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경기도 제석굿에서 추는 춤. |
---|---|
mp3Cnt | 0 |
wkorname | 변남섭 |
정의 | 경기도 제석굿에서 추는 춤. | 내용 | 제석굿은 서울에서도 행해지기는 하지만 경기도의 제석굿이 비중도 높고, 장단 구성과 춤이 가장 화려하게 발달했다. 제석춤은 굿거리의 단계마다 각기 다른 춤을 춘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하는 제석춤은 [봉등채](/topic/봉등채)장단에 춤을 추고 부정놀이장단과 [진쇠춤](/topic/진쇠춤)이나 여타의 장단에 맞춰 춤을 춘다. 그러나 현행의 제석춤은 부정놀이장단, 자진굿거리장단 및 여타의 장단에 맞추어 차례대로 춤을 추고 난 뒤에 바라타령을 하면서 [바라춤](/topic/바라춤)을 춘 다음 나머지 필요한 춤을 춘다. 이처럼 제석춤은 적극적인 전통에서 소극적 전통으로 변화 과정을 거쳤다.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이전의 경기 남부 굿에서는 제석굿이 시작되기 전에 작은 신, 큰 신 등 여러 신을 합의시키고 서원과 기원을 들이는 신모듬춤을 ‘더그래’라고 하는 관디를 입고 권선장단에 춘다. 이어서 봉등채장단에 봉등채춤을 추고 제석청배를 한다. 청배가 끝나면 부정을 물리치기 위한 [부정놀이춤](/topic/부정놀이춤)을 부정놀이장단에 춘 후 올림채, 천둥채, 올림채, [겹마치](/topic/겹마치), 진쇠장단 순으로 춤을 춘다고 되어 있다. 현행의 춤은 형태가 조금 다르다. 산이의 제석청배가 끝나면 미지가 흰 [장삼](/topic/장삼)에 [가사](/topic/가사)를 두르고, 흰 [고깔](/topic/고깔)을 쓰고 부채 방울을 든 다음 굿상 앞에서 [꽹과리](/topic/꽹과리)·징·장구의 부정놀이장단에 맞춰 부정놀이춤을 춘다. 2소박 4박자로 된 부정놀이장단에 좌우로 발을 옮기며 부채는 좌우, 방울은 위아래로 각각 움직이는 [춤사위](/topic/춤사위)를 한다. 좌우로 돌아 맺고 제자리에서 [제석본풀이](/topic/제석본풀이)를 한 후 다시 부정놀이, 자진굿거리 순서에 따라 춤을 춘다. 자진굿거리는 3소박 4박자로 자진모리와 비슷한 빠르기이며 굿에서는 첫 박을 세게 치지 않고 반듯하게 친다. 당공수와 만수받이에 이어 [제석상](/topic/제석상)의 제물을 장삼 위에 올리고 자진굿거리장단에 당놀림춤을 춘다. 고깔, 두부, 밤, [대추](/topic/대추) 등을 좌우와 위아래로 단아하게 놀리고 난 후 장삼을 뿌리고 절을 올리는 장삼춤이 이어진다. 도드리, 자진굿거리, [당악](/topic/당악)장단 순으로 가락이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몇 차례의 공수를 주고 바라를 든다. 경기 남부에서는 바라보다 크기가 작은 [제금](/topic/제금)을 사용한다. 왼손은 명바라, 오른손은 복바라라고 하여 ‘덩 궁 덩 궁 덩 더기덩 따’의 [염불](/topic/염불)마리라는 장구장단으로 반주하는데 2소박 4박자로 부정놀이와 한 배가 맞는다. 미지는 바라를 몇 차례 좌우 두 번씩 치고 어깨 위에서 바라를 돌리며 춤사위를 펼친다. 바라춤을 추고 난 뒤 바라타령을 하며 자손의 명과 복을 판다. 이어지는 당공수, 섭채, 거리노래가락, 바라타령에서는 제금을 뒤집어서 서로 반쯤 포개거나 어깨 위로 들고 어깨춤을 추기도 한다. 섭채는 도살풀이를 말하는 것으로, 굿에서 무가를 부를 때 쓰인다. ‘청태산 들어간다’로 시작하는 섭채무가로 축원한다. 마지막으로 자진굿거리장단에 복을 주며 수부를 치고 마친다. | 지역사례 | 서울굿과 황해도굿에도 제석굿이 있어 제석춤을 춘다. 서울굿에서 불사제석춤과 안당제석춤이 여기에 해당한다. 황해도 지역에서는 제석굿거리에서 제석춤을 춘다. 서울굿의 불사제석춤과 안당제석춤은 주로 들어숙배와 나숙배 춤을 추고 도무한다. [세습무](/topic/세습무)의 굿과 강신무의 굿이 서로 다른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지만 경기도, 서울, 황해도의 제석춤을 통해 신을 섬기는 면모나 굿을 진행하는 절차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 제석춤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진쇠장단외 십일장단 (박헌봉, 중요무형문화재보고서 28, 문교부, 1966)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무의식편 (정병호 외, 문화재관리국, 1983) 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 연구 (김헌선, 집문당, 1995) 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성금연편 (민속원, 2000) 경기판소리의 정착과 형성집단-경기판소리 (김헌선, 경기도 국악당, 2005) |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경남ㆍ경북 동해안 무악 비교 연구 | 장휘주 | 2002 | 한국무속학회 | 남해안 별신굿 음악 현지연구 | 이용식 | 2003 | 집문당 | 민속, 문화, 그리고 음악 | 이용식 | 2006 | 한국무속학회 | 서울굿의 장단사용과 장단구조의 연계성 | 김혜정 | 2006 | 한국무속학회 | 황해도 맞이굿 형식과 특성 고찰 | 양종승 | 2008 | 서울대학교 출판부 | 한국음악의 뿌리, 팔도 굿음악 | 이용식 | 20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