단(神檀)으로 달리 표기되어 있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깊다. 어느 한 쪽이 잘못 표기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신을 모시는 단이 신목과 짝지어져 있는 후세의 마을신앙의 보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신목이 다름 아닌 박달나무[檀]라면 한 성역을 두고 신단(神壇) 또는 신단(神檀)으로 인식될 것이고 이에 따라 두 낱말이 병기(倂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단수는 한 나라 정치체제의 중추였고 종교이자 신앙의 중추였다. 속(俗)과 성(聖)의 양면에 걸쳐서 중심이었다. 고조선의 당산나무인 신단수의 비중은 정치에서나 신앙에서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당산나무는 나라의 모든 것이었던 셈이다.

신단수라는 당산나무는 우주산의 소슬한 봉우리에 솟아 있는 세계의 축(軸)이자 [기둥](/topic/기둥)이다. 하늘을 떠받들고는 하늘과 땅을 이어 주는 우주나무이자 세계나무이다. 그리하여 천신을 지상에서 맞아서 고사를 지내고 굿을 올리는 제단의 한가운데, 높다란 곳에 우람하게 솟아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군의 부신(父神)인 환웅은 하늘에서 신단수 아래로 강림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가 신단수를 타고 하늘에서 강림한 것이라는 가능성이 있음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우주나무 또는 우주축을 타고 하늘과 땅 사이를 내왕한 인물이 된다.

수직으로는 천상세계와 지상세계를 이어 주는 축이나 기둥이 곧 당산나무이다. 수평으로는 전후와 좌우 네 방위의 한복판을 차지하고 있는 기둥이면서 축이 된다. 당산나무가우주나무 또는 우주축이라고 일컬어질 수 있는 근거를 여기에서 찾게 되며, 모든 당산나무는 이 신단수의 후손이 되는 셈이다. 신단수는 우주나무 또는 세계축으로서 당산나무의 원형이 된다. 마을의 당산나무는 곧 그 마을의 신단수가 된다.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걸어서 귀신을 섬겼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고 전해지는 소도(蘇塗)의 나무 역시 당산나무의 또 다른 보기이다. 생나무나 나무기둥이나우주축으로서는 다를 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당산나무가 솟아 있고 우거져 있는 한 거기에는 고조선의 신단수의 잔영(殘影)이 스며져 있게 마련이다. 그 아래에서 도당굿,[당산굿](/topic/당산굿), 서낭굿 등의 이름으로 마을굿 또는 골매기굿이 치러지고 베풀어질 때, 거기에는 언제나 필연적으로 단군신화가 펼쳐지게 마련이다.

우주나무 또는 세계나무는 분포가 매우 넓다. 그 성스러운 나무는 지구 북반구의 동서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다. 서로는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시작해 중부 시베리아를 거쳐서 동북아시아의 시베리아에 이르기까지 가히 범세계적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우주나무 또는 세계나무가 분포되어 있음을 보게 된다.

북유럽 신화의 최고 신인 오딘(Odin)이 타고 하늘과 땅 사이를 내왕했다는 ‘이그드라실(Yggdrasil)’에서 시작해 시베리아 예벤키(Evenki)족의 ‘투루(Turu)’, 동북아세아의 만주족의 ‘투룬-모(Turun-mo)’, 일본의‘히모로기(Himorogi)’에 이르기까지 지구의 북반구에서 범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 세계나무 또는 우주나무와 더불어 우리의 신단수이자 당산나무는 우거져 있다.

세계의 중심에 솟은 중추까지 지상에서 하늘을 떠받드는 축, 천상세계와 지상세계를 이어 주는 기둥으로서 우리의 당산나무는 경건하고, 거룩하게 우거져 있다.
참고문헌한국 신화와무속연구 (김열규, 일조각, 1982)
화천민속지 (화천군, 2004)
수원의 [마을](/topic/마을) 굿 (수원시, 수원문화원, 2006)
[[Dangsan](/topic/VillageGuardianMountain)](/topic/Dangsan)namu is a deified tree worshipped as the guardian of a village.

The term can refer to both a tree that is believed to be divine and to the tutelary deity that is embodied as the tree. Dangsannamu sometimes stands on the grounds of a village shrine like dangsan or seonangdang, or sometimes serves as a shrine in itself. Furthermore, it is often upheld as the center of communal worship, the central axis of the village–the divine tree (sinmok) of the community. Dangsan, or village deity shrine, is perceived as a sacred space, a medium between the heavenly and earthly worlds, an altar where rituals are held upon receipt of the gods’ messages. And dangsannamu is at the center of this space.

[Dangun](/en/topic/detail/1913) mythology features sindansu, or divine altar tree, which serves as dangsannamu. Hwanung, father of Dangun, who would go on to found the ancient kingdom of Gojoseon (2333-108 B.C.E.), descends from the heavens, landing under sindansu, which in effect is a cosmic tree, or a world tree, connecting the heavens with earth. It stands tall on a high perch, in the middle of an altar where rituals are held to greet the god of heaven. It is a vertical axis, a pole that connects the heavenly world with the earthly; it also serves as a column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our directions, front and back and left and right. This is where we can find evidence for referring to dangsannamu as the cosmic tree, the cosmic axis. Another widely recognized example of dangsannamu is the tree of Sodo, a sacred district in the ancient Korean state Mahan,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ssage from the “Account of the Eastern Barbarians” chapter of the volume History of the Wei Dynasty of the Chinese history book Sanguozhi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 tall tree was erected, then worshipped as a spirit by hanging a rattle and a drum.”
[[Dangsan](/topic/Montaña,EspírituProtectordelPueblo)](/topic/Dangsan)namu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 árbol adorado como un guardián del pueblo.

El dangsannamu es adorado como un árbol divino, o una deidad tutelar que se encarna en un árbol. Este árbol deificado está ubicado generalmente en un santuario de la aldea, pero a veces, éste mismo sirve como un santuario. Más aun, se considera a menudo como el centro de la veneración comunal, el árbol divino llamado sinmok que es el eje central de la comunidad. El santuario de la deidad del pueblo llamado dangsan se percibe como un espacio sagrado entre el cielo y la tierra, un altar donde los rituales se realizan para atender a los dioses que hayan descendido a la tierra. El dansanmanu está en el centro de dicho espacio.

En la mitología del fundador del primer reino en la península coreana, [[Dangun](/topic/Dangun,FundadordeGojoseon)](/topic/Dangun), se encuentra un árbol divino llamado sindansu, que sirve como un dangsannamu. En el mito, el padre de Dangun, Hwanung, que desciende al sindansu, que, efectivamente, es un “árbol cósmico”, o “un árbol del mundo” que conecta el cielo con la tierra. El sindansu está plantado en medio de un altar donde los rituales se llevan a cabo para dar la bienvenida al dios celestial. Por otra parte, se puede decir que el sindansu es un eje vertical, un poste que conecta el cielo con la tierra; sirve también como una columna ubicada en el centro de las cuatro direcciones, frontal, posterior, izquierda derecha. En fin, es el punto donde se encuentra la evidencia de que el dansannamu se refiere al “árbol cósmico” o el “eje cósmico”. Según “Cuenta de los Bárbaros Orientales”, uno de los 20 volúmenes del Libro de Wui de los Registros de los Tres Reinos, aparece una frase relacionada con el árbol en [[Sodo](/topic/DistritosagradoenMahan,unodetresestadostribalesdeHan)](/topic/Sodo), el ejemplo representativo del dansannamu, que dice “Un árbol grande que tenía los tambores y sonajeros colgados fue erigido para ser adorado como un espíritu”.
作为村庄守护者,被视为有神灵降临而受供奉的被神化了的树。

“[堂山](/topic/堂山)树”既因有守护村庄的神灵降临而受供奉,也作为村庄守护者本身而被神化。堂山树既可以与堂山或[守郎](/topic/守郎)庙(音)的堂神祭堂和谐共存,其本身也可以成为堂山或[守郎堂](/topic/守郎堂)。不仅如此,堂山树既是堂山的中心,也可升华为村庄的中轴,成为一个村庄或共同体的神木。堂山被视为村庄的神圣之地,其本身就是连接天上世界和地上世界的媒介,也可成为直接迎接天上降临的神灵并进行[告祀](/topic/告祀)[巫祭](/topic/巫祭)活动的祭坛。堂山的核心即为堂山树。

[檀君](/topic/檀君)神话中有叫做神檀树的堂山树出现。檀君之父桓雄从天上降临至神檀树下,此时,神檀树是支撑天上世界,连接天与地的宇宙树和世界树。由此,可谓是在地上迎接天神进行告祀并进行巫祭的祭坛正中,巍峨矗立于高处之物。纵向上,连接天上世界与地上世界的轴或柱即为堂山树。横向上,堂山树则为占据前后左右四方中心的柱或轴。堂山树被称之为宇宙树及宇宙轴的根据亦可在此寻找。“竖起一棵大树挂上铃铛和鼓供奉鬼神”(《三国志》魏志东夷传) 中流传下来的苏涂之树即为堂山树的代表性示例。
내용당산(堂山)은 한 고을, 한 [마을](/topic/마을)의 지킴이신을 모신 성역이다. 당산은 마을의 수호신을 모신 신단(神壇) 또는 신당이 위치한 산, 강원도 화천군 강동면에서는 마을 수호신을 모신 곳을 ‘산제당’이라고 일컫는다. 화천의 산제당은 다른 지역 같으면 당연히 당산 또는 [서낭당](/topic/서낭당), 도당이라고 불리는 마을의 성역이다. 당산은 어느 특정 지점이 아니다. 고을의 수호신인 고을지킴이를 모신 단(檀)이나 작은 건조물을 가리킬 때는 서낭당, 산신당, 도당 등으로 바꾸어 지칭하기도 한다.

당산은 한 마을 안의 비교적 야트막한 언덕 또는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게 마련이다. 더러는 낮고 작은 봉우리에 위치하기도 한다. 당산은 숲 안에 있어서 우묵하고 안존하다.다소곳한 성역이라는 느낌을 풍기기 마련이다. 그래서 신령이 깃든 곳이라는 인상을 받게 된다.

당산의 핵심이 바로 당산나무이다. 우거진 고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나무 둘레에 금색이 처져 있거나, 밑동에 왼새끼 또는 [백지](/topic/백지)가 감겨 있는경우가 많아서 쉽게 다른 나무들과 구별이 된다. 밑동에 바싹 붙어서 작은 당집이 있거나 신줏돌이 자리하고 있는 형태로 보기에는 흔한 편이다. 그러나 꼭 이처럼 당집이나 신줏돌, 곧 신으로 섬겨진 돌이나 바위와 짝지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독자적으로 나무만이 신목(神木)으로 있는 경우도 있다.

당산나무는 신격화된 나무이다. 신목이자 신주 나무이다. 고을지킴이 신이 깃들여 있는 것으로 모셔지기도 하지만 마을 또는 고을의 지킴이 그 자체로 승화되어 있기도 하다.접신목(接神木)이기도 하지만 그 스스로 신주로 승격되어 있기도 한다. 나무가 곧 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산나무는 성수(聖樹)가 된다.

당산나무 또는 서낭나무는 당산, 도당 또는 서낭당의 중핵이다. 당산의 당집 또는 서낭당의 당집과 어울려 있는가 하면 그 자체로 당산 또는 서낭당이 되기도 한다.

이들 나무에 당산신이나 [서낭신](/topic/서낭신)이 직접 내리거나 거기 접신(接神)해 있기 때문에 나무가 신체(神體)로 섬겨지기도 하는 것이다. 마을의 지킴이 신을 통틀어서 골매기, 곧 고을막이의 신으로 칠 때 당산나무나 서낭나무는 바로 골매기가 되기도 한다. 이런 때 마을의 민속신앙으로는 [나무고사](/topic/나무고사)가 베풀어진다. 즉 나무 자체가 따로 굿이나 고사를 받게 되는 것이 나무고사이다.

그러나 당산나무는 그 자체가 신앙의 대상으로 신격화되는 것뿐만이 아니다. 당산의 중심이자 마을의 중심축으로 승화되기도 한다. 이 점에서 당산나무가 지니는 지역공동체와의 연관성을 찾게도 된다. 이런 경우 한 마을 또는 공동체의 정자나무가 되고 신목이 된다. 정자나무는 한 지역의 공동체가 그 공동체다움을 향유하게 되는 구심체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당산나무의 성격은 당산 자체가 마을이며 이는 고을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음과 겹쳐[지게](/topic/지게) 된다. 모든 사례에서 당산은 마을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지리적으로는 가장자리나 어느 한쪽에 치우쳐 있다고 해도 심리적으로는 마을의 중앙 또는 중심에 덩그렇게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당산 자체는 세계의 중심된 또는 우주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마을의 세계산 또는 우주산이라고 간주된다. 이것은 [단군신화](/topic/단군신화)에서 태백산이나 가락국의 신화에서 구지봉(龜旨峰)이 지니게 되는 면모이며, 성격과 맞통하게 된다. 각 마을의 당산은 작은 태백산이고 작은 구지봉인 셈이다.

당산은 그 자체가 하늘세계와 지상세계를 잇는 매체가 되기도 한다. 하늘에서 오는 신의 내림을 직접 받아서 고사를 지내고 굿을 치는 제단이 되기도 한다. 이 점은 가락국의김수로왕 신화가 구체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단군신화에서는 우주산에 또 당산나무가 솟아 있다. 신화에서는 직접적으로 신단수(『[삼국유사](/topic/삼국유사)』에서는 神壇樹,『 [제왕운기](/topic/제왕운기)(帝王韻紀)』에서는 神檀樹)라고 일컫고 있다. [신내림](/topic/신내림)의 박달나무로 간주될 수 있지만 신수(神樹)인 박달나무가 단국(檀國)이라는 나라 이름의 기틀이 되고 단군(檀君)이라는 군주 칭호의 기틀이 되어 있다.

『삼국유사』와 『제왕웅기』사이에서 신단(神壇)과 신단(神檀)으로 달리 표기되어 있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깊다. 어느 한 쪽이 잘못 표기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신을 모시는 단이 신목과 짝지어져 있는 후세의 마을신앙의 보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신목이 다름 아닌 박달나무[檀]라면 한 성역을 두고 신단(神壇) 또는 신단(神檀)으로 인식될 것이고 이에 따라 두 낱말이 병기(倂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단수는 한 나라 정치체제의 중추였고 종교이자 신앙의 중추였다. 속(俗)과 성(聖)의 양면에 걸쳐서 중심이었다. 고조선의 당산나무인 신단수의 비중은 정치에서나 신앙에서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당산나무는 나라의 모든 것이었던 셈이다.

신단수라는 당산나무는 우주산의 소슬한 봉우리에 솟아 있는 세계의 축(軸)이자 [기둥](/topic/기둥)이다. 하늘을 떠받들고는 하늘과 땅을 이어 주는 우주나무이자 세계나무이다. 그리하여 천신을 지상에서 맞아서 고사를 지내고 굿을 올리는 제단의 한가운데, 높다란 곳에 우람하게 솟아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군의 부신(父神)인 환웅은 하늘에서 신단수 아래로 강림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가 신단수를 타고 하늘에서 강림한 것이라는 가능성이 있음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우주나무 또는 우주축을 타고 하늘과 땅 사이를 내왕한 인물이 된다.

수직으로는 천상세계와 지상세계를 이어 주는 축이나 기둥이 곧 당산나무이다. 수평으로는 전후와 좌우 네 방위의 한복판을 차지하고 있는 기둥이면서 축이 된다. 당산나무가우주나무 또는 우주축이라고 일컬어질 수 있는 근거를 여기에서 찾게 되며, 모든 당산나무는 이 신단수의 후손이 되는 셈이다. 신단수는 우주나무 또는 세계축으로서 당산나무의 원형이 된다. 마을의 당산나무는 곧 그 마을의 신단수가 된다.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걸어서 귀신을 섬겼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고 전해지는 소도(蘇塗)의 나무 역시 당산나무의 또 다른 보기이다. 생나무나 나무기둥이나우주축으로서는 다를 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당산나무가 솟아 있고 우거져 있는 한 거기에는 고조선의 신단수의 잔영(殘影)이 스며져 있게 마련이다. 그 아래에서 도당굿,[당산굿](/topic/당산굿), 서낭굿 등의 이름으로 마을굿 또는 골매기굿이 치러지고 베풀어질 때, 거기에는 언제나 필연적으로 단군신화가 펼쳐지게 마련이다.

우주나무 또는 세계나무는 분포가 매우 넓다. 그 성스러운 나무는 지구 북반구의 동서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다. 서로는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시작해 중부 시베리아를 거쳐서 동북아시아의 시베리아에 이르기까지 가히 범세계적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우주나무 또는 세계나무가 분포되어 있음을 보게 된다.

북유럽 신화의 최고 신인 오딘(Odin)이 타고 하늘과 땅 사이를 내왕했다는 ‘이그드라실(Yggdrasil)’에서 시작해 시베리아 예벤키(Evenki)족의 ‘투루(Turu)’, 동북아세아의 만주족의 ‘투룬-모(Turun-mo)’, 일본의‘히모로기(Himorogi)’에 이르기까지 지구의 북반구에서 범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 세계나무 또는 우주나무와 더불어 우리의 신단수이자 당산나무는 우거져 있다.

세계의 중심에 솟은 중추까지 지상에서 하늘을 떠받드는 축, 천상세계와 지상세계를 이어 주는 기둥으로서 우리의 당산나무는 경건하고, 거룩하게 우거져 있다.
참고문헌한국 신화와무속연구 (김열규, 일조각, 1982)
화천민속지 (화천군, 2004)
수원의 [마을](/topic/마을) 굿 (수원시, 수원문화원, 2006)
[[Dangsan](/topic/VillageGuardianMountain)](/topic/Dangsan)namu is a deified tree worshipped as the guardian of a village.

The term can refer to both a tree that is believed to be divine and to the tutelary deity that is embodied as the tree. Dangsannamu sometimes stands on the grounds of a village shrine like dangsan or seonangdang, or sometimes serves as a shrine in itself. Furthermore, it is often upheld as the center of communal worship, the central axis of the village–the divine tree (sinmok) of the community. Dangsan, or village deity shrine, is perceived as a sacred space, a medium between the heavenly and earthly worlds, an altar where rituals are held upon receipt of the gods’ messages. And dangsannamu is at the center of this space.

[Dangun](/en/topic/detail/1913) mythology features sindansu, or divine altar tree, which serves as dangsannamu. Hwanung, father of Dangun, who would go on to found the ancient kingdom of Gojoseon (2333-108 B.C.E.), descends from the heavens, landing under sindansu, which in effect is a cosmic tree, or a world tree, connecting the heavens with earth. It stands tall on a high perch, in the middle of an altar where rituals are held to greet the god of heaven. It is a vertical axis, a pole that connects the heavenly world with the earthly; it also serves as a column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our directions, front and back and left and right. This is where we can find evidence for referring to dangsannamu as the cosmic tree, the cosmic axis. Another widely recognized example of dangsannamu is the tree of Sodo, a sacred district in the ancient Korean state Mahan,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ssage from the “Account of the Eastern Barbarians” chapter of the volume History of the Wei Dynasty of the Chinese history book Sanguozhi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 tall tree was erected, then worshipped as a spirit by hanging a rattle and a drum.”
고승리 신목
20926
고승리 신목
고승리 신목
20921
고승리 신목
당산나무와 장승
20464
당산나무와 장승
가산2리 당목
19347
가산2리 당목
금곡마을 사장제 장보기
24392
금곡마을 사장제 장보기
금곡마을 사장제 제단
24364
금곡마을 사장제 제단
금곡마을 사장제 진설
24491
금곡마을 사장제 진설
금곡마을 사장제 유사들이 먹을 음료수 및 주류
24438
금곡마을 사장제 유사들이 먹을 음료수 및 주류
금곡마을 사장제를 지내기 풍물을 치는 모습
24433
금곡마을 사장제를 지내기 풍물을 치는 모습
당산나무
23585
당산나무
고승리 신목
20926
고승리 신목
고승리 신목
20921
고승리 신목
당산나무와 장승
20464
당산나무와 장승
가산2리 당목
19347
가산2리 당목
금곡마을 사장제 장보기
24392
금곡마을 사장제 장보기
금곡마을 사장제 제단
24364
금곡마을 사장제 제단
금곡마을 사장제 진설
24491
금곡마을 사장제 진설
금곡마을 사장제 유사들이 먹을 음료수 및 주류
24438
금곡마을 사장제 유사들이 먹을 음료수 및 주류
금곡마을 사장제를 지내기 풍물을 치는 모습
24433
금곡마을 사장제를 지내기 풍물을 치는 모습
당산나무
23585
당산나무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