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제주도 화북 포구를 통하여 바다를 드나드는 배의 안전을 기원하는 [사당](/topic/사당).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1동 1619-2[번지](/topic/번지)에 있으며, 1973년 4월 3일에 ‘제주도 기념물 제22호’로 지정되었다. |
---|---|
mp3Cnt | 0 |
wkorname | 강정식 |
정의 | 제주도 화북 포구를 통하여 바다를 드나드는 배의 안전을 기원하는 [사당](/topic/사당).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1동 1619-2[번지](/topic/번지)에 있으며, 1973년 4월 3일에 ‘제주도 기념물 제22호’로 지정되었다. | 정의 | 제주도 화북 포구를 통하여 바다를 드나드는 배의 안전을 기원하는 [사당](/topic/사당).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1동 1619-2[번지](/topic/번지)에 있으며, 1973년 4월 3일에 ‘제주도 기념물 제22호’로 지정되었다. | 向海神祈求渔农丰收,村庄安宁以及船舶安全的祠堂。 韩国三面围海,在东海有东海神庙( 江原道襄阳郡),西海有西海神祠(黄海道丰川),南海有南海神祠(全罗南道灵岩)。上述场所为主要的国家祭礼场所,每年阴历二月和八月,举行祭祀时王会亲自送来香和祝文。 东海神庙位于江原道襄阳郡襄阳邑造山里,据推测建于高丽时代。朝鲜时代初期成为举行国家祭祀的场所之一,之后曾于日本占领时期废止。1993 年被设立为原东海神庙址,购买土地后进行了复原。现于春季和秋季举行两次祭礼。 南海的南海神祠自高丽时代以来一直是官吏和百姓举行祭祀的场所,在日本殖民统治时期曾经中断,近来重新得到复原,分别在春季和秋季举行祭礼。南海神据说为龙神,据人们口传,每逢举行祭礼时,人们便可看到龙神现身并进入南海浦的情形。 在济州岛也有海神祠,最初建立于1820 年( 纯祖20 年)。该海神祠建于往来内陆与济州岛的主要浦口——禾北浦口,其目的在于祈求出海船舶的安全。不仅是在船舶出航前,每年[正月十五](/topic/正月十五)也会在海神祠中举行大型祭祀。 | Haesinsa is a shrine for praying to the god of the seas for a good harvest, big catch, peace in the village and safety for the boats. Sea god shrines stand on the three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used to serve as venues for state-organized rituals each year in the second and eighth lunar months, with incense and prayer messages sent by the king: Donghaesinmyo (Shrine for the East Sea God) in Yangyang, Gangwon Province; Seohaesinsa (Shrine for the West Sea God) in Pungcheon, Hwanghae Province; and Namhaesinsa (Shrine for the South Sea God) in Yeongam, South Jeolla Province. The Shrine for the East Sea God in Yangyang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Goryeo (918-1392) and was designated as a state ritual venue in early Joseon (1392-1910). The shrine was closed dow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n was rebuilt in 1993 when the government bought back the land for the shrine’s restoration. The Shrine for the South Sea God had served as a venue for both state and civilian rituals since Goryeo but was closed down under Japanese occupation. The shrine was recently restored and rituals are observed each spring and fall. The deity worshipped as South Sea God is Yongsin (Dragon God) and it is believed that the dragon emerged from the sea during rituals and entered Namhae Port. On Jeju Island, the Sea God Shrine was first built in the 20th year of King Sunjo’s reign (1820) in Joseon, in Hwabuk, a major port that connected the island with the mainland, for the purpose of praying for the safety of boats sailing the rough sea. Rituals were held prior to the departure of each boat, and a large-scale annual rite was observed on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in the first lunar month. | Haesinsa es un santuario donde la gente reza al dios del mar para pedirle por una buena cosecha, pesca abundante y la paz en la comunidad, así como la seguridad de los buques y embarcaciones de pesca en el mar. Los santuarios del dios del mar en las tres costas en la península coreana, las cuales solían servir como lugares donde tenían lugar los rituales organizados por el Estado cada año en el segundo mes y el octavo mes del calendario lunar con los inciensos y mensajes de oraciones enviados por el rey: el donghaesinmyo en Yangyang de la provincia de Gangwon-do; el seohaesinsa en Pungcheon de la provincia de Hwanghae-do; y el namhaesinsa en Yeongam de la provincia de Jeollanam-do. Se cree que el santuario del dios del mar oriental en Yangyang fue construido durante el reino del Goryeo (918- 1392), y fue designado como un sitio del ritual estatal a inicios de la dinastía Joseon (1392- 1910). El santuario fue cerrado durante la ocupación japonesa en la primera mitad del siglo XX, y luego fue reconstruido en 1993, cuando el gobierno coreano readquirió el terreno sobre el que se llevaría cabo la restauración del donghaesinmyo. El santuario del dios del mar del sur ha servido como un sitio para los rituales públicos y privados a partir de la época de Goryeo, pero fue cerrado durante la ocupación japonesa. El namhaesinsa ha sido restaurado recientemente, en el que se realizan los rituales cada año en primavera y otoño. La deidad venerada en el santuario es el dios del dragón llamado Yongsin, y se cree que el dragón emerge del fondo del mar del sur durante la realización del ritual y entra en el puerto de Namhae. En la isla de Jeju-do, el santuario del dios del mar fue construido en 1820, el vigésimo año del reinado de Sunjo de la dinastía Joseon en el puerto de Hwabuk, un gran puerto que conectaba la isla con el continente con el propósito de rezar por la seguridad de los barcos durante su navegación en el mar agitado. Los rituales tenían lugar antes de la salida de cada buque, y se efectuaba un ritual a gran escala una vez al año en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el 15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 내용 | 해신사는 뱃길의 안전을 기원하는 공간으로 쓰였다. 대개 [마을](/topic/마을) 포구에는 해신당에 해당하는 제당을 따로 두게 마련인데 화북 포구에서는 해신사가 이를 겸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화북 포구는 제주도와 한반도의 뭍을 드나드는 주요 관문이었다. 목사를 비롯한 주요 인사들도 화북 포구를 이용하여 나들이를 하였다. 여기에 후풍관(候風館)을 따로 두고 기상의 변화에 대처하였다. 화북 포구 일대는 그만큼 중요한 곳이었다. 이에 따라 1678년(숙종 4)에는 화북진성을 쌓고 조방장을 두기도 하였다. 항내에서 파선 사고가 잦자 1736년(영조 12)에 김정(金政) 목사가 포구를 정비하였다. 한편 뱃길이 워낙 험하여 자연스레 안전한 여행을 기원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1820년(순조 20)에 목사 한상묵이 해신사를 세웠다. 해신사는 보수하고 옮겨 다시 세워 오늘에 이른다. 해신사에서는 출항을 앞두고 제사를 지내었을 뿐만 아니라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도 제사를 크게 지냈다. 그러나 이것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었는지는 알기 어렵다. 분명한 사실은 지금의 제주항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제1관문 구실을 하기 시작할 때까지는 화북 포구가 그런대로 중요한 구실을 해 왔다는 점이다. 오늘날 화북 포구는 더 이상 제주의 관문이 아니다. 그냥 일반적인 어촌의 평범한 포구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해신사에서 뭍 나들이를 위한 항로의 안전을 기원하는 일은 보기 어렵다. 그러나 주민들은 지금도 해마다 정월 초닷샛날이 되면 정성을 다해 마을의 안녕과 [생업](/topic/생업)의 풍등을 기원하는 해신제를 지내고 있다. 관이 관리를 소홀히 하게 된 이후 오랫동안 해녀와 어부 중심으로 해신제를 지내오다가 1990년쯤 부터 마을제로 바꾸어 지내고 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동부락과 중서부락에서는 제각기 마을제를 지내 오던 터였다. 이를 모두 그만두고 해신사에서 함께 해신제를 지내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는 셈이다. [제관](/topic/제관)은 [헌관](/topic/헌관) 세 명과 집례, 대축 등 다섯 명으로 구성된다. 제사를 앞두고 사흘 동안 정성을 들인 뒤 초닷샛날 새벽에 제사를 지낸다. 이때 기원하는 내용은 고기잡이배의 안전과 풍어, 마을의 안녕이다. | 참고문헌 | 제주시문화유적분포지도 해설집 (제주시, 1998) | 向海神祈求渔农丰收,村庄安宁以及船舶安全的祠堂。 韩国三面围海,在东海有东海神庙( 江原道襄阳郡),西海有西海神祠(黄海道丰川),南海有南海神祠(全罗南道灵岩)。上述场所为主要的国家祭礼场所,每年阴历二月和八月,举行祭祀时王会亲自送来香和祝文。 东海神庙位于江原道襄阳郡襄阳邑造山里,据推测建于高丽时代。朝鲜时代初期成为举行国家祭祀的场所之一,之后曾于日本占领时期废止。1993 年被设立为原东海神庙址,购买土地后进行了复原。现于春季和秋季举行两次祭礼。 南海的南海神祠自高丽时代以来一直是官吏和百姓举行祭祀的场所,在日本殖民统治时期曾经中断,近来重新得到复原,分别在春季和秋季举行祭礼。南海神据说为龙神,据人们口传,每逢举行祭礼时,人们便可看到龙神现身并进入南海浦的情形。 在济州岛也有海神祠,最初建立于1820 年( 纯祖20 年)。该海神祠建于往来内陆与济州岛的主要浦口——禾北浦口,其目的在于祈求出海船舶的安全。不仅是在船舶出航前,每年[正月十五](/topic/正月十五)也会在海神祠中举行大型祭祀。 | Haesinsa is a shrine for praying to the god of the seas for a good harvest, big catch, peace in the village and safety for the boats. Sea god shrines stand on the three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used to serve as venues for state-organized rituals each year in the second and eighth lunar months, with incense and prayer messages sent by the king: Donghaesinmyo (Shrine for the East Sea God) in Yangyang, Gangwon Province; Seohaesinsa (Shrine for the West Sea God) in Pungcheon, Hwanghae Province; and Namhaesinsa (Shrine for the South Sea God) in Yeongam, South Jeolla Province. The Shrine for the East Sea God in Yangyang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Goryeo (918-1392) and was designated as a state ritual venue in early Joseon (1392-1910). The shrine was closed dow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n was rebuilt in 1993 when the government bought back the land for the shrine’s restoration. The Shrine for the South Sea God had served as a venue for both state and civilian rituals since Goryeo but was closed down under Japanese occupation. The shrine was recently restored and rituals are observed each spring and fall. The deity worshipped as South Sea God is Yongsin (Dragon God) and it is believed that the dragon emerged from the sea during rituals and entered Namhae Port. On Jeju Island, the Sea God Shrine was first built in the 20th year of King Sunjo’s reign (1820) in Joseon, in Hwabuk, a major port that connected the island with the mainland, for the purpose of praying for the safety of boats sailing the rough sea. Rituals were held prior to the departure of each boat, and a large-scale annual rite was observed on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in the first lunar month. | Haesinsa es un santuario donde la gente reza al dios del mar para pedirle por una buena cosecha, pesca abundante y la paz en la comunidad, así como la seguridad de los buques y embarcaciones de pesca en el mar. Los santuarios del dios del mar en las tres costas en la península coreana, las cuales solían servir como lugares donde tenían lugar los rituales organizados por el Estado cada año en el segundo mes y el octavo mes del calendario lunar con los inciensos y mensajes de oraciones enviados por el rey: el donghaesinmyo en Yangyang de la provincia de Gangwon-do; el seohaesinsa en Pungcheon de la provincia de Hwanghae-do; y el namhaesinsa en Yeongam de la provincia de Jeollanam-do. Se cree que el santuario del dios del mar oriental en Yangyang fue construido durante el reino del Goryeo (918- 1392), y fue designado como un sitio del ritual estatal a inicios de la dinastía Joseon (1392- 1910). El santuario fue cerrado durante la ocupación japonesa en la primera mitad del siglo XX, y luego fue reconstruido en 1993, cuando el gobierno coreano readquirió el terreno sobre el que se llevaría cabo la restauración del donghaesinmyo. El santuario del dios del mar del sur ha servido como un sitio para los rituales públicos y privados a partir de la época de Goryeo, pero fue cerrado durante la ocupación japonesa. El namhaesinsa ha sido restaurado recientemente, en el que se realizan los rituales cada año en primavera y otoño. La deidad venerada en el santuario es el dios del dragón llamado Yongsin, y se cree que el dragón emerge del fondo del mar del sur durante la realización del ritual y entra en el puerto de Namhae. En la isla de Jeju-do, el santuario del dios del mar fue construido en 1820, el vigésimo año del reinado de Sunjo de la dinastía Joseon en el puerto de Hwabuk, un gran puerto que conectaba la isla con el continente con el propósito de rezar por la seguridad de los barcos durante su navegación en el mar agitado. Los rituales tenían lugar antes de la salida de cada buque, y se efectuaba un ritual a gran escala una vez al año en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el 15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 내용 | 해신사는 뱃길의 안전을 기원하는 공간으로 쓰였다. 대개 [마을](/topic/마을) 포구에는 해신당에 해당하는 제당을 따로 두게 마련인데 화북 포구에서는 해신사가 이를 겸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화북 포구는 제주도와 한반도의 뭍을 드나드는 주요 관문이었다. 목사를 비롯한 주요 인사들도 화북 포구를 이용하여 나들이를 하였다. 여기에 후풍관(候風館)을 따로 두고 기상의 변화에 대처하였다. 화북 포구 일대는 그만큼 중요한 곳이었다. 이에 따라 1678년(숙종 4)에는 화북진성을 쌓고 조방장을 두기도 하였다. 항내에서 파선 사고가 잦자 1736년(영조 12)에 김정(金政) 목사가 포구를 정비하였다. 한편 뱃길이 워낙 험하여 자연스레 안전한 여행을 기원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1820년(순조 20)에 목사 한상묵이 해신사를 세웠다. 해신사는 보수하고 옮겨 다시 세워 오늘에 이른다. 해신사에서는 출항을 앞두고 제사를 지내었을 뿐만 아니라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도 제사를 크게 지냈다. 그러나 이것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었는지는 알기 어렵다. 분명한 사실은 지금의 제주항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제1관문 구실을 하기 시작할 때까지는 화북 포구가 그런대로 중요한 구실을 해 왔다는 점이다. 오늘날 화북 포구는 더 이상 제주의 관문이 아니다. 그냥 일반적인 어촌의 평범한 포구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해신사에서 뭍 나들이를 위한 항로의 안전을 기원하는 일은 보기 어렵다. 그러나 주민들은 지금도 해마다 정월 초닷샛날이 되면 정성을 다해 마을의 안녕과 [생업](/topic/생업)의 풍등을 기원하는 해신제를 지내고 있다. 관이 관리를 소홀히 하게 된 이후 오랫동안 해녀와 어부 중심으로 해신제를 지내오다가 1990년쯤 부터 마을제로 바꾸어 지내고 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동부락과 중서부락에서는 제각기 마을제를 지내 오던 터였다. 이를 모두 그만두고 해신사에서 함께 해신제를 지내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는 셈이다. [제관](/topic/제관)은 [헌관](/topic/헌관) 세 명과 집례, 대축 등 다섯 명으로 구성된다. 제사를 앞두고 사흘 동안 정성을 들인 뒤 초닷샛날 새벽에 제사를 지낸다. 이때 기원하는 내용은 고기잡이배의 안전과 풍어, 마을의 안녕이다. | 참고문헌 | 제주시문화유적분포지도 해설집 (제주시, 1998) | 역사 | 해신사의 역사는 비교적 뚜렷하게 기록으로 남아 있다. 해신사는 1820년(순조 20) 제주목사 한상묵(韓象默)이 처음 세웠다. 1841년(헌종 7)에 방어사 이원조(李源祚)가 한 차례 건물을 보수하였으며, 1849년(헌종 15)에는 방어사 장인식(張寅植)이 돌에 ‘해신지위(海神之位)’라는 글자를 새겨 보존하도록 하였다. 1975년에 [사당](/topic/사당)이 낡고 공간이 좁아 본래 위치에서 서북쪽 해안으로 자리를 옮겨 새로 지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역사 | 해신사의 역사는 비교적 뚜렷하게 기록으로 남아 있다. 해신사는 1820년(순조 20) 제주목사 한상묵(韓象默)이 처음 세웠다. 1841년(헌종 7)에 방어사 이원조(李源祚)가 한 차례 건물을 보수하였으며, 1849년(헌종 15)에는 방어사 장인식(張寅植)이 돌에 ‘해신지위(海神之位)’라는 글자를 새겨 보존하도록 하였다. 1975년에 [사당](/topic/사당)이 낡고 공간이 좁아 본래 위치에서 서북쪽 해안으로 자리를 옮겨 새로 지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형태 | 해신사는 정면과 측면 모두 단칸으로 이루어진 비각(碑閣) 형태의 건물이다. 각주(各柱)로 장혀와 도리를 받치고 5량조로 결구하여 바로 [서까래](/topic/서까래)를 얹고 합각[지붕](/topic/지붕)을 덮었다. 하부에만 심벽을 치고, 외부로는 [돌담](/topic/돌담)을 둘렀으며 상부에는 [살창](/topic/살창)을 세웠다. 또 모로[단청](/topic/단청)으로 단장하였다. 전면에 [판문](/topic/판문)을 달았으며, 약간의 공간을 남긴 채 장방형의 겹담을 두르고 일각[대문](/topic/대문)을 달았다. 해신사의 안에는 ‘해신지위’라고 새긴 돌 [위패](/topic/위패)가 있는며 옥개석을 갖춘 작은 비각으로 둘러싸여 있다. | 형태 | 해신사는 정면과 측면 모두 단칸으로 이루어진 비각(碑閣) 형태의 건물이다. 각주(各柱)로 장혀와 도리를 받치고 5량조로 결구하여 바로 [서까래](/topic/서까래)를 얹고 합각[지붕](/topic/지붕)을 덮었다. 하부에만 심벽을 치고, 외부로는 [돌담](/topic/돌담)을 둘렀으며 상부에는 [살창](/topic/살창)을 세웠다. 또 모로[단청](/topic/단청)으로 단장하였다. 전면에 [판문](/topic/판문)을 달았으며, 약간의 공간을 남긴 채 장방형의 겹담을 두르고 일각[대문](/topic/대문)을 달았다. 해신사의 안에는 ‘해신지위’라고 새긴 돌 [위패](/topic/위패)가 있는며 옥개석을 갖춘 작은 비각으로 둘러싸여 있다. |
---|
문화재관리국 | 관서지방무가 | 임석재, 장주근 | 1966 | 열화당 | 평안도 다리굿 | 황루시 외 | 198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