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복

한국무속신앙사전
음복
제의를 진행하는 중간이나 거행한 뒤 제의에 참여한 이들이 신령의 뜻이 담긴 음식을 받아먹으며 복을 비는 행위. 대개 술잔이 행위의 중심이 되므로 음복이라 한다.
definition
제의를 진행하는 중간이나 거행한 뒤 제의에 참여한 이들이 신령의 뜻이 담긴 음식을 받아먹으며 복을 비는 행위. 대개 술잔이 행위의 중심이 되므로 음복이라 한다.
mp3Cnt
0
wkorname
홍태한
정의제의를 진행하는 중간이나 거행한 뒤 제의에 참여한 이들이 신령의 뜻이 담긴 음식을 받아먹으며 복을 비는 행위. 대개 술잔이 행위의 중심이 되므로 음복이라 한다.
정의제의를 진행하는 중간이나 거행한 뒤 제의에 참여한 이들이 신령의 뜻이 담긴 음식을 받아먹으며 복을 비는 행위. 대개 술잔이 행위의 중심이 되므로 음복이라 한다.
내용모든 제의의 핵심은 신령에게 인간의 뜻을 아뢰고 그 뜻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제물을 준비하여 상에 올리고 제의를 거행한다. 제의의 진행 과정에서 차려진 음식들은 전적으로 신에게 올리는 인간 정성의 표현이다. 지정된 음식은 정해진 철차에 따라 바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의 뜻이 반복적으로 인간에게 전달된다. 때로는 [공수](/topic/공수)라고 불리는 언어로, 때로는 제의 집행자의 동작과 행위로 신의 의사가 인간에게 전해진다. 특히 상에 차려진 음식 가운데 일부를 신령이 나누어 주는 것이라고 하면서 제의 집행자가 제의에 참여한 이들에게 준다. 이는 음식을 통해 인간과 신령이 하나가 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신령의 뜻이 인간에게 전달됨을 뜻하기도 한다. 일단 상에 차려져 신령에게 바쳐지는 순간 그 음식은 단순한 제물이 아니라 성스러운 힘을 지닌 존재로 변화되기 때문에 음복은 단순히 음식을 나누어 먹는 의미를 넘어 신령과 인간이 접촉함을 뜻하게 된다.
在祭仪进行时或结束之后,参事者分享敬给神灵的供品并祈福的行为。

所有祭仪的核心是人类把心愿禀报神灵并祈祷其实现。为此,人们准备丰富的祭品,呈放在祭案上举行祭仪。一切上供的祭品都体现了人类对神的虔诚。

规定的供品按一定的步骤上供,在此过程中,神旨被反复传达——通过一种叫[神语](/topic/神语)的语言或祭仪执事的动作和行为。其中主持者把祭案上的部分供品分给参事者,告诉他们这是神灵所赐。因该过程大多用到酒杯,所以称为“饮福”。

饮福意味着人类和神灵通过供品成为一体,寓意神旨被传达给人类,象征祈愿会实现。饮食一旦呈放到桌子上祭献给神灵,就不再是单纯的祭品,它变得拥有神圣的力量。所以饮福不仅有分享饮食的意思,而且意味着神灵和人类的沟通。
내용모든 제의의 핵심은 신령에게 인간의 뜻을 아뢰고 그 뜻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제물을 준비하여 상에 올리고 제의를 거행한다. 제의의 진행 과정에서 차려진 음식들은 전적으로 신에게 올리는 인간 정성의 표현이다. 지정된 음식은 정해진 철차에 따라 바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의 뜻이 반복적으로 인간에게 전달된다. 때로는 [공수](/topic/공수)라고 불리는 언어로, 때로는 제의 집행자의 동작과 행위로 신의 의사가 인간에게 전해진다. 특히 상에 차려진 음식 가운데 일부를 신령이 나누어 주는 것이라고 하면서 제의 집행자가 제의에 참여한 이들에게 준다. 이는 음식을 통해 인간과 신령이 하나가 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신령의 뜻이 인간에게 전달됨을 뜻하기도 한다. 일단 상에 차려져 신령에게 바쳐지는 순간 그 음식은 단순한 제물이 아니라 성스러운 힘을 지닌 존재로 변화되기 때문에 음복은 단순히 음식을 나누어 먹는 의미를 넘어 신령과 인간이 접촉함을 뜻하게 된다.
在祭仪进行时或结束之后,参事者分享敬给神灵的供品并祈福的行为。

所有祭仪的核心是人类把心愿禀报神灵并祈祷其实现。为此,人们准备丰富的祭品,呈放在祭案上举行祭仪。一切上供的祭品都体现了人类对神的虔诚。

规定的供品按一定的步骤上供,在此过程中,神旨被反复传达——通过一种叫[神语](/topic/神语)的语言或祭仪执事的动作和行为。其中主持者把祭案上的部分供品分给参事者,告诉他们这是神灵所赐。因该过程大多用到酒杯,所以称为“饮福”。

饮福意味着人类和神灵通过供品成为一体,寓意神旨被传达给人类,象征祈愿会实现。饮食一旦呈放到桌子上祭献给神灵,就不再是单纯的祭品,它变得拥有神圣的力量。所以饮福不仅有分享饮食的意思,而且意味着神灵和人类的沟通。
의의음복은 음식을 통해 신령과 인간이 하나가 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인간들이 바라는 소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징표이기도 하다.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음식을 나누어 먹음으로써 제의에 참여한 이들이 동질감을 느낄 수 있음도 음복이 주는 효과이다.
참고문헌[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Eumbok significa literalmente “beber la buena fortuna” y se refiere a la práctica que se lleva a cabo por los participantes de un ritual para compartir la comida sacrificial con todas las personas que están reunidas en el sitio durante la realización del ritual para rezar por la buena suerte.

Todos los rituales tienen por objetivo transmitir las peticiones de los humanos a las deidades con el deseo que se hagan realidad. La comida sacrificial se prepara como una expresión de la devoción de los humanos a la deidad.

Los alimentos designados se ofrendan en función de procedimientos formales durante lo cual la respuesta y la intención del dios adorado se transmitirían de manera repetida por medio de la canalización en trance del chamán o a través de los movimientos o acciones del oficiante del ritual. Mientras el oficiante quita poca porción de la comida sacrificial y la ofrece a los asistentes del ritual como la comida enviada por los dioses. A esto se le llama “eumbok”, ya que la comida que se comparte es en general el licor.

El eumbok significa que los dioses y los humanos se unifican mediante la comida, que la voluntad de los dioses ha sido transmitida a los seres humanos, y que la gente será capaz de hacer sus deseos realidad. Una vez preparada la comida sacrificial sobre la mesa ritual, ellos se transforman en entidades sagradas y el consumo de ellas significa no solo el compartimiento comunal de la comida, sino también el contacto entre los humanos y los espíritus superiores.
Eumbok, literally meaning, “to drink good fortune, ” refers to the practice by ritual participants of sharing sacrificial foods during or after the ritual to pray for good fortune.

All rituals aim at communicating the wishes of humans to the deities in hopes of achieving them, for which a variety of sacrificial foods are prepared as an expression of human longing and devotion.

A set of designated foods are offered according to formal procedures, during which the worshipped god’s response and intent are communicated repeatedly, through the shaman’s channeling (gongsu) or through the movements and actions of the ritual officiant. At times the officiant takes pieces of the sacrificial food from the table and hands them out to these attending as food sent by the gods,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eumbok.

Consuming food from the ritual table signifies that the gods and humans are unified through food, that the gods’ intents have been delivered to the people and that the people will be able to achieve their wishes. Once the sacrificial foods are arranged on the ritual table, they transform into sacred entities, and their consumption signifies not only a communal sharing of food but also contact between humans and the higher spirits.
의의음복은 음식을 통해 신령과 인간이 하나가 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인간들이 바라는 소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징표이기도 하다.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음식을 나누어 먹음으로써 제의에 참여한 이들이 동질감을 느낄 수 있음도 음복이 주는 효과이다.
참고문헌[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Eumbok significa literalmente “beber la buena fortuna” y se refiere a la práctica que se lleva a cabo por los participantes de un ritual para compartir la comida sacrificial con todas las personas que están reunidas en el sitio durante la realización del ritual para rezar por la buena suerte.

Todos los rituales tienen por objetivo transmitir las peticiones de los humanos a las deidades con el deseo que se hagan realidad. La comida sacrificial se prepara como una expresión de la devoción de los humanos a la deidad.

Los alimentos designados se ofrendan en función de procedimientos formales durante lo cual la respuesta y la intención del dios adorado se transmitirían de manera repetida por medio de la canalización en trance del chamán o a través de los movimientos o acciones del oficiante del ritual. Mientras el oficiante quita poca porción de la comida sacrificial y la ofrece a los asistentes del ritual como la comida enviada por los dioses. A esto se le llama “eumbok”, ya que la comida que se comparte es en general el licor.

El eumbok significa que los dioses y los humanos se unifican mediante la comida, que la voluntad de los dioses ha sido transmitida a los seres humanos, y que la gente será capaz de hacer sus deseos realidad. Una vez preparada la comida sacrificial sobre la mesa ritual, ellos se transforman en entidades sagradas y el consumo de ellas significa no solo el compartimiento comunal de la comida, sino también el contacto entre los humanos y los espíritus superiores.
Eumbok, literally meaning, “to drink good fortune, ” refers to the practice by ritual participants of sharing sacrificial foods during or after the ritual to pray for good fortune.

All rituals aim at communicating the wishes of humans to the deities in hopes of achieving them, for which a variety of sacrificial foods are prepared as an expression of human longing and devotion.

A set of designated foods are offered according to formal procedures, during which the worshipped god’s response and intent are communicated repeatedly, through the shaman’s channeling (gongsu) or through the movements and actions of the ritual officiant. At times the officiant takes pieces of the sacrificial food from the table and hands them out to these attending as food sent by the gods,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eumbok.

Consuming food from the ritual table signifies that the gods and humans are unified through food, that the gods’ intents have been delivered to the people and that the people will be able to achieve their wishes. Once the sacrificial foods are arranged on the ritual table, they transform into sacred entities, and their consumption signifies not only a communal sharing of food but also contact between humans and the higher spirits.
www.cha.go.kr.
대구서구문화원날뫼문화2005
음복
23651
음복
음복
23650
음복
안인진리 성황제 후 음복하는 모습
20720
안인진리 성황제 후 음복하는 모습
음복
23651
음복
음복
23650
음복
안인진리 성황제 후 음복하는 모습
20720
안인진리 성황제 후 음복하는 모습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