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무릉리방사탑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무릉리방사탑
제주지방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무암 자연석을 원통형으로 쌓아 올린 설치물.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제주지방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무암 자연석을 원통형으로 쌓아 올린 설치물.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김동섭
정의제주지방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무암 자연석을 원통형으로 쌓아 올린 설치물.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정의제주지방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무암 자연석을 원통형으로 쌓아 올린 설치물.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내용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의 넓게 평토(平土)한 농경지 가운데에 돌을 쌓고 네 개의 돌[기둥](/topic/기둥)을 세웠다.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이를 ‘탑’이라고 부른다. 원통형의 설치물 위에는 ‘[돌하르방](/topic/돌하르방)’처럼 생긴 돌기둥을 세워 놓았다. 높은 곳에 올라서서 마을안으로 나쁜 기운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낼 수 있는 수호신의 모습이라고 마을 사람들은 이해하고 있다고 한다.

무릉1리는 대정읍 관내의 해안가 마을이다. 한라산 쪽으로 무릉2리, 서쪽으로 신도2리, 동쪽으로 영락리와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다. 무릉리가 언제 설촌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구전에 따르면 1550년경 물이 좋은 동서쪽으로 백씨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예전에는 물을 따라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탑이 있는 ‘앞논물’ 지경이 무릉리 마을이 들어선 곳이다. 지금은 [농업](/topic/농업)용수로 쓰고 있지만, 설촌 당시만 하더라도 이곳이 식수(食水)로 이용하기 좋은 물통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마을 안에는 봉천수이긴 하지만 식수로 이용한 물통도 여럿 있었다. ‘물동산’, ‘송당물’, ‘굿물’이 그것이다.

1970년대에 들어와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마을에도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사회적으로 [새마을운동](/topic/새마을운동)이 시작되면서 [지붕](/topic/지붕)을 개량하고 도로를 포장하게 되었으며, 전기도 보급되었다. 그리고 그동안 마을 주민의 안녕을 담보받고자 지낸 포제(酺祭)도 미신이라고 하여 지내지 못하게 되었다. ‘포제동산’이라고 하여 아직도 제단은 마을에 남아 있다. 연초가 되면 할머니들은 본향당으로 가서 일 년간 가운(家運)과 가족의 안녕(安寧)을 돌봐 달라고 빌고 있다.

무릉1리는 야트막한 구릉들이 둘러가며 전체적으로 감싸는 듯한 지형을 보이고 있으나 서쪽은 훤히 트여 있다. 이뿐만 아니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평탄한 농경지(農耕地)가 형성되어 바다에까지 연이어 있다. 지금은 방풍림으로 막힌 듯한 곳도 있지만 예전에는 바닷가 쪽인 서쪽이 허(虛)했다고 한다.

이러한 곳을 [풍수](/topic/풍수)적으로 보면 한 마리 [동물](/topic/동물)에 비견된다. 마을 사람들은 동쪽은 머리, 서쪽은 꼬리에 각각 해당한다고 여겼다. 이에 따라 꼬리 부분인 ‘미군’(尾群)이 약해 이대로 두었다가는 마을에 별로 좋지 않은 일이 생길 수 있는허(虛)한 곳이라고 본 것이다.

옛 사람들은 네 방위 가운데 한 곳이 허하고 약하면 그곳으로 잡귀(雜鬼), 액운(厄運), 전염병(傳染病) 등이 들어와 마을 사람들과 [가축](/topic/가축)에게 해를 끼친다고 여겼다.

마을 사람들은 이러한 액을 예방하고 막음으로써 태사른땅(고향)을 지키고 자손들의 입명(立命)과 번영(繁榮)을 위하고자 마을 서쪽에 탑을 쌓기로 했다. 탑은 언제 쌓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설촌과 함께 이루어졌을 것으로 전해진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나와 평탄한 곳을 찾아 남북으로 길게 탑 네 개를 쌓기로 했다. 남쪽의 것은 70m, 나머지 것들은 30m 간격으로 쌓았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잡석을 이용하였다. 탑 안에는 가마솥을 깨트린 무쇠조각을 넣었다. 예전에는 새로운 무엇을 도모하고자 할 때 소금이나 팥을 뿌리거나 바[가지](/topic/가지)를 부수어 방액하는 속신이 있었다. 이와 같이 솥을 부수어 조각난 무쇠를 탑 속안에 넣어 방액하고자 한 속신을 마을 사람들은 믿은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 무릉1리에 전해오는 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릉1리 탑 1호
마을복지회관에서 바다쪽으로 나와 마을길을 따라 조금 지나치면 농경지를 만나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지점에서 조금 큰 ‘물통’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을 마을 사람들은 ‘앞논물’이라고 한다. 그 농경지 사이로 난 농로는 포장되어 있으며, 마을과 바다로 이어진 농로 왼쪽의 농경지 가장자리에 탑이 있다. 탑의 굽이 농로의 바닥보다 높은 농경지에 위치한 것으로 보아 농로의 포장이 좀 더 후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탑은 밭담을 쌓은 크기의 잡석으로 쌓았다. 밑지름은 넓고 위가 좁은 원통형이다. 이 탑은 대정읍 무릉리 3094[번지](/topic/번지)에 위치하며, 1995년 8월 25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8-12호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높이 220㎝, 밑지름 390㎝, 윗지름 340㎝, 석상 높이 45㎝ 정도이다. 원통에 비해 석상의 크기는 아주 작다.

무릉1리 탑 2호
마을에서 바다쪽으로 이어진 농로와는 달리 ‘앞논물’ 앞을 가로질러 옆 마을로 이어진 농로가 나 있다. 세 개의 탑은 그 길을 따라 있다. 무릉리 방사탑 2호로 명명된 탑은 1호와 ‘앞논물’의 간격만큼 떨어진 밭담 사이에 자리한다. 큰 덩[어리](/topic/어리)의 잡석을 중심으로 쌓아 올렸으며, 윗부분은 잔돌로 마감하였다. 상부에는 석상을 올렸다. 밭의 경계를 위해 쌓은 주변의 밭담보다 높게 쌓았으며, 밑이 크고 위가 좁은 원통형이다. 이 탑은 대정읍 무릉리 3099번지에 위치하며, 1995년 8월 25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8-13호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높이 170cm, 밑지름 420cm, 윗지름 390cm, 석상 높이 35cm 정도이다. 1호와 마찬가지로 원통에 비해 석상의 크기가 아주 작다.

무릉1리 탑 3호
이 탑은 ‘앞논물’ 앞을 가로질러 옆 마을로 이어진 농로 오른쪽의 농경지 가장자리에 있다. 무릉리 방사탑 3호로 명명된 이 탑은 2호와 30m 정도 떨어져 있다. 잡석을 주로 쌓았으나 한 사람이 들어올릴 수 없을 정도의 큰 잡석도 많다. 윗부분은 잔돌로 봉긋하게 마감하였고, 상부에는 석상을 올렸다. 밑이 크고 위가 좁은 원통형이다. 이 탑은 대정읍 무릉리 3126-2번지에 위치하며, 1995년 8월 25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8-14호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높이 150㎝, 밑지름 290㎝, 윗지름 240㎝, 석상 높이 30㎝ 정도의 크기이다. 마찬가지로 원통에 비해 석상의 크기가 아주 작다.

무릉1리 탑 4호
‘앞논물’ 앞을가로 질러 옆 마을로 이어진 농로를 따라가다가 마을에서 바다로 이어지는 또 다른 도로를 만나고, 이를 가로질러 조금 높은 동산으로 이어지는 길 오른쪽 밭의 가운데 길가에 있다. 농경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잡석을 주로 쌓았으며, 밑부분은 큰 덩어리의 잡석으로 되어 있다. 윗부분은 잔돌로 봉긋하게 마감하였고, 상부에는 석상을 올렸다. 밭의 경계를 위해 쌓은 주변의 밭담보다 높게 쌓았으며, 밑이 크고 위가 좁은 원통형이다. 이 탑은 대정읍 무릉리 3126-1번지에 위치하며, 1995년 8월 25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8-15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높이 185㎝, 밑지름 300㎝, 윗지름 210㎝, 석상 높이 30㎝ 정도의 크기이다. 석상의 크기 또한 원통에 비해 매우 작다.

이들 탑을 마지막으로 보수한 때는 1990∼1995년이라고 한다. 마을에 많은 피해를 준 사라호 태풍 때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좀체 허물어지거나 훼손되지 않았다. 한편 4·3사건 때 탑을 기준으로 그 주변에 성(城)을 쌓은 적이 있다. 그 때 탑의 일부가 조금 손실된 적이 있지만 아무도 손을 댈 수가 없어 그냥 두고 지내오다가 문화재 보수비용이 나오면서 전문가의 손을 빌려 보수하였다.

탑 위에 세운 석상에서 지세(地勢)가 허(虛)한 곳으로 들어와 마을 주민들을 괴롭히는 잡귀, 액운, 전염병으로부터 지켜 내려는 수호신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지세가 허하다고 하는 곳을 방비하기 위해 언제부터 탑을 세웠는지는 알 수 없지만 무릉1리에서 가까운 영락리는 물론 서귀포시 서홍동에서는 소나무를 심어 방비하였다고 한다.
내용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의 넓게 평토(平土)한 농경지 가운데에 돌을 쌓고 네 개의 돌[기둥](/topic/기둥)을 세웠다.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이를 ‘탑’이라고 부른다. 원통형의 설치물 위에는 ‘[돌하르방](/topic/돌하르방)’처럼 생긴 돌기둥을 세워 놓았다. 높은 곳에 올라서서 마을안으로 나쁜 기운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낼 수 있는 수호신의 모습이라고 마을 사람들은 이해하고 있다고 한다.

무릉1리는 대정읍 관내의 해안가 마을이다. 한라산 쪽으로 무릉2리, 서쪽으로 신도2리, 동쪽으로 영락리와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다. 무릉리가 언제 설촌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구전에 따르면 1550년경 물이 좋은 동서쪽으로 백씨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예전에는 물을 따라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탑이 있는 ‘앞논물’ 지경이 무릉리 마을이 들어선 곳이다. 지금은 [농업](/topic/농업)용수로 쓰고 있지만, 설촌 당시만 하더라도 이곳이 식수(食水)로 이용하기 좋은 물통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마을 안에는 봉천수이긴 하지만 식수로 이용한 물통도 여럿 있었다. ‘물동산’, ‘송당물’, ‘굿물’이 그것이다.

1970년대에 들어와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마을에도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사회적으로 [새마을운동](/topic/새마을운동)이 시작되면서 [지붕](/topic/지붕)을 개량하고 도로를 포장하게 되었으며, 전기도 보급되었다. 그리고 그동안 마을 주민의 안녕을 담보받고자 지낸 포제(酺祭)도 미신이라고 하여 지내지 못하게 되었다. ‘포제동산’이라고 하여 아직도 제단은 마을에 남아 있다. 연초가 되면 할머니들은 본향당으로 가서 일 년간 가운(家運)과 가족의 안녕(安寧)을 돌봐 달라고 빌고 있다.

무릉1리는 야트막한 구릉들이 둘러가며 전체적으로 감싸는 듯한 지형을 보이고 있으나 서쪽은 훤히 트여 있다. 이뿐만 아니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평탄한 농경지(農耕地)가 형성되어 바다에까지 연이어 있다. 지금은 방풍림으로 막힌 듯한 곳도 있지만 예전에는 바닷가 쪽인 서쪽이 허(虛)했다고 한다.

이러한 곳을 [풍수](/topic/풍수)적으로 보면 한 마리 [동물](/topic/동물)에 비견된다. 마을 사람들은 동쪽은 머리, 서쪽은 꼬리에 각각 해당한다고 여겼다. 이에 따라 꼬리 부분인 ‘미군’(尾群)이 약해 이대로 두었다가는 마을에 별로 좋지 않은 일이 생길 수 있는허(虛)한 곳이라고 본 것이다.

옛 사람들은 네 방위 가운데 한 곳이 허하고 약하면 그곳으로 잡귀(雜鬼), 액운(厄運), 전염병(傳染病) 등이 들어와 마을 사람들과 [가축](/topic/가축)에게 해를 끼친다고 여겼다.

마을 사람들은 이러한 액을 예방하고 막음으로써 태사른땅(고향)을 지키고 자손들의 입명(立命)과 번영(繁榮)을 위하고자 마을 서쪽에 탑을 쌓기로 했다. 탑은 언제 쌓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설촌과 함께 이루어졌을 것으로 전해진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나와 평탄한 곳을 찾아 남북으로 길게 탑 네 개를 쌓기로 했다. 남쪽의 것은 70m, 나머지 것들은 30m 간격으로 쌓았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잡석을 이용하였다. 탑 안에는 가마솥을 깨트린 무쇠조각을 넣었다. 예전에는 새로운 무엇을 도모하고자 할 때 소금이나 팥을 뿌리거나 바[가지](/topic/가지)를 부수어 방액하는 속신이 있었다. 이와 같이 솥을 부수어 조각난 무쇠를 탑 속안에 넣어 방액하고자 한 속신을 마을 사람들은 믿은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 무릉1리에 전해오는 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릉1리 탑 1호
마을복지회관에서 바다쪽으로 나와 마을길을 따라 조금 지나치면 농경지를 만나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지점에서 조금 큰 ‘물통’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을 마을 사람들은 ‘앞논물’이라고 한다. 그 농경지 사이로 난 농로는 포장되어 있으며, 마을과 바다로 이어진 농로 왼쪽의 농경지 가장자리에 탑이 있다. 탑의 굽이 농로의 바닥보다 높은 농경지에 위치한 것으로 보아 농로의 포장이 좀 더 후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탑은 밭담을 쌓은 크기의 잡석으로 쌓았다. 밑지름은 넓고 위가 좁은 원통형이다. 이 탑은 대정읍 무릉리 3094[번지](/topic/번지)에 위치하며, 1995년 8월 25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8-12호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높이 220㎝, 밑지름 390㎝, 윗지름 340㎝, 석상 높이 45㎝ 정도이다. 원통에 비해 석상의 크기는 아주 작다.

무릉1리 탑 2호
마을에서 바다쪽으로 이어진 농로와는 달리 ‘앞논물’ 앞을 가로질러 옆 마을로 이어진 농로가 나 있다. 세 개의 탑은 그 길을 따라 있다. 무릉리 방사탑 2호로 명명된 탑은 1호와 ‘앞논물’의 간격만큼 떨어진 밭담 사이에 자리한다. 큰 덩[어리](/topic/어리)의 잡석을 중심으로 쌓아 올렸으며, 윗부분은 잔돌로 마감하였다. 상부에는 석상을 올렸다. 밭의 경계를 위해 쌓은 주변의 밭담보다 높게 쌓았으며, 밑이 크고 위가 좁은 원통형이다. 이 탑은 대정읍 무릉리 3099번지에 위치하며, 1995년 8월 25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8-13호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높이 170cm, 밑지름 420cm, 윗지름 390cm, 석상 높이 35cm 정도이다. 1호와 마찬가지로 원통에 비해 석상의 크기가 아주 작다.

무릉1리 탑 3호
이 탑은 ‘앞논물’ 앞을 가로질러 옆 마을로 이어진 농로 오른쪽의 농경지 가장자리에 있다. 무릉리 방사탑 3호로 명명된 이 탑은 2호와 30m 정도 떨어져 있다. 잡석을 주로 쌓았으나 한 사람이 들어올릴 수 없을 정도의 큰 잡석도 많다. 윗부분은 잔돌로 봉긋하게 마감하였고, 상부에는 석상을 올렸다. 밑이 크고 위가 좁은 원통형이다. 이 탑은 대정읍 무릉리 3126-2번지에 위치하며, 1995년 8월 25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8-14호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높이 150㎝, 밑지름 290㎝, 윗지름 240㎝, 석상 높이 30㎝ 정도의 크기이다. 마찬가지로 원통에 비해 석상의 크기가 아주 작다.

무릉1리 탑 4호
‘앞논물’ 앞을가로 질러 옆 마을로 이어진 농로를 따라가다가 마을에서 바다로 이어지는 또 다른 도로를 만나고, 이를 가로질러 조금 높은 동산으로 이어지는 길 오른쪽 밭의 가운데 길가에 있다. 농경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잡석을 주로 쌓았으며, 밑부분은 큰 덩어리의 잡석으로 되어 있다. 윗부분은 잔돌로 봉긋하게 마감하였고, 상부에는 석상을 올렸다. 밭의 경계를 위해 쌓은 주변의 밭담보다 높게 쌓았으며, 밑이 크고 위가 좁은 원통형이다. 이 탑은 대정읍 무릉리 3126-1번지에 위치하며, 1995년 8월 25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8-15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높이 185㎝, 밑지름 300㎝, 윗지름 210㎝, 석상 높이 30㎝ 정도의 크기이다. 석상의 크기 또한 원통에 비해 매우 작다.

이들 탑을 마지막으로 보수한 때는 1990∼1995년이라고 한다. 마을에 많은 피해를 준 사라호 태풍 때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좀체 허물어지거나 훼손되지 않았다. 한편 4·3사건 때 탑을 기준으로 그 주변에 성(城)을 쌓은 적이 있다. 그 때 탑의 일부가 조금 손실된 적이 있지만 아무도 손을 댈 수가 없어 그냥 두고 지내오다가 문화재 보수비용이 나오면서 전문가의 손을 빌려 보수하였다.

탑 위에 세운 석상에서 지세(地勢)가 허(虛)한 곳으로 들어와 마을 주민들을 괴롭히는 잡귀, 액운, 전염병으로부터 지켜 내려는 수호신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지세가 허하다고 하는 곳을 방비하기 위해 언제부터 탑을 세웠는지는 알 수 없지만 무릉1리에서 가까운 영락리는 물론 서귀포시 서홍동에서는 소나무를 심어 방비하였다고 한다.
진도군씻김굿의 음악이보형1992
한국구비문학회연행 및 전승 맥락에서 본 씻김굿의 예술성과 연희성이경엽2004
실천민속학회남해안별신굿 연행구조 연구오진호2007
공연문화학회씻김굿의 거리별 장단사용의 보편성과 지역별 특수성김혜정2008
민속원호남의 곽머리씻김굿나경수 외2009
제주무릉리방사탑
23838
제주무릉리방사탑
제주무릉리방사탑
23837
제주무릉리방사탑
제주무릉리방사탑
23838
제주무릉리방사탑
제주무릉리방사탑
23837
제주무릉리방사탑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