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

한국무속신앙사전
원삼
현대 굿거리에서 무당이나 굿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주신을 상징하기 위해 호구거리나 창부거리에서 착용.
definition
현대 굿거리에서 무당이나 굿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주신을 상징하기 위해 호구거리나 창부거리에서 착용.
mp3Cnt
0
wkorname
김은정
정의현대 굿거리에서 무당이나 굿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주신을 상징하기 위해 호구거리나 창부거리에서 착용.
내용원삼은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비빈의 소례복이며 내외명부의 대례복이고 서민층의 [혼례복](/topic/혼례복)이다. 원삼은 전통복식으로 통일신라 [문무왕](/topic/문무왕) 때 여복(女服)을 개혁하는 가운데 중국 당나라의 복식제도를 받아들여 소매가 넓은 포제(袍制)가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국속화되었다. 궁중의례복이었던 원삼은 조선 후기에 신부 예복으로 착용이 허용되어 서민층의 혼례복으로 [민가](/topic/민가)에서도 착용되었다. 원삼은 궁중 여인들의 품계에 따라 색과 문양을 달리하였다. 황후의 원삼은 용문을 직금한 황색 원삼이며, 왕비는 다홍색 길에 노란색과 다홍색 또는 남색의 색동에 [한삼](/topic/한삼)이 달린 봉문을 금박한 홍색 원삼이다. 공주나 옹주는 연두색 길에 다홍색과 노란색의 색동에 백색 한삼이 있으며, 화문을 금박한 초록색 원삼이다. 내명부·외명부·일반 부녀자도 화문이 있는 초록색 원삼을 착용하였으며, [활옷](/topic/활옷)과 함께 서민층의 신부 혼례복으로 착용이 허용되었다.

조선시대 실제 굿에서 착용한 [무복](/topic/무복)의 종류와 형태를 알 수 있는 서울굿의 참고자료인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巫黨來歷)에서는 무녀가 가옥의 신을 관장하는 성조거리에서 색동원삼을 착용하고 손에는 부채와 방울을 소지한다. 하지만 현재 굿거리에서는 대부분 호구마마신이나 천연두를 상징하는 별상거리 또는 창부거리에서 착용한다. 이러한 무복원삼의 명칭은 복식의 고유명칭보다는 특정한 신의 명칭을 의미하는 의대, 부인복 등 거리 신을 상징하는 또 다른 복식 명칭이 부가되어 현장에서 무복의 용어로 불리고 있다.

현재 서울·경기 지역에서 강신무가 굿을 할 때 착용하는 무복원삼은 창부의대, 의대, 부인복, 별상의대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무복원삼은 무당이나 굿거리에 따라 형태가 다르고 그 명칭 또한 달리 불러지만 현장에서 무당이 굿거리에서 착용하고 있는 [서울굿 무복](/topic/서울굿무복)원삼은 전통복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머리에 [족두리](/topic/족두리) 수식(首飾)을 하여 전통복식의 일습(一襲)을 나타낸다.

무복으로 착용된 원삼은 장식기법이 다양하고 소재가 화려하게 변형되었으나 전통적인 의례복의 형태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궁중의례복인 원삼을 착용할 때는 가슴에 홍색 대를 둘렀다. 황후의 황색 원삼에는 용문을 부금하거나 금박하였다. 비빈의 홍색 원삼과 자적색 원삼에는 봉문, 그리고 초록색 원삼에는 화문을 부금하거나 금박하였다. 직금이나 부금은 궁중복식에서만 수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민가의 원삼에는 직금이 없었다. 또한 궁중에서는 원삼의 가슴과 등, 양 어깨에 보를 붙였다. 황후나 왕비가 착용하는 원삼은 오조룡의 운용문을 금색실로 수놓은[金繡] 둥근보[圓補]를 달았으며, 빈궁이나 공주의 경우에는 쌍봉문의 보를 앞뒤에 붙였다. 원삼을 착용할 때 머리에는 수식(首飾)으로 족두리를 사용하였다.

현대 굿거리에서 신격을 상징하기 위해 무당이 착용하는 원삼은 색동소매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 중부 지역에서 강신무들이 무복으로 착용하고 있다. 신을 모셔 놓고 굿거리를 행하는 규모나 무당에 따라 유형이 다르고 굿거리에 따라 신격의 차이는 있지만 무복원삼은 조선시대 착용한 전통 궁중의례복인 원삼이 근원이다. 무복원삼은 전통 궁중의례복인 원삼과 비교하면 앞길과 뒷길의 길이 차이가 없어지고 길과 깃 부분이 화려한 장식기법이나 다양한 색으로 변화되었다. 원삼의 진동 부위에 트여 있는 아귀는 무당이 굿을 행할 때 입고 벗기 편하고 [춤사위](/topic/춤사위) 동작을 편하게 하도록 변형되었다고 본다. 현대 굿거리에서 무복원삼은 형태는 자수, 금박, 스팽글과 같은 다양한 장식기법이 가미되어 화려한 복식으로 변형되었다.
지역사례1. 봉화산 도당굿서울 중랑구에서 진행된 봉화산 도당굿은 [마을](/topic/마을)의 풍농과 가내의 평안을 비는 마을굿으로 강신무가 주도하였다. 무당들은 굿거리마다 주신을 상징하는 다양한 포를 갈아입었다. 무당들이 착용한 다양한 [무복](/topic/무복)의 포는 홍색동이 달린 남색 [동다리](/topic/동다리), 옥색 [도포](/topic/도포), 황색 [몽두리](/topic/몽두리), 남색 [쾌자](/topic/쾌자), 백색 [장삼](/topic/장삼), 색동이 있는 분홍색 [원삼](/topic/원삼), 홍색 [철릭](/topic/철릭), 남색 철릭이다. 무당은 창부거리에서 무복으로 백색 [저고리](/topic/저고리)와 남색 [치마](/topic/치마)를 입고 표의(表衣)로 분홍색 길에 색동이 달린 무복원삼을 착용하고 손에 부채를 들었다.

2. 서울 재수굿서울 인사동에서 진행된 재수굿은 현재 하는 사업이 번창하기를 기원하는 굿으로 강신무가 주도하였다. 무당들은 불사제석에서 붉은 치마에 백색 장삼을 입고 [가사](/topic/가사)를 걸친 후 홍색 대를 가슴에 두르고 백색 세모시 [고깔](/topic/고깔)을 썼다. 호구거리에서 무당은 홍색 치마에 녹색 길에 색동소매가 있는 무복원삼을 입고 손에 부채를 들었다. 그 외 거리에서도 동다리, 흑색 쾌자, 홍색 철릭, 남색 철릭, 황색 몽두리를 착용하고 굿에 해당하는 신에 따라 무복을 다양하게 갈아입었다.

현대 굿거리에서 착용하는 무복원삼은 전통의례복에서 유래하였지만 강신무가 착용한 다양한 무복인 전통복식 중에서 형태 변형이 거의 없다. 단지 장식기법이나 무복원삼의 소매에 나타난 색동은 무당 또는 굿거리에 따라 달리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색동원삼을 무당이 착용하는 것은 굿거리에서 주신을 상징할 뿐 아니라 액(厄)을 피하고 복을 받고자 하는 바람의 상징이기도 하다.
참고문헌한국[무복](/topic/무복)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은정,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역사속의 우리옷 변천사 (김은정 외,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9)
집문당한국무속연구김태곤1981
집문당한국민간신앙연구김태곤1983
민속원한국의 굿이선주1996
민속원전통연행예술과 인형오브제허용호2004
원삼
64572
원삼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