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서울굿에서 [관성제군](/topic/관성제군)과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을 위해 차리는 굿상 가운데 하나. |
---|---|
mp3Cnt | 0 |
wkorname | 김헌선 |
정의 | 서울굿에서 [관성제군](/topic/관성제군)과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을 위해 차리는 굿상 가운데 하나. | 내용 | 서울굿이나 황해도굿에서 신격마다 다른 상을 차리는 이른바 각상 차림의 전통이 있는 가운데, 대상 역시 이러한 전통의 소산이다. 서울굿의 전통적인 굿상 가운데 주된 기복의 대상이 되는 신격은 [대청](/topic/대청)[마루](/topic/마루)에 모시게 된다. 이 상은 흔히 대상과 [대안주상](/topic/대안주상), 대감상, [조상상](/topic/조상상) 등 세 틀로 되어 있다. 대상은 [관성제군](/topic/관성제군)과 상산[장군](/topic/장군)을 위해 차린 상이다 대상에 차리는 음식은 여러 [가지](/topic/가지)가 있지만 크게 떡과 과일로 나뉜다. 떡에는 편을 놓는다. 편은 백편으로, 흰떡을 단촐하게 놓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 화려하게 꾸며서 놓기도 한다. 부잣집인 경우에 가진편을 놓기도 한다. 가진편은 서울굿에서 가장 화려하게 취급하는 떡이다. 가진편은 잣, 실백, [대추](/topic/대추), 석이[버섯](/topic/버섯), 밤 등을 채로 썰어서 장식한 떡이다. 가진편뿐 아니라 흔히 백편, 꽃편, 신금추편 등 세 가지 떡을 놓기도 한다. 세 가지 떡을 세틀로 놓는 것이 현재 기본이다. 편에다 색을 넣는 것이나 장식에 따라서 편의 이름은 달라진다. 신금추편은 [시금치](/topic/시금치)로 만든 편이다. 편떡에는 이것 외에도 웃기, 건달떡, 주왁, 찹쌀송편, 밤 등을 더 얹어서 고명처럼 장식해 놓는다. 이처럼 편떡이 대상에 중요한 장식물로 놓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장식이 대상에서 중요함을 말해 준다. 여기에 밀동자, 나비, 벌, 함박꽃 등을 장식하면서 형형색색의 기이한 면모를 모두 자랑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편 위에는 수파련과 잔꽃 등을 꽂는다. 잔꽃은 파랑과 빨강의 색깔로 된 특징이 있다. 이 꽃들의 장식물은 굿상에서 긴요한 구실을 한다. 일단 외관상 장식용으로 쓰이는 점에 주목된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이유가 있다. 신이 지접해서 꽃에 하강한다고 관념한다. 특히 잔꽃은 신들이 전물을 잡숫는 젓가락과 숟가락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편은 두 자반을 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편은 밑이 좁고, 위는 넓게 장식한다. 편을 괴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굿상에 대상의 외관적 형상을 말하는 결정적인 면모가 마치 상을 크게 화려하게 만드는 편떡 고임에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넓어짐으로써 웅장한 면모를 구현하기에 이른다. 과일은 삼색실과를 보통 놓는다. 삼색실과는 일정하게 정해진 것이 아니다. 가령 봄과 여름철에는 차미•[수박](/topic/수박)•햇[사과](/topic/사과) 등, 가을철에는 사과•배•감 등을 놓는다. 계절마다 올리는 과일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할 수 있으며, 대상에서 과일은 중요한 전물 가운데 하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굿상은 모두 신에게 전물을 바치는 일종의 신찬이다. 신찬의 질과 양이 결과적으로 신의 위계를 결정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대상은 관성제군과 상산 [최영](/topic/최영)장군에게 바치는 [제상](/topic/제상)이다. 이 신들은 비록 복합적이기는 하지만 서울 지역의 만신들이 가장 존귀하게 여기는 신격이기 때문에 제상이 크고 화려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 상의 규모나 장식은 굿상에서 가장 귀하게 간주된다. 굿상을 달리 대상이라고 하는 것에는 사정이 있다. 현재처럼 모둠상을 차리지 않던 시절에 집안 곳곳에서 상이 차려진 전체적인 연관성 속에서 구조적으로 이 문제를 보아야 한다. [마당](/topic/마당)에 차려진 천궁불사맞이상, [도당상](/topic/도당상) 등을 보아야 대상의 상대적 위치를 가늠할 수 있다. 소찬으로 차려진 천궁불사맞이상과 산신도당을 위한 도당상 등은 굿거리 순서에 관련되지만 신격의 위계에 따라 다른 상차림을 할 수밖에 없다. 대상은 서울굿의 신격 위계와 서울굿의 음식을 알아볼 수 있는 소중한 전통의 의의를 지닌다. 무당이 신복을 입고 신의 형상을 갖춰서 신을 초청해 각 신의 성격에 맞게끔 굿상을 차리는 전통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서울의 음식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이 굿상의 음식이고, 이 전통이 다른 데서 사라지고 있다고 해도 비교적 완만하게 전통을 이어가고 있음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 한국의 무 (조흥윤, 정음사, 1983)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조흥윤 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
대상 | 64582 대상 |
---|---|
대상 | 64357 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