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새로 집을 지어서 [입주](/topic/입주)하거나 다른 집으로 [이사](/topic/이사)를 하게 될 때 가족들의 안녕과 부(富)를 기원할 목적으로 짐을 옮기기 전 또는 새집에 들어가 생활하기 전에 행하는 의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신앙 의례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집고사’로 불리기도 한다. |
---|---|
mp3Cnt | 0 |
wkorname | 안혜경 |
정의 | 새로 집을 지어서 [입주](/topic/입주)하거나 다른 집으로 [이사](/topic/이사)를 하게 될 때 가족들의 안녕과 부(富)를 기원할 목적으로 짐을 옮기기 전 또는 새집에 들어가 생활하기 전에 행하는 의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신앙 의례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집고사’로 불리기도 한다. | 정의 | 새로 집을 지어서 [입주](/topic/입주)하거나 다른 집으로 [이사](/topic/이사)를 하게 될 때 가족들의 안녕과 부(富)를 기원할 목적으로 짐을 옮기기 전 또는 새집에 들어가 생활하기 전에 행하는 의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신앙 의례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집고사’로 불리기도 한다. | Iptaekgosa se refiere a un ritual que tiene lugar cuando una familia se muda a casa nueva que se ha construido recientemente o de una casa o una nueva para rezar por la paz y prosperidad en la familia. El iptaekgosa que se llama también jipgosa se observa en todo el país. El ritual puede ser categorizado en el tipo de ritual y el tipo de hechicería. El tipo de ritual puede agruparse otra vez en dos categorías. Primera que se denomina “seongjubaji” es el rito de recepción al dios protector del hogar,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topic/Seongju), oficiado por un chamán o un hechicero, y otro que se llama “iptaekgosa” es el rito de la entrada a la casa, encabezado por el hombre la familia de acuerdo con la tradición de rituales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tutelares del hogar. El iptaekgos se concentra en informar a Seongju y otros dioses del hogar de una nueva familia que se ha mudado a una casa y se pide por la paz y protección. La comida sacrificial para el ritual incluye el pastel de arroz llamado sirutteok y licor. Luego de ofrecer las reverencias profundas ante la mesa ritual, la familia corta el sirutteok en pedazos y los coloca en cada esquina del hogar. El altaekgosa se finaliza con la invitación de los vecinos a la casa para servirles la comida preparada, lo que se llama jipdeuri. El ritual del tipo de hechicería se practica en una gama de métodos que varían según las familias y tiene por objetivo evitar la mala suerte o mala fuerza que podría surgir en un entorno poco familiar. Este ritual se llama también isaaengmagi que significa “prevención de la mala suerte al mudarse” y en tiempos contemporáneos, los amuletos de papel llamados bujeok han formado gran parte del ritual, elaborados por un chamán o un monje budista, que traen a veces los talismanes y los colocan en las entradas o puertas después de haber ofrecido las oraciones dando vuelta por la casa. | Iptaekgosa is a ritual held upon moving into a newly constructed home or from one house to another, to pray for peace and prosperity for the family. These house entry rituals, also called jipgosa (house ritual), are observed around the country. Iptaekgosa can be categorized into ritual types and sorcery types. Ritual types can again be grouped into reception rites for the house guardian god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officiated by a shaman or recitation sorcerer, and house entry rites officiated by the head of the family in the tradition of household god worship rituals. The latter focuses on reporting to Seongju and other household gods that a new family has moved in, and to ask for peace and protection. Sacrificial foods include layered rice cake (sirutteok) and wine, and after offering bows, the rice cake is cut up into chunks and placed in various corners of the house. This ritual is followed by the invitation of neighbors into the house (jipdeuri). Sorcery-type house entry rituals are practiced in a range of methods that vary by family and aim at preventing bad fortune or bad energy that can arise in an unfamiliar setting. The ritual is also called isaaengmagi (prevention of bad fortune upon moving) and in contemporary times talismans (bujeok) have become a big part of the ritual, issued by a Buddhist monk or a shaman, who sometimes bring the talismans and hangs them over gates and doors after a round of prayers around the house. | 人们在新屋落成入住或从旧宅迁至新居时,为祈祷家人平安和财运而举办的祭仪。 “入宅[告祀](/topic/告祀)”在韩国是全国性的信仰祭仪,亦称“家庭告祀”。仪式方式大概可分为祭拜和咒术两种。其中祭拜又分两种,一是巫师,万神或者[诵经](/topic/诵经)先生恭迎“[城主](/topic/城主)神”,另一种是以户主为中心举办家庭信仰祭仪。 入宅告祀是一种打招呼式的祭仪,意在通过向城主为首的新居宅神告知迁居,祈祷幸福和神灵保佑。入宅告祀的顺序为先将甑糕和酒摆好,行祭拜礼;然后把甑糕切成多份放在家中各处;之后邀邻居来作客。 咒术入宅告祀属于咒术驱厄,家家户户有多种方式,旨在化解[煞](/topic/煞)气,抵御陌生地方有可能发生的厄运或不测,亦称“乔迁[除厄](/topic/除厄)”。最近贴[符箓](/topic/符箓)变得很常见,人们从寺庙的僧侣或者[丹骨](/topic/丹骨)巫(音)那里求得符箓,或者画符的人亲自到家里走一圈进行祈福,然后在大门及各房门上方贴上符箓。 | 내용 | 각 가정의 신앙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의례 방식이 있다. 크게 제의형과 주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낯선 공간과 세계로 진입함으로써 미래에 생길지도 모르는 액과 불운을 예방하려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제의형은 무당이나 만신 또는 [독경](/topic/독경)쟁이 등 민간신앙의 전문 사제자가 중심이 되어 성주신을 맞아들이는 성주받이 의례와 가정 내 [대주](/topic/대주), 즉 가장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적인 [고사](/topic/고사) 형식의 가정신앙 제의 방식으로 행해지는 [입택고사](/topic/입택고사)로 나뉜다. 입택고사는 성주를 중심으로 새집의 각 공간에 좌정한 것으로 믿어지는 [가신](/topic/가신)들에게 [이사](/topic/이사) 온 것을 알리고 안녕과 보살핌을 기원하기 위한 인사로서의 의례를 행하는 것이다. 주술형은 주술적 액막이로서 가정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하나의 집에는 생활공간의 성격이나 가족사의 특수성에 따라 여러 가신이 존재한다. 그러나 주택 자체와 관련된 신은 성주이다. 한자로는 상량(上樑)을 뜻하는 성조(成造)로 표기되는 만큼 어떤 형태의 집이든 건물이 있으면 성주가 있다. 그런데 성주는 맞아들이지 않으면 오지 않는 신이다. 따라서 새로 집을 짓거나 집을 사서 이사할 경우 성주를 모셔 들이는 의식인 성주받이가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가정에 따라 남의 집을 구입해 이사할 때 성주 신체를 모시지 않고 고사만 한다는 사례가 있기도 하지만 대개 가옥 전체를 사용하는 주인인 경우 집에 성주를 모신다. 성주받이는 상량식 때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대개 [입주](/topic/입주) 때 행해진다. 상량을 할 때 [대들보](/topic/대들보) 중심에는 입주(立柱) 연월일과 ‘응천상지삼광 비인문지오복(應天上之三光 備人間之五福)’ 등 복을 비는 글귀를 쓰며, 대들보의 양쪽 끝에는 ‘용(龍)’ 또는 ‘해(海)’와 ‘구(龜)’ 자를 적어 놓고 [백지](/topic/백지)를 붙인다. 그런 다음 제물을 차려서 고사를 지낸 뒤 상량한다. 이것은 집의 중심이 되는 대들보에 성주를 받아들이는 간단한 의례이며, 보통 상량고사로 불린다. 그러나 집에 따라서는 날을 받아 성주받이굿을 하기도 한다. 이때 성주거리에서 그 집의 대주로 하여금 소나무 [가지](/topic/가지)로 된 성주대를 잡게 하여 신을 내리게 한 다음 좌정시키고 나서 무녀가 백지를 술에 적셔 대들보에 대고 쌀을 뿌려 붙게 한다. 새집에 입주할 때 행하는 성주받이굿 역시 형식이 다르지 않다. 다만 지역이나 무당에 따라 약간씩 [변이](/topic/변이)가 발생한다. 대주가 아니라 무당 자신이 대를 잡고 뜰로 나가 성주신을 맞아들여 놀리고 나서 성주신의 좌정처를 그 대가 가리키는 곳으로 삼아 대에 매단 백지를 풀어서 동전을 넣고 접은 다음 청수에 적셔 상량대 밑 벽이나 [기둥](/topic/기둥) 상부에 붙이는 방식이 있다. 경상남도 산청지역에서는 집을 새로 지을 때 그 전에 있던 성주와 조상이 멀리 가는 것이 아니라 집 근처 나무로 옮겨 임시로 좌정하고 있다고 여긴다. 집이 완성되면 가장 먼저 각처에 흩어져 있는 조상들을 다시 집 안으로 모셔온다. 무당이 대를 가지고 근처 나무에 가서 “성주, 조상님. 여기 계시다면 이곳에 오르십시오.”하여 대에 앉힌 다음 집에서 새로 정해 둔 자리에 옮겨 좌정하시라고 앉힌다. 성주신의 [봉안](/topic/봉안)인 성주받이가 비록 집을 새로 지었거나 새로 산 집의 가옥 신으로 성주를 모시는 굿이지만 아무 때나 성주를 모실 수는 없고 대주의 나이가 27, 37, 47, 57 등과 같이 7의 수가 드는 해 10월에 택일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진술도 있다. 경상도에서는 3과 7의 수가 드는 해에 행해진다고도 한다. 이러한 믿음에 따르면 입주가 이루어지고 나서 몇 년이 경과된 뒤에 성주받이가 행해지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성주를 매년 새로 맞아들이는 곳도 있다. 경기도 안산시 풍도에서는 ‘[안택](/topic/안택) 한다.’고 하여 매년 정월이나 2월에 성주받이를 한다. 이때 ‘성주받는 양반’, 즉 독경쟁이를 불러서 한다. 그는 경을 읽는 사람으로, 북을 두드리면서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를 한다. 성주풀이를 할 때마다 성주를 새로 바꾸며 [한지](/topic/한지)를 둥근 모양으로 뭉쳐서 물을 발라 [마루](/topic/마루)의 상량 위에 붙여놓는다. 새집에 입주를 하면서 똑같이 가신을 맞아들이지만, 성주가 아니라 터주를 모시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 구리지역에서는 새집을 짓고 집안 살림이 들어가기 전에 먼저 ‘터주 앉히기’를 한 사례가 있다. 터주의 신체로서 [터줏가리](/topic/터줏가리)를 만들었다. 항아리에 벼를 넣고 [짚주저리](/topic/짚주저리)로 덮었다. 주저리를 엮는 일은 대주가 하였다. 징이나 장구는 치지 않는다. 즉 굿이 아니라 돼지머리, [시루떡](/topic/시루떡), 과일 등 제물을 차려 놓고 절을 하는 고사 형식이었다. 이 경우는 가신들을 모시고 있는 가정에서 살던 집을 허물고 새로 집을 짓는 상황이었다. 집을 헐기 전에 무당을 불러 기존의 가신 신체들을 태우는 의례를 행했다. 이를 “터주 내린다.”고 하였다. 내린 터주를 다시 앉힘으로써 새로운 주택에 대해 새로운 공간 질서와 신성성을 확보하는 것은 성주받이와 마찬가지이다. 입택고사에 대해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은 “이사를 가면 먼저 고사부터 지내야 한다.”는 말이다. 시루떡과 술을 차려서 보통 고사를 지내는 것과 똑같이 절한 뒤 집의 여기저기에 떡을 떼어 가져다 둔 다음 이웃을 초대해 [집들이](/topic/집들이)를 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경기도 가평지역에서는 집고사라 하여 새로 집을 지은 뒤 입주할 때 고사를 지냈다. 10월 고사 지낼 때와 같이 집 안에 시루떡을 올렸다. 용왕이라 부르는 집 밖 [우물](/topic/우물)에는 백설기, 터주에는 돼지머리를 각각 제물로 올렸다. 주부와 그 남편이 함께 절을 하였다. 또는 입택고사를 할 때 [통북어](/topic/통북어)를 [창호지](/topic/창호지)나 [무명](/topic/무명)천에 묶어 왼새끼를 조금 꼬아서 마루의 기둥 위에 묶어 두기도 한다. 주술적 액막이는 낯선 공간에서 발생할지도 모를 액이나 탈을 일으키는 나쁜 기운을 몰아내기 위해 행하는 주술적 방식의 의례이다. 이사액막이라고도 불린다. 경남 밀양지역에서는 이사할 경우 가재도구를 들이기 전에 부정을 미연에 막기 위해 마른 해삼과 콩, [보리](/topic/보리) 등 잡곡 볶은 것을 깨끗한 종이에 함께 담아 큰 방의 네 귀퉁이에 먼저 놓아두거나 이사하는 날 새벽에 산에서 나는 약수를 한 동이 가득 담아 방 한가운데에 둔다. 이사 액막이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팥과 소금을 섞어 부정치기를 하는 것과 유사하게 집의 여기저기를 다니면서 한 움큼씩 집어 뿌리는 것이다. 팥죽을 쑤어서 집의 여기저기에 뿌리면서 다니거나 문설주나 [대문](/topic/대문)에 바르는 경우도 있다. 이때 개인에 따라 액을 쫓는 주언(呪言)이나 축원의 말을 덧붙이기도 한다. 최근에 와서 이사 액막이는 부적 붙이기가 일반화되었다. 절에 다니는 가정에서는 사찰의 스님, [단골](/topic/단골) 만신이 있는 경우는 만신에게서 부적을 받아오거나 그들이 직접 와서 집을 돌면서 축원해 준 다음 [현관](/topic/현관)을 비롯해 각 출입문 위쪽으로 부적을 붙여주기도 한다. 이런 신앙적 배경이 없는 가정 가운데에는 소의 [코뚜레](/topic/코뚜레)를 구해다 거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 용인시의 한 가정에는 엄나무가지, 자작나무, [목화](/topic/목화)씨, 성냥을 조금씩 섞어서 묶음을 만든 다음 새로 이사 간 집 [안방](/topic/안방) [장롱](/topic/장롱) 위쪽의 손 없는 곳에 봉안한 주물(呪物)이 있다. 이는 집안의 평안을 위해 주부가 다니는 절의 스님이 일러준 방법이라고 한다. 다시 새집으로 이사를 가게 되면 옛 것은 버리고 새로 만들어 똑같은 장소에 모셔 놓는다고 한다. 이는 벽사(辟邪)의 성질을 지니는 엄나무와 부풀어 오르는 성질로 인해 부와 풍요를 상징하는 목화씨, 성냥 등을 통해 액을 물리치고 부를 기원하는 일종의 부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일종의 귀신 속이기 형태의 연극적 의례도 있다. 주술적 내용을 포함한 이 의례는 한편으로는 길흉추택(吉凶推擇)의 택일(擇日) 신앙과 관련되어 있다. 앞에서 밝힌 것처럼 새로 집을 지었다 해도 대주의 나이가 일정 수에 해당되지 않으면 성주받이를 하지 않는다. 성주는 그를 상징하는 가족 구성원인 대주의 운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일반적으로 민속 상에서는 새로 집을 지으려 할 때 먼저 ‘성주 운 보기’라 하여 새로 집 짓는 대주의 운수와 앞으로 그 집을 지켜 줄 성주의 운이 서로 맞는가를 문복한다. 양쪽의 운이 닿지 않을 땐 대주의 아들이나 손자의 운으로 대신한다. 남자들 가운데 운 맞는 사람이 아무도 없으면 다른 이의 운을 빌려서 짓는다. 이 경우 집 주인은 상량고사 때도 절을 하지 않으며, [상량문](/topic/상량문)에도 운을 빌린 이의 이름을 쓴다. 집이 완성되면 하룻밤을 운 닿은 사람이 자고 나서 원 주인에게 집을 팔아넘기는 형식을 밟았다. 매매대금과 운을 빌려 준 사례로 담뱃값 정도를 주며 술을 대접한다. 이후에 상량문의 주인 이름도 바꾼다. 이와 관련된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성지역의 한 가정에서 새로 집을 지어 이사를 했다. 그러나 가주(家主)의 운이 집을 새로 짓는 것과 맞지 않아서 할 수 없는 형편이었지만 마침 운이 닿는 큰아들 이름으로 모든 과정을 진행하였다. 상량문을 쓸 때도 가주를 큰아들로 했고 새집에 입주할 때도 큰아들이 먼저 가서 잤다. 그때 [아랫목](/topic/아랫목)에서 ‘절굿대’[절굿공이]를 거꾸로 베고 잤다고 한다. 이후 초아흐렛날이나 열흘날처럼 [손 없는 날](/topic/손없는날)로 잡아 고사떡을 해서 제의를 행하고 입주를 하였다. 그 자리에서 아버지가 아들에게 돈을 건네고 “내가 네 집을 사야겠으니 팔아라.”라고 말하면 아들은 “그 돈을 받고 팔겠습니다.”라고 하여 실제 거래를 하는 것처럼 행동한 뒤에 식구들이 들어가 살았다고 한다.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의 운으로 집을 짓는 경우는 대주와 나이가 같은 사람으로 하여금 먼저 새집에서 하룻밤 잠을 자도록 한다. 이때 머리 방향을 거꾸로 하거나 [베개](/topic/베개) 대신 방수목[물에 젖지 않도록 방수 처리한 나무판] 같은 것을 베고 자야 한다. 이튿날 아침에 집주인이 이 사람에게 돈을 주고 값을 치르고 나서야 집에 들어간다. 이러한 형식은 문제가 되는 상황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피하면서 필요한 여건을 만들기 위한 방편으로 중간 매개자를 세우는 것이다. 사실 집의 건축과 관련된 의례들은 건축의 전 과정에 걸쳐 매우 다양하고 빈번하게 나타난다. 조선시대의 길흉추택서(吉凶推擇書)들에 포함된 내용 가운데 상당 부분이 새로운 주택의 건축과 관련된 각종 금기, 의례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각 과정이 수행되는 날과 시간에 대한 가림이 매우 심하였다. 이 일련의 과정 가운데 입택 관련 의례들은 가장 마지막 단계에 행해지는 것들이다. 이들 책에 나온 내용은 일종의 의례적 상식으로서 일반화된 것들이며, 관련 의례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의례 매뉴얼로서 기능하였다. 대개 한문으로 쓰여 있고 역법(曆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 이를 따로 공부한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람을 중심으로 의례를 행하면 되지만 한학(漢學)을 한 사람들이 점차 사라지면서 전문적 종교 직능자에게로 그 역할이 옮겨가게 되었다. | 참고문헌 |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공간과 문화 (이영진, 민속원, 2007) 한국의 가정신앙-경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Iptaekgosa se refiere a un ritual que tiene lugar cuando una familia se muda a casa nueva que se ha construido recientemente o de una casa o una nueva para rezar por la paz y prosperidad en la familia. El iptaekgosa que se llama también jipgosa se observa en todo el país. El ritual puede ser categorizado en el tipo de ritual y el tipo de hechicería. El tipo de ritual puede agruparse otra vez en dos categorías. Primera que se denomina “seongjubaji” es el rito de recepción al dios protector del hogar,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topic/Seongju), oficiado por un chamán o un hechicero, y otro que se llama “iptaekgosa” es el rito de la entrada a la casa, encabezado por el hombre la familia de acuerdo con la tradición de rituales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tutelares del hogar. El iptaekgos se concentra en informar a Seongju y otros dioses del hogar de una nueva familia que se ha mudado a una casa y se pide por la paz y protección. La comida sacrificial para el ritual incluye el pastel de arroz llamado sirutteok y licor. Luego de ofrecer las reverencias profundas ante la mesa ritual, la familia corta el sirutteok en pedazos y los coloca en cada esquina del hogar. El altaekgosa se finaliza con la invitación de los vecinos a la casa para servirles la comida preparada, lo que se llama jipdeuri. El ritual del tipo de hechicería se practica en una gama de métodos que varían según las familias y tiene por objetivo evitar la mala suerte o mala fuerza que podría surgir en un entorno poco familiar. Este ritual se llama también isaaengmagi que significa “prevención de la mala suerte al mudarse” y en tiempos contemporáneos, los amuletos de papel llamados bujeok han formado gran parte del ritual, elaborados por un chamán o un monje budista, que traen a veces los talismanes y los colocan en las entradas o puertas después de haber ofrecido las oraciones dando vuelta por la casa. | Iptaekgosa is a ritual held upon moving into a newly constructed home or from one house to another, to pray for peace and prosperity for the family. These house entry rituals, also called jipgosa (house ritual), are observed around the country. Iptaekgosa can be categorized into ritual types and sorcery types. Ritual types can again be grouped into reception rites for the house guardian god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officiated by a shaman or recitation sorcerer, and house entry rites officiated by the head of the family in the tradition of household god worship rituals. The latter focuses on reporting to Seongju and other household gods that a new family has moved in, and to ask for peace and protection. Sacrificial foods include layered rice cake (sirutteok) and wine, and after offering bows, the rice cake is cut up into chunks and placed in various corners of the house. This ritual is followed by the invitation of neighbors into the house (jipdeuri). Sorcery-type house entry rituals are practiced in a range of methods that vary by family and aim at preventing bad fortune or bad energy that can arise in an unfamiliar setting. The ritual is also called isaaengmagi (prevention of bad fortune upon moving) and in contemporary times talismans (bujeok) have become a big part of the ritual, issued by a Buddhist monk or a shaman, who sometimes bring the talismans and hangs them over gates and doors after a round of prayers around the house. | 人们在新屋落成入住或从旧宅迁至新居时,为祈祷家人平安和财运而举办的祭仪。 “入宅[告祀](/topic/告祀)”在韩国是全国性的信仰祭仪,亦称“家庭告祀”。仪式方式大概可分为祭拜和咒术两种。其中祭拜又分两种,一是巫师,万神或者[诵经](/topic/诵经)先生恭迎“[城主](/topic/城主)神”,另一种是以户主为中心举办家庭信仰祭仪。 入宅告祀是一种打招呼式的祭仪,意在通过向城主为首的新居宅神告知迁居,祈祷幸福和神灵保佑。入宅告祀的顺序为先将甑糕和酒摆好,行祭拜礼;然后把甑糕切成多份放在家中各处;之后邀邻居来作客。 咒术入宅告祀属于咒术驱厄,家家户户有多种方式,旨在化解[煞](/topic/煞)气,抵御陌生地方有可能发生的厄运或不测,亦称“乔迁[除厄](/topic/除厄)”。最近贴[符箓](/topic/符箓)变得很常见,人们从寺庙的僧侣或者[丹骨](/topic/丹骨)巫(音)那里求得符箓,或者画符的人亲自到家里走一圈进行祈福,然后在大门及各房门上方贴上符箓。 | 내용 | 각 가정의 신앙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의례 방식이 있다. 크게 제의형과 주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낯선 공간과 세계로 진입함으로써 미래에 생길지도 모르는 액과 불운을 예방하려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제의형은 무당이나 만신 또는 [독경](/topic/독경)쟁이 등 민간신앙의 전문 사제자가 중심이 되어 성주신을 맞아들이는 성주받이 의례와 가정 내 [대주](/topic/대주), 즉 가장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적인 [고사](/topic/고사) 형식의 가정신앙 제의 방식으로 행해지는 [입택고사](/topic/입택고사)로 나뉜다. 입택고사는 성주를 중심으로 새집의 각 공간에 좌정한 것으로 믿어지는 [가신](/topic/가신)들에게 [이사](/topic/이사) 온 것을 알리고 안녕과 보살핌을 기원하기 위한 인사로서의 의례를 행하는 것이다. 주술형은 주술적 액막이로서 가정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하나의 집에는 생활공간의 성격이나 가족사의 특수성에 따라 여러 가신이 존재한다. 그러나 주택 자체와 관련된 신은 성주이다. 한자로는 상량(上樑)을 뜻하는 성조(成造)로 표기되는 만큼 어떤 형태의 집이든 건물이 있으면 성주가 있다. 그런데 성주는 맞아들이지 않으면 오지 않는 신이다. 따라서 새로 집을 짓거나 집을 사서 이사할 경우 성주를 모셔 들이는 의식인 성주받이가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가정에 따라 남의 집을 구입해 이사할 때 성주 신체를 모시지 않고 고사만 한다는 사례가 있기도 하지만 대개 가옥 전체를 사용하는 주인인 경우 집에 성주를 모신다. 성주받이는 상량식 때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대개 [입주](/topic/입주) 때 행해진다. 상량을 할 때 [대들보](/topic/대들보) 중심에는 입주(立柱) 연월일과 ‘응천상지삼광 비인문지오복(應天上之三光 備人間之五福)’ 등 복을 비는 글귀를 쓰며, 대들보의 양쪽 끝에는 ‘용(龍)’ 또는 ‘해(海)’와 ‘구(龜)’ 자를 적어 놓고 [백지](/topic/백지)를 붙인다. 그런 다음 제물을 차려서 고사를 지낸 뒤 상량한다. 이것은 집의 중심이 되는 대들보에 성주를 받아들이는 간단한 의례이며, 보통 상량고사로 불린다. 그러나 집에 따라서는 날을 받아 성주받이굿을 하기도 한다. 이때 성주거리에서 그 집의 대주로 하여금 소나무 [가지](/topic/가지)로 된 성주대를 잡게 하여 신을 내리게 한 다음 좌정시키고 나서 무녀가 백지를 술에 적셔 대들보에 대고 쌀을 뿌려 붙게 한다. 새집에 입주할 때 행하는 성주받이굿 역시 형식이 다르지 않다. 다만 지역이나 무당에 따라 약간씩 [변이](/topic/변이)가 발생한다. 대주가 아니라 무당 자신이 대를 잡고 뜰로 나가 성주신을 맞아들여 놀리고 나서 성주신의 좌정처를 그 대가 가리키는 곳으로 삼아 대에 매단 백지를 풀어서 동전을 넣고 접은 다음 청수에 적셔 상량대 밑 벽이나 [기둥](/topic/기둥) 상부에 붙이는 방식이 있다. 경상남도 산청지역에서는 집을 새로 지을 때 그 전에 있던 성주와 조상이 멀리 가는 것이 아니라 집 근처 나무로 옮겨 임시로 좌정하고 있다고 여긴다. 집이 완성되면 가장 먼저 각처에 흩어져 있는 조상들을 다시 집 안으로 모셔온다. 무당이 대를 가지고 근처 나무에 가서 “성주, 조상님. 여기 계시다면 이곳에 오르십시오.”하여 대에 앉힌 다음 집에서 새로 정해 둔 자리에 옮겨 좌정하시라고 앉힌다. 성주신의 [봉안](/topic/봉안)인 성주받이가 비록 집을 새로 지었거나 새로 산 집의 가옥 신으로 성주를 모시는 굿이지만 아무 때나 성주를 모실 수는 없고 대주의 나이가 27, 37, 47, 57 등과 같이 7의 수가 드는 해 10월에 택일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진술도 있다. 경상도에서는 3과 7의 수가 드는 해에 행해진다고도 한다. 이러한 믿음에 따르면 입주가 이루어지고 나서 몇 년이 경과된 뒤에 성주받이가 행해지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성주를 매년 새로 맞아들이는 곳도 있다. 경기도 안산시 풍도에서는 ‘[안택](/topic/안택) 한다.’고 하여 매년 정월이나 2월에 성주받이를 한다. 이때 ‘성주받는 양반’, 즉 독경쟁이를 불러서 한다. 그는 경을 읽는 사람으로, 북을 두드리면서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를 한다. 성주풀이를 할 때마다 성주를 새로 바꾸며 [한지](/topic/한지)를 둥근 모양으로 뭉쳐서 물을 발라 [마루](/topic/마루)의 상량 위에 붙여놓는다. 새집에 입주를 하면서 똑같이 가신을 맞아들이지만, 성주가 아니라 터주를 모시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 구리지역에서는 새집을 짓고 집안 살림이 들어가기 전에 먼저 ‘터주 앉히기’를 한 사례가 있다. 터주의 신체로서 [터줏가리](/topic/터줏가리)를 만들었다. 항아리에 벼를 넣고 [짚주저리](/topic/짚주저리)로 덮었다. 주저리를 엮는 일은 대주가 하였다. 징이나 장구는 치지 않는다. 즉 굿이 아니라 돼지머리, [시루떡](/topic/시루떡), 과일 등 제물을 차려 놓고 절을 하는 고사 형식이었다. 이 경우는 가신들을 모시고 있는 가정에서 살던 집을 허물고 새로 집을 짓는 상황이었다. 집을 헐기 전에 무당을 불러 기존의 가신 신체들을 태우는 의례를 행했다. 이를 “터주 내린다.”고 하였다. 내린 터주를 다시 앉힘으로써 새로운 주택에 대해 새로운 공간 질서와 신성성을 확보하는 것은 성주받이와 마찬가지이다. 입택고사에 대해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은 “이사를 가면 먼저 고사부터 지내야 한다.”는 말이다. 시루떡과 술을 차려서 보통 고사를 지내는 것과 똑같이 절한 뒤 집의 여기저기에 떡을 떼어 가져다 둔 다음 이웃을 초대해 [집들이](/topic/집들이)를 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경기도 가평지역에서는 집고사라 하여 새로 집을 지은 뒤 입주할 때 고사를 지냈다. 10월 고사 지낼 때와 같이 집 안에 시루떡을 올렸다. 용왕이라 부르는 집 밖 [우물](/topic/우물)에는 백설기, 터주에는 돼지머리를 각각 제물로 올렸다. 주부와 그 남편이 함께 절을 하였다. 또는 입택고사를 할 때 [통북어](/topic/통북어)를 [창호지](/topic/창호지)나 [무명](/topic/무명)천에 묶어 왼새끼를 조금 꼬아서 마루의 기둥 위에 묶어 두기도 한다. 주술적 액막이는 낯선 공간에서 발생할지도 모를 액이나 탈을 일으키는 나쁜 기운을 몰아내기 위해 행하는 주술적 방식의 의례이다. 이사액막이라고도 불린다. 경남 밀양지역에서는 이사할 경우 가재도구를 들이기 전에 부정을 미연에 막기 위해 마른 해삼과 콩, [보리](/topic/보리) 등 잡곡 볶은 것을 깨끗한 종이에 함께 담아 큰 방의 네 귀퉁이에 먼저 놓아두거나 이사하는 날 새벽에 산에서 나는 약수를 한 동이 가득 담아 방 한가운데에 둔다. 이사 액막이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팥과 소금을 섞어 부정치기를 하는 것과 유사하게 집의 여기저기를 다니면서 한 움큼씩 집어 뿌리는 것이다. 팥죽을 쑤어서 집의 여기저기에 뿌리면서 다니거나 문설주나 [대문](/topic/대문)에 바르는 경우도 있다. 이때 개인에 따라 액을 쫓는 주언(呪言)이나 축원의 말을 덧붙이기도 한다. 최근에 와서 이사 액막이는 부적 붙이기가 일반화되었다. 절에 다니는 가정에서는 사찰의 스님, [단골](/topic/단골) 만신이 있는 경우는 만신에게서 부적을 받아오거나 그들이 직접 와서 집을 돌면서 축원해 준 다음 [현관](/topic/현관)을 비롯해 각 출입문 위쪽으로 부적을 붙여주기도 한다. 이런 신앙적 배경이 없는 가정 가운데에는 소의 [코뚜레](/topic/코뚜레)를 구해다 거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 용인시의 한 가정에는 엄나무가지, 자작나무, [목화](/topic/목화)씨, 성냥을 조금씩 섞어서 묶음을 만든 다음 새로 이사 간 집 [안방](/topic/안방) [장롱](/topic/장롱) 위쪽의 손 없는 곳에 봉안한 주물(呪物)이 있다. 이는 집안의 평안을 위해 주부가 다니는 절의 스님이 일러준 방법이라고 한다. 다시 새집으로 이사를 가게 되면 옛 것은 버리고 새로 만들어 똑같은 장소에 모셔 놓는다고 한다. 이는 벽사(辟邪)의 성질을 지니는 엄나무와 부풀어 오르는 성질로 인해 부와 풍요를 상징하는 목화씨, 성냥 등을 통해 액을 물리치고 부를 기원하는 일종의 부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일종의 귀신 속이기 형태의 연극적 의례도 있다. 주술적 내용을 포함한 이 의례는 한편으로는 길흉추택(吉凶推擇)의 택일(擇日) 신앙과 관련되어 있다. 앞에서 밝힌 것처럼 새로 집을 지었다 해도 대주의 나이가 일정 수에 해당되지 않으면 성주받이를 하지 않는다. 성주는 그를 상징하는 가족 구성원인 대주의 운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일반적으로 민속 상에서는 새로 집을 지으려 할 때 먼저 ‘성주 운 보기’라 하여 새로 집 짓는 대주의 운수와 앞으로 그 집을 지켜 줄 성주의 운이 서로 맞는가를 문복한다. 양쪽의 운이 닿지 않을 땐 대주의 아들이나 손자의 운으로 대신한다. 남자들 가운데 운 맞는 사람이 아무도 없으면 다른 이의 운을 빌려서 짓는다. 이 경우 집 주인은 상량고사 때도 절을 하지 않으며, [상량문](/topic/상량문)에도 운을 빌린 이의 이름을 쓴다. 집이 완성되면 하룻밤을 운 닿은 사람이 자고 나서 원 주인에게 집을 팔아넘기는 형식을 밟았다. 매매대금과 운을 빌려 준 사례로 담뱃값 정도를 주며 술을 대접한다. 이후에 상량문의 주인 이름도 바꾼다. 이와 관련된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성지역의 한 가정에서 새로 집을 지어 이사를 했다. 그러나 가주(家主)의 운이 집을 새로 짓는 것과 맞지 않아서 할 수 없는 형편이었지만 마침 운이 닿는 큰아들 이름으로 모든 과정을 진행하였다. 상량문을 쓸 때도 가주를 큰아들로 했고 새집에 입주할 때도 큰아들이 먼저 가서 잤다. 그때 [아랫목](/topic/아랫목)에서 ‘절굿대’[절굿공이]를 거꾸로 베고 잤다고 한다. 이후 초아흐렛날이나 열흘날처럼 [손 없는 날](/topic/손없는날)로 잡아 고사떡을 해서 제의를 행하고 입주를 하였다. 그 자리에서 아버지가 아들에게 돈을 건네고 “내가 네 집을 사야겠으니 팔아라.”라고 말하면 아들은 “그 돈을 받고 팔겠습니다.”라고 하여 실제 거래를 하는 것처럼 행동한 뒤에 식구들이 들어가 살았다고 한다.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의 운으로 집을 짓는 경우는 대주와 나이가 같은 사람으로 하여금 먼저 새집에서 하룻밤 잠을 자도록 한다. 이때 머리 방향을 거꾸로 하거나 [베개](/topic/베개) 대신 방수목[물에 젖지 않도록 방수 처리한 나무판] 같은 것을 베고 자야 한다. 이튿날 아침에 집주인이 이 사람에게 돈을 주고 값을 치르고 나서야 집에 들어간다. 이러한 형식은 문제가 되는 상황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피하면서 필요한 여건을 만들기 위한 방편으로 중간 매개자를 세우는 것이다. 사실 집의 건축과 관련된 의례들은 건축의 전 과정에 걸쳐 매우 다양하고 빈번하게 나타난다. 조선시대의 길흉추택서(吉凶推擇書)들에 포함된 내용 가운데 상당 부분이 새로운 주택의 건축과 관련된 각종 금기, 의례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각 과정이 수행되는 날과 시간에 대한 가림이 매우 심하였다. 이 일련의 과정 가운데 입택 관련 의례들은 가장 마지막 단계에 행해지는 것들이다. 이들 책에 나온 내용은 일종의 의례적 상식으로서 일반화된 것들이며, 관련 의례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의례 매뉴얼로서 기능하였다. 대개 한문으로 쓰여 있고 역법(曆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 이를 따로 공부한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람을 중심으로 의례를 행하면 되지만 한학(漢學)을 한 사람들이 점차 사라지면서 전문적 종교 직능자에게로 그 역할이 옮겨가게 되었다. | 참고문헌 |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공간과 문화 (이영진, 민속원, 2007) 한국의 가정신앙-경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
계명대학교출판부 | 조선무속의 현지연구 | 秋葉隆, 최길성 역 | 1987 | 청년사 | 한국무속의 신의 유형 | 이용범 | 2002 | 한국무속학회 | 서울 강북지역 벌리도당굿과 북한산도당굿 현지조사 | 양종승 | 2002 | 한국무속학회 | 서울 마을굿의 유형과 계통 | 박흥주 | 2006 |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 서울 마을굿의 전승 현황과 유형 구분 | 홍태한 | 2008 |
---|
집들이안택고사 | 13759 집들이안택고사 |
---|---|
집들이안택고사 | 13758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7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6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5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4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9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8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7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6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5 집들이안택고사 |
집들이안택고사 | 13754 집들이안택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