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받이씻김굿

한국무속신앙사전
굿하는 날자를 [택일](/topic/택일)해 벌이는 씻김굿. 초상을 치르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하는 굿이므로 ‘마른씻김굿’ 또는 ‘묵은씻김굿’이라고도 한다.
definition
굿하는 날자를 [택일](/topic/택일)해 벌이는 씻김굿. 초상을 치르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하는 굿이므로 ‘마른씻김굿’ 또는 ‘묵은씻김굿’이라고도 한다.
mp3Cnt
0
wkorname
이경엽
정의굿하는 날자를 [택일](/topic/택일)해 벌이는 씻김굿. 초상을 치르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하는 굿이므로 ‘마른씻김굿’ 또는 ‘묵은씻김굿’이라고도 한다.
全罗道地区为祈祷逝者平安进入阴曹地府而举行的巫祭。

洗灵巫祭祭程在不同情况下有稍许不同,但大多分为初部,中部,终部进行。初部有一些祈祷生者福乐的巫祭活动。中部全部和亡者相关,故又称“亡者巫祭”。该部分举行一些告慰亡者灵魂的巫祭活动。终部恭送聚在巫祭场的众神,在大门口或胡同口举行。“洗灵”意指洗清此生的种种冤屈。

“洗灵巫祭”根据目的和情况分成三种:“棺首洗灵巫祭”,“择日洗灵巫祭”,“送生洗灵巫祭”。“棺首洗灵巫祭”于出丧前日举行,因在棺材旁进行,故得此名,亦称“棺材头洗灵巫祭”,“近洗灵巫祭”,“近巫祭”,“近日”等。人死产生不净,所以人们认为该巫祭属于升天巫祭,不举行“灶王祭”和“七星祭”,跳过为生者祈祷福乐的环节。洗陈灵祭强调为现世祈福,而棺首洗灵巫祭则主要由亡者巫祭构成。人们在放置棺材的房间为亡者荐度。先在棺材上扣好结,再解开结,然后开始洗灵。若亡者已享尽天寿,则用歌舞恭送逝者。这种巫祭属于喜丧的一部分。

“择日洗灵巫祭”是选定日子举行的洗灵巫祭,在初丧后过一段日子举行,故又称“洗干灵巫祭”或“洗陈灵巫祭”。“择日洗灵巫祭”为众祖先洗刷冤屈。“棺首洗灵巫祭”侧重为亡者荐度,“择日洗灵巫祭”则更强调为生者祈祷平安。

“送生洗灵巫祭”是一种为生者举行的洗灵巫祭。当家中耄耋老人健康状态不好时,家人担心其不久将离开人世,为了让其死后被荐度到好的地方,遂请巫师来做巫祭。它的程序与方法基本和前面介绍的“棺首洗灵巫祭”,“择日洗灵巫祭”等为亡者举行的巫祭一样。只是有稍许不同。第一,“送生洗灵巫祭”扩充了祖先祭程。这是因为该巫祭旨在让生者荐度,所以要向众祖先神祈愿以达到该目的。第二,将生者和祖先的衣服一起焚烧。这是因为该巫祭中的祈祷对象某种程度上被视为已死之人。第三,洗灵巫祭的祈祷对象身处巫祭的活动现场。之所以他能被当做是洗灵巫祭的对象,是因为他虽然活着,但人们从某种角度上将其看做是已死之身。因此若没有获得洗灵巫祭对象的默认或同意,家人不举行“送生洗灵巫祭”。
내용날받이는 택일(擇日)을 의미한다. [곽머리씻김굿](/topic/곽머리씻김굿)처럼 불시에 초상을 당해 하는 굿이 아니라 미리 날을 받아 하는 굿이라면 모두 날받이씻김굿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날받이씻김굿이란 용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때가 많다. 즉 집안에 우환이 생겨 점을 치게 되었는데 그 처방으로 조상을 씻겨줘야 한다는 점괘가 나와 하게 된 굿을 날받이씻김굿이라고 한다. 곽머리씻김굿이 망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데 비해 날받이씻김굿에서는 여러 조상을 모셔 씻겨준다. 또한 곽머리씻김굿이 망자 천도에 대한 목적이 강조되는 데 비해 날받이씻김굿은 살아 있는 사람들의 평안을 비는 내용이 더 부각된다.

날받이씻김굿은 진굿이 아닌 마른굿이다. 진굿은 망자의 천도를 비는 절차가 중시되며, 어느 정도 시일이 경과한 뒤에 하는 마른굿은 산 사람들의 복락을 축원하는 내용이 대폭 추가된다. 진굿에서는 부정이 발생한 상황이기 때문에 조왕굿을 하지 않으며, 망자의 천도를 비는 내용이 주가 되므로 산 사람들의 복락을 비는 절차들은 누락되게 된다. 그래서 철륭굿, 칠성굿 등의 절차는 빠[지게](/topic/지게) 된다. 예를 들어 부안 줄포의 진씻김굿은 [성주굿](/topic/성주굿), 조상석, 해원굿, 연올리기, 오구물림, [고풀이](/topic/고풀이), 소당개시끔, 질닦기, 중천맥이로 구성된다. 그리고 묵은 씻김굿은 조왕석, 철륭석, 선영알림, 지신석, 서낭석, [칠성풀이](/topic/칠성풀이), 손님석, [장자풀이](/topic/장자풀이) 등이 앞부분에 추가된다. 마른굿은 진굿과 달리 부정을 타지 않는 상황이라고 해석되므로 진굿에서 조심스럽게 경계하는 절차들도 제약 없이 연행된다. 이렇게 추가된 절차들은 대부분 현세의 복락을 축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날받이씻김굿에 해당하는 굿은 전국적으로 퍼져 있다. 조상을 위하고 집안의 복을 축원하는 재수굿이라면 대개 날받이씻김굿과 비슷한 굿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례날받이씻김굿의 대표적인 사례로 진도 채정례 무녀의 굿을 보면, 조왕굿, 안당, 초가망석, 손님굿, 제석굿, 선영모시기, 넋올리기, 희설, 씻김, [고풀이](/topic/고풀이), 길닦음, 중천맥이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에 따라 조금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대체로 비슷한 내용으로 돼 있다.

조왕굿은 부정을 물리고 가족들의 재수를 축원하는 절차다. 안당은 집안의 최고신인 성주신에게 굿을 하게 된 내력을 아뢰고 축원하는 거리다. 성주신은 집안의 평안과 부귀를 관장하는 신격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조상, 지신, 조왕, 삼신, 철룡(철륭) 등도 청배된다. 이들 신은 모두 가택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초가망석에서 모셔지는 신은 조상이다. 그리고 신망조상이라고 부르는 망자도 청배된다. 초가망석은 지역에 따라 선부리라고도 한다. 손님굿의 손님은 일반적으로 천연두를 옮긴다는 [마마신](/topic/마마신)으로 비정된다. 대개 객귀적 속성을 지닌 신격으로 묘사된다. 진도에서는 선영상을 받지 않은 비교적 먼 친척과 친구들이라고도 한다.

손님굿에서는 손님노정기를 통해 손님을 청해 해를 끼치지 말고 좋게 해주고 가시라는 축원을 한다. 제석굿은 가정의 번창과 자손의 수복(壽福), 재수를 관장하는 제석신을 청배해 복덕을 축원하는 거리다. 제석굿에서는 무녀가 [한복](/topic/한복) 위에 [장삼](/topic/장삼)을 걸치고, 목에 염주를 걸치고, 머리에 [고깔](/topic/고깔)을 쓰고 [악사](/topic/악사)의 반주에 맞춰 굿을 진행하게 된다. 다른 굿거리들에서는 일반 한복만을 입고 굿을 하다가 이 굿에서는 이와 같은 복색을 갖춰 굿을 연행한다. 이 굿에서 서사무가 제석풀이와 집안의 복 및 재물을 축원하는 다양한 무가가 불려진다. 선영모시기는 조상을 대접하는 거리다.

넋올리기에서는 [한지](/topic/한지)를 사람 모양의 형상으로 오려 만든 넋을 망자의 옷[가지](/topic/가지) 위에 놓고 지전이나 신칼의 꽃술로 들어올리면서 무가를 가창한다. 이 절차는 망자의 영혼을 굿청에 모셔서 위로하고 달래기 위한 과정이며, 망자를 이승의 시공간에서 떼어내어 저승으로 보내는 의미를 담고 있다. 희설은 무녀 혼자 [망자상](/topic/망자상) 앞에 앉아 무가를 부르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내용은 망자가 극락에 가는 과정에서 만나는 관문을 통과하기를 바라는 축원으로 되어 있다. 고풀이는 긴 [무명](/topic/무명)베를 매듭지은 고를 풀면서 천도를 비는 굿이다. 고는 망자가 이승에서 풀지 못한 원한을 구상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고가 잘 풀려야 망자의 원한이 풀린 것으로 간주되며, 그렇게 되었을 때 망자가 순탄하게 저승길을 갈 수 있다고 여긴다.

씻김은 망자가 저승으로 잘 들어갈 수 있도록 깨끗이 씻기는 정화의례다. 씻김은 망자의 육신으로 간주되는 [영돈](/topic/영돈)을 말아서 씻는다. 씻김에서 사용되는 물은 향물, 쑥물, 맑은 물이다. 이 물을 차례로 빗자루에 적셔 위로부터 아래까지 골고루 씻겨내면서 망자의 천도를 비는 무가를 부른다. 길닦음은 망자가 가는 저승길을 닦아주는 거리다. 고풀이나 씻김 등을 통해 이승에서의 한이 풀렸으므로 이제 망자의 넋이 극락왕생하도록 길을 닦아 주는 것이다. 길은 [안방](/topic/안방)으로부터 [마당](/topic/마당)으로 길게 펼쳐 놓은 무명베이다. 이 때문에 질베([길베](/topic/길베))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질베는 이승과 저승을 이어주는 길 또는 다리를 상징한다. 이 길을 지나 망자가 저승에 들어가게 된다고 여긴다. 질베 양쪽 끝을 가족들이 붙잡고 서면 무녀는 넋을 담은 [넋당석](/topic/넋당석)을 질베 위로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길을 닦는다.

중천맥이는 잡귀와 잡신들을 잘 달래 풀어먹이는 거리다. 굿판에는 머물 곳 없이 떠도는 객귀들이 굿하는 소리를 듣고 몰려와 있는데, 마지막 절차에서 이들을 잘 풀어먹여 보내게 된다. 중천맥이에 나오는 잡귀는 대개 비정상적인 죽음 때문에 한을 품은 원혼들로, 정식 신으로 대접받지 못하는 존재들이다. 객귀들은 한을 품고 죽은 귀신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해악을 끼치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잘 대접해서 보내야 액을 막을 수 있다고 여긴다.

전라북도 정읍의 [전금순](/topic/전금순)(全今順) 무녀가 연행했던 날받이씻김굿은, [부정풀이](/topic/부정풀이), 조왕굿, 철륭굿, [성주굿](/topic/성주굿), 지신굿, [칠성풀이](/topic/칠성풀이), 조상굿, 제석굿, 손님굿, 조상해원, 오구세왕풀이, 씨끔굿, 길닦음, [장자풀이](/topic/장자풀이), 중천맥이, 내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진도무속현지조사 (국립민속박물관, 1987)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의 연구 (나경수, 호남문화연구 17, 전남대 호남문화연구소, 1988)
씻김굿 (이경엽, 한얼미디어, 2004)
Ssitgimgut, or grievance cleansing ritual, refers to underworld entry rites observed in the Jeolla provinces.

The procedures of this cleansing ritual vary by situation, but can generall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introduction comprises segments that focus on praying for the fortunes and well-being of the living; the middle section is called mangjagut, or ritual for the deceased, and is made up of segments for comforting and appeasing the spirit of the dead; and the closing is for seeing off the deities that have gathered at the ritual venue, taking place by the gate of a home or at the entrance of an alley.

Ssitgimgu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by purpose or situation:

Gwangmeori ssitgimgut, or coffin head cleansing ritual, takes place the day before the casket procession and takes place by the head of the coffin, and is also called gwanmeori (coffin head) ssitgimgut, jin (main) ssitgimgut, jingut (appeasing ritual), or jinil (appeasing day), since uncleanness has occurred due to death. Rituals for [[Jowang](/topic/KitchenGod)](/topic/Jowang) (Kitchen Deity) or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are not included in the procedure, or neither is the process of praying for the fortune and wellbeing of the living. Whereas mugeun ssitgimgut, held after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has passed after the death, focuses on the prayer for good fortunes in this world, the coffin head ritual revolves around rites for the dead. The procedure for praying for the dead person’s entry into the underworld takes place inside the room where the coffin has been placed, tying hemp cords around the coffin into knots, representing the grievances that the dead has collected in this world, which is followed by the undoing of the knots and the cleansing of the grievances. If the deceased has met a timely death, the ritual is held as part of a festive funeral process, sending off the dead with song and dance.

Nalbaji ssitgimgut, meaning date-setting cleansing ritual, takes place on a set date that is considered auspicious,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passed after the funeral, accompanied by a cleansing ritual. It is also called mareun, or dry, ssitgimgut, or mugeun (old) ssitgimgut, and the cleansing takes place for many different deceased ancestors. Whereas a coffin head cleansing ritual focuses on guiding the dead to the underworld, a datesetting cleansing ritual highlights the prayer for peace and good fortune for the living.

San ssitgimgut, or cleansing ritual for the living, is hosted by families with old or ailing members who might be nearing death, in order to help guide them to a better place after death. The procedures are similar to the rituals for the dead. There are some differences, however: First, the [[Josang](/topic/HouseholdDeities)](/topic/Josang) (Ancestor God) segment is extended, since this is a ritual for leading the living to the underworld, so the Ancestor God is called upon to answer the family’s prayers; second, clothes that belong to the living subject are burned with ancestral clothing, signifying that the ritual’s subject is viewed in a way as dead; and third, as mentioned, the subject of the ritual is at the scene of the rite, but he is perceived as dead, which is why families never hold this cleansing ritual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subject.
Ssitgimgut que se llama también “ritual para eliminar las impurezas” se refiere a un conjunto de ritos para guiar a los espíritus de los muertos al inframundo que se observan en la provincia de Jeolla-do.

Los procedimientos del ssitgimgut difieren según situaciones, pero, normalmente se dividen en tres secciones: la introducción comprende los segmentos que se concentran en orar por la buena suerte y el bienestar para los seres humanos, la sección media llamada mangagut que significa “ritual para los muertos”, un ritual creado para calmar y apaciguar a los espíritus de los fallecidos, y por último, un rito de despedida de las deidades que se han reunido en el sitio del ritual, generalmente en frente de la puerta de entrada de la casa o en la entrada al callejón. La introducción comprende los segmentos que se concentran en orar por la buena suerte y el bienestar para los seres humanos, la sección media llamada mangagut que significa “ritual para los muertos”, un ritual creado para calmar y apaciguar a los espíritus de los fallecidos, y por último, un rito de despedida de las deidades que se han reunido en el sitio del ritual, generalmente en frente de la puerta de entrada de la casa o en la entrada al callejón.

El ssitgimgut puede ser categorizado en tres tipos según prepósitos o situaciones: el gwangmeori ssitgimgut que tiene lugar el día anterior de la procesión con ataúd limpiando la cabecera del ataúd, y su nombre varían como “gwanmeori ssitgimgut”, “jin ssitgimgut”, “jingut” o “jinil”. En este caso, como las impurezas ocurren debido a la muerte, los rituales del dios de la cocina llamado [[Jowang](/topic/DiosdelaCocina)](/topic/Jowang) o el dios de las siete estrellas, conocido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no se incluyen en el proceso del jingut o no se puede rezar por la buena suerte y el bienestar durante la realización de este ritual. Mientras que el mugeun ssitgimgut se realiza después de transcurrido un período considerable de tiempo desde la muerte, concentrándose en orar por la buena suerte en el mundo de los vivos, el gwangmeorigut se lleva a cabo solamente para el espíritu de los muertos. El procedimiento de orar para guiar al espíritu del fallecido seguramente al submundo tiene lugar dentro de la habitación donde el ataúd ha sido colocado, atado con cuerdas de cáñamo, representando el ritual de la limpieza en el que deshacen los nudos y eliminan las impurezas. Si el difunto ha muerto a edad avanzada de muerte natural, el ritual se celebra como parte de una fiesta despidiéndose del fallecido con danzas y canciones.

El nalbaji ssitgimgut que significa “ritual para fijar la fecha del funeral” se lleva a cabo en un día auspicioso, después de que haya transcurrido cierto plazo del funeral, acompañado de un ritual de la limpieza. A esto se le llama “mareun ssitgimgut” o “mugeun ssitgimgut”. Durante la realización de dicho ritual, el proceso se hace para varios ancestros. Mientras el ritual llamado gwangmeori ssitgimgut se concentra en guiar al espíritu del muerto al inframundo, el nalbaji ssitgimgut resalta las oraciones por la paz y la buena suerte para los vivos.

El san ssitgimgut que significa “ritual para limpiar para los vivos” se realiza para guiar a los espíritus de difuntos al mejor lugar para los muertos, encabezado por una familia en la que un familiar está a punto de fallecer por la edad o enfermedad. Los procedimientos del san ssitgimgut son parecidos a los rituales para aquellos que ya han muerto. Pese a ello, hay algunas diferencias: primero, el segmendo del dios de antepasados llamado [[Josang](/topic/Diosdelhogar)](/topic/Josang) es extendido, ya que es un ritual para enviar a los espíritus errantes al mundo de los muertos, pues el dios de los antepasados está llamado a responder a las oraciones ofrecidas por parte de la familia. Además, una ropa que pertenece a uno de sus familiares vivos se quema con una. del muerto, eso implica que el objeto del ritual se considera muerto. Como ya se ha mencionado, el objeto del ritual tiene su presencia en la escena del rito aunque se considera muerto, razón por la cual los miembros familiares nunca realizan este tipo de rituales sin el permiso del objeto.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