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도진리당

한국무속신앙사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진리(鎭里)[마을](/topic/마을)의 당집. 진리당은 흑산도 15개 당집의 본당(本堂)이라 불릴 정도로 권위가 있는 당집이다. 현재 ‘신안군 향토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진리당에는 소저아기씨(당각시), 상궁부인, 제석님, 산중처사님, 도령(총각화장), 당할머니, 성주신 등 일곱 명의 신격이 좌정되어 있다.
definition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진리(鎭里)[마을](/topic/마을)의 당집. 진리당은 흑산도 15개 당집의 본당(本堂)이라 불릴 정도로 권위가 있는 당집이다. 현재 ‘신안군 향토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진리당에는 소저아기씨(당각시), 상궁부인, 제석님, 산중처사님, 도령(총각화장), 당할머니, 성주신 등 일곱 명의 신격이 좌정되어 있다.
mp3Cnt
0
wkorname
이영금
정의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진리(鎭里)[마을](/topic/마을)의 당집. 진리당은 흑산도 15개 당집의 본당(本堂)이라 불릴 정도로 권위가 있는 당집이다. 현재 ‘신안군 향토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진리당에는 소저아기씨(당각시), 상궁부인, 제석님, 산중처사님, 도령(총각화장), 당할머니, 성주신 등 일곱 명의 신격이 좌정되어 있다.
정의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진리(鎭里)[마을](/topic/마을)의 당집. 진리당은 흑산도 15개 당집의 본당(本堂)이라 불릴 정도로 권위가 있는 당집이다. 현재 ‘신안군 향토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진리당에는 소저아기씨(당각시), 상궁부인, 제석님, 산중처사님, 도령(총각화장), 당할머니, 성주신 등 일곱 명의 신격이 좌정되어 있다.
내용진리당에는 소저아기씨(당각시), 상궁부인, 제석님, 산중처사님, 도령(총각화장), 당할머니, 성주신 등 일곱 명의 신격이 좌정되어 있다. 현재 복원된 당집에는 이들의 화상이나 [위패](/topic/위패)가 없다. 그러나 과거에는 성주신을 제외한 여섯 명의 화상이 당집에 모셔져 있었다고 한다. 화상은 오래전에 소실되었고, 그 이후로 한동안 종이 위패를 만들어 모셔 놓았다고 한다. 위패는 소저아기씨(당각시)․상궁부인․제석님․산중처사님․도령(총각화장) 등이 있었고, 위패는 없지만 당할머니가 상궁부인과 제석님의 중간에 좌정해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위패의 중간에는 신베(당베)가 걸려 있었고, 성주단지․쌀[뒤주](/topic/뒤주)․들돌이 바닥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물들은 몇 해 전에 발생한 화재로 모두 소실되었다. 최근에 복원된 당집에는 신격의 신체(身體)나 유물 따위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화상만큼은 철저한 검증작업을 거쳐 앞으로 복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진리마을에서는 진리당의 주요 신격인 소저아기씨(당각시)와 도령(총각화장)의 좌정 유래담이 전승되고 있다. 이들의 좌정 내력을 담은 신화를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오래전에 이 마을에 처녀와 총각이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다가 남편이 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갔다가 풍랑을 만나 죽게 되었다. 산에 올라가 남편을 기다리던 아내가 먼 바다가 보이는 산정의 노송에 목을 매달아 죽었다. 마을 사람들이 시체를 발견하고 각시가 죽은 자리에 당을 지어 그 원혼을 모셨다. 마을 사람들은 매년 각시가 죽은 날에 제사를 지내며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총각화장(취사 및 심부름을 하는 선원)이 옹기 파는 배를 타고 진리마을에 왔다. 선원들이 옹기를 팔러 마을로 들어가자 홀로 남은 총각화장은 당 옆에 있는 노송(老松)에 올라가 솔잎으로 [피리](/topic/피리)를 만들어 불었다. 이때 아름다운 처녀가 나타났고, 그 후 매일 노송에 올라 솔피리를 불어 처녀와 만났다. 옹기를 판 선원들이 출항하려고 했으나 총각을 사모하는 당각시가 풍랑을 일으켜 배의 출항을 방해하였다. 총각화장을 떼어놓고 [가지](/topic/가지) 않으면 배가 파선되어 모두 죽는다는 점쟁이의 말을 따라 선원들은 총각화장만 남겨 놓고 출항하였다. 총각화장이 매일 노송에 올라 솔피리만 불다가 배가 고파 지친 나머지 나무에서 떨어져 죽었다. 마을 사람들은 총각을 불쌍히 여겨 총각이 떨어져 죽은 자리에 무덤을 만들어 주었다. 그 후 마을 사람들은 총각화장의 화상(畫像)을 만들어 당각시 옆에 모셔 놓고 매년 제사를 지냈다.


이 신화에 따르면 당각시는 남편을 기다리다가 목을 매달아 죽은 원혼신이고, 당각시가 사모한 총각은 솔피리만 불다가 지쳐서 죽은 원혼신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러한 원혼신을 성황당에 모셔 놓고 매년 정월 초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당제를 지내왔다. 이러한 당제는 수십 년 전에 이미 단절되었으나 2009년에 당집이 복원되면서 당제도 2010년에 복원되었다. 현재는 당제가 매우 간소하게 모셔지고 있으나 과거에는 성대하게 당제를 지냈다고 한다. 과거의 당제는 성황제․[용왕제](/topic/용왕제)․[갯제](/topic/갯제) 등으로 구성되었고, 제의 기간도 길었으며, 제사도 엄격한 격식을 갖춘 상태에서 모셔졌다고 한다. 당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부터 초사흗날까지 사흘 동안 계속되었다. 성황제 때에는 [제관](/topic/제관)들이 들돌을 들어 신들이 제물을 [흠향](/topic/흠향)했는지 확인하기도 했고, 갯제 때에는 많은 선주의 참여 속에 용왕굿을 행하기도 하였다.

과거에 행하던 진리마을의 당제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당제 때 사용되는 경비는 마을 공동기금으로 충당했으며 당제를 지내기 위해 마을 이장은 이틀 전에 장에 가서 갖가지 제수용품을 구입하였다. 신격들이 육류와 어류의 냄새를 싫어했기 때문에 제물은 술을 비롯해 과일 등 [식물](/topic/식물)성 음식물이었다. 마을회의를 통해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에 맞춰 제주 한 명과 제주를 보좌할 사람 두 명을 선정하였다. 제관들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갈아입을 깨끗한 옷 몇 벌과 그 동안 먹을 식량 및 제수용품 등을 챙겨서 당집으로 올라갔다. 이들은 우선 성황당․용신당․당샘 등을 청소하고, 문간방에 보관한 시루, [절구](/topic/절구), 제기들을 깨끗하게 씻었다. 그런 다음 제장 주위에 [황토](/topic/황토)를 뿌리고 왼새끼로 꼰 [금줄](/topic/금줄)을 쳤다.

제관들은 제물을 마련하기 전에 쌀겨나 반점이 있는 쌀알들을 골라냈다. 이 행위는 제사를 지낼 때까지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쌀겨를 다 골라낸 제관은 돌갓, 더덕, 고사리를 솥에 넣고 간을 맞추어 익혔다. 마을 사람들이 직접 채취한 것을 제물로 써야 정성이 있다 하여 돌갓, 더덕, 고사리 등 나물류는 반드시 주민들로부터 받았다고 한다. 제사가 시작되면 제관들은 제물을 진설하고 자시(子時) 무렵에 성황제를 모셨다. 성황제는 유교식으로 이루어졌는데, 제관이 주도하여 재배-[헌작](/topic/헌작)-구축-소지 등의 절차로 제를 지냈다. [축문](/topic/축문)의 내용은 마을의 안녕․무병․농사와 어업의 풍요, 객지에 나간 이들의 안녕 등이었다. 성황제가 끝날 무렵에는 제관이 마을 전체와 각 가정을 위한 소지를 올렸다.

성황제를 마친 제관들은 용신당으로 이동하여 용왕을 위한 용왕제를 모셨다. 용신당 안에 [창호지](/topic/창호지)를 깔고 간단하게 제물을 차려놓은 뒤 용신당 밖에서 제사를 모셨다. 용왕제가 끝나면 마을 부녀자들이 바닷가로 이동하여 갯제를 모셨다. 갯제는 마을 부녀자들이 주도하여 제를 모셨으며 선주들이 용왕굿을 원할 때는 무당을 불러다 굿을 하기도 하였다. 갯제의 마지막 과정에서는 짚으로 만든 [허수아비](/topic/허수아비)를 바다로 띄워 보냈다.

성황제와 용왕제를 마친 제관들은 당집 [마당](/topic/마당)에서 [장작](/topic/장작)불을 지피며 마을 사람들에게 제사가 끝났음을 알렸다. 이때가 되면 마을 사람들은 [농악](/topic/농악)을 치면서 당집으로 몰려들었다. 당에 오른 사람들은 평상시에는 접근하지 못한 당집에 들어가 당집 내부를 구경하기도 하고, 당집에 모셔진 신격들에게 각자의 소망을 발원하기도 하였다. 제관은 제물의 일부를 떼어내어 사방에 뿌리며 잡신을 대접하는 사신(辭神)을 했으며, 남은 제물은 당제에 참여한 사람들과 나누어 먹었다.

어업이 성한 당시만 해도 진리당은 진리마을 사람들의 주요 신앙처였다. 당제 때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오랫동안 먼 바다에 나갔다가 돌아온 어선들이 해안에 배를 정박하고 당집을 향해 절을 할 정도로, 마을 사람들은 당집의 신격을 매우 신령스런 존재로 인식하였다. 당제 또한 음력 정초부터 사흘 동안 연행될 정도로 이 규모가 성대하였다. 그러나 가치관 변화와 어업 쇠퇴로 인해 민간신앙이 많이 약화되면서 당제도 시들해졌고, 결국 한동안 당제가 중단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신안군 국립공원 측에서 전통문화자원 보호의 일환으로 2009년에 진리당을 복원하면서 진리마을 사람들도 점차 당제의 복원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2010년부터는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자시에 마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당제를 지내오고 있다. 현재 복원된 당제는 성황제와 용왕제만 모실 뿐 갯제는 따로 지내지 않고 있다. 제관은 따로 선정하지 않고 마을 이장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제사를 지낼 때는 축문을 읽지 않으며, 제물은 당집 문간방에서 부녀자 몇 명이 간단하게 마련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진리마을 당제가 많이 약화된 상태이지만, 마을 사람들은 당제의 복원을 반기고 있으며, 앞으로도 당제가 활성화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참고문헌한국구비문학대계 6-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은문화사, 1985~1986)
내용진리당에는 소저아기씨(당각시), 상궁부인, 제석님, 산중처사님, 도령(총각화장), 당할머니, 성주신 등 일곱 명의 신격이 좌정되어 있다. 현재 복원된 당집에는 이들의 화상이나 [위패](/topic/위패)가 없다. 그러나 과거에는 성주신을 제외한 여섯 명의 화상이 당집에 모셔져 있었다고 한다. 화상은 오래전에 소실되었고, 그 이후로 한동안 종이 위패를 만들어 모셔 놓았다고 한다. 위패는 소저아기씨(당각시)․상궁부인․제석님․산중처사님․도령(총각화장) 등이 있었고, 위패는 없지만 당할머니가 상궁부인과 제석님의 중간에 좌정해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위패의 중간에는 신베(당베)가 걸려 있었고, 성주단지․쌀[뒤주](/topic/뒤주)․들돌이 바닥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물들은 몇 해 전에 발생한 화재로 모두 소실되었다. 최근에 복원된 당집에는 신격의 신체(身體)나 유물 따위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화상만큼은 철저한 검증작업을 거쳐 앞으로 복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진리마을에서는 진리당의 주요 신격인 소저아기씨(당각시)와 도령(총각화장)의 좌정 유래담이 전승되고 있다. 이들의 좌정 내력을 담은 신화를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오래전에 이 마을에 처녀와 총각이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다가 남편이 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갔다가 풍랑을 만나 죽게 되었다. 산에 올라가 남편을 기다리던 아내가 먼 바다가 보이는 산정의 노송에 목을 매달아 죽었다. 마을 사람들이 시체를 발견하고 각시가 죽은 자리에 당을 지어 그 원혼을 모셨다. 마을 사람들은 매년 각시가 죽은 날에 제사를 지내며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총각화장(취사 및 심부름을 하는 선원)이 옹기 파는 배를 타고 진리마을에 왔다. 선원들이 옹기를 팔러 마을로 들어가자 홀로 남은 총각화장은 당 옆에 있는 노송(老松)에 올라가 솔잎으로 [피리](/topic/피리)를 만들어 불었다. 이때 아름다운 처녀가 나타났고, 그 후 매일 노송에 올라 솔피리를 불어 처녀와 만났다. 옹기를 판 선원들이 출항하려고 했으나 총각을 사모하는 당각시가 풍랑을 일으켜 배의 출항을 방해하였다. 총각화장을 떼어놓고 [가지](/topic/가지) 않으면 배가 파선되어 모두 죽는다는 점쟁이의 말을 따라 선원들은 총각화장만 남겨 놓고 출항하였다. 총각화장이 매일 노송에 올라 솔피리만 불다가 배가 고파 지친 나머지 나무에서 떨어져 죽었다. 마을 사람들은 총각을 불쌍히 여겨 총각이 떨어져 죽은 자리에 무덤을 만들어 주었다. 그 후 마을 사람들은 총각화장의 화상(畫像)을 만들어 당각시 옆에 모셔 놓고 매년 제사를 지냈다.


이 신화에 따르면 당각시는 남편을 기다리다가 목을 매달아 죽은 원혼신이고, 당각시가 사모한 총각은 솔피리만 불다가 지쳐서 죽은 원혼신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러한 원혼신을 성황당에 모셔 놓고 매년 정월 초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당제를 지내왔다. 이러한 당제는 수십 년 전에 이미 단절되었으나 2009년에 당집이 복원되면서 당제도 2010년에 복원되었다. 현재는 당제가 매우 간소하게 모셔지고 있으나 과거에는 성대하게 당제를 지냈다고 한다. 과거의 당제는 성황제․[용왕제](/topic/용왕제)․[갯제](/topic/갯제) 등으로 구성되었고, 제의 기간도 길었으며, 제사도 엄격한 격식을 갖춘 상태에서 모셔졌다고 한다. 당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부터 초사흗날까지 사흘 동안 계속되었다. 성황제 때에는 [제관](/topic/제관)들이 들돌을 들어 신들이 제물을 [흠향](/topic/흠향)했는지 확인하기도 했고, 갯제 때에는 많은 선주의 참여 속에 용왕굿을 행하기도 하였다.

과거에 행하던 진리마을의 당제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당제 때 사용되는 경비는 마을 공동기금으로 충당했으며 당제를 지내기 위해 마을 이장은 이틀 전에 장에 가서 갖가지 제수용품을 구입하였다. 신격들이 육류와 어류의 냄새를 싫어했기 때문에 제물은 술을 비롯해 과일 등 [식물](/topic/식물)성 음식물이었다. 마을회의를 통해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에 맞춰 제주 한 명과 제주를 보좌할 사람 두 명을 선정하였다. 제관들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갈아입을 깨끗한 옷 몇 벌과 그 동안 먹을 식량 및 제수용품 등을 챙겨서 당집으로 올라갔다. 이들은 우선 성황당․용신당․당샘 등을 청소하고, 문간방에 보관한 시루, [절구](/topic/절구), 제기들을 깨끗하게 씻었다. 그런 다음 제장 주위에 [황토](/topic/황토)를 뿌리고 왼새끼로 꼰 [금줄](/topic/금줄)을 쳤다.

제관들은 제물을 마련하기 전에 쌀겨나 반점이 있는 쌀알들을 골라냈다. 이 행위는 제사를 지낼 때까지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쌀겨를 다 골라낸 제관은 돌갓, 더덕, 고사리를 솥에 넣고 간을 맞추어 익혔다. 마을 사람들이 직접 채취한 것을 제물로 써야 정성이 있다 하여 돌갓, 더덕, 고사리 등 나물류는 반드시 주민들로부터 받았다고 한다. 제사가 시작되면 제관들은 제물을 진설하고 자시(子時) 무렵에 성황제를 모셨다. 성황제는 유교식으로 이루어졌는데, 제관이 주도하여 재배-[헌작](/topic/헌작)-구축-소지 등의 절차로 제를 지냈다. [축문](/topic/축문)의 내용은 마을의 안녕․무병․농사와 어업의 풍요, 객지에 나간 이들의 안녕 등이었다. 성황제가 끝날 무렵에는 제관이 마을 전체와 각 가정을 위한 소지를 올렸다.

성황제를 마친 제관들은 용신당으로 이동하여 용왕을 위한 용왕제를 모셨다. 용신당 안에 [창호지](/topic/창호지)를 깔고 간단하게 제물을 차려놓은 뒤 용신당 밖에서 제사를 모셨다. 용왕제가 끝나면 마을 부녀자들이 바닷가로 이동하여 갯제를 모셨다. 갯제는 마을 부녀자들이 주도하여 제를 모셨으며 선주들이 용왕굿을 원할 때는 무당을 불러다 굿을 하기도 하였다. 갯제의 마지막 과정에서는 짚으로 만든 [허수아비](/topic/허수아비)를 바다로 띄워 보냈다.

성황제와 용왕제를 마친 제관들은 당집 [마당](/topic/마당)에서 [장작](/topic/장작)불을 지피며 마을 사람들에게 제사가 끝났음을 알렸다. 이때가 되면 마을 사람들은 [농악](/topic/농악)을 치면서 당집으로 몰려들었다. 당에 오른 사람들은 평상시에는 접근하지 못한 당집에 들어가 당집 내부를 구경하기도 하고, 당집에 모셔진 신격들에게 각자의 소망을 발원하기도 하였다. 제관은 제물의 일부를 떼어내어 사방에 뿌리며 잡신을 대접하는 사신(辭神)을 했으며, 남은 제물은 당제에 참여한 사람들과 나누어 먹었다.

어업이 성한 당시만 해도 진리당은 진리마을 사람들의 주요 신앙처였다. 당제 때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오랫동안 먼 바다에 나갔다가 돌아온 어선들이 해안에 배를 정박하고 당집을 향해 절을 할 정도로, 마을 사람들은 당집의 신격을 매우 신령스런 존재로 인식하였다. 당제 또한 음력 정초부터 사흘 동안 연행될 정도로 이 규모가 성대하였다. 그러나 가치관 변화와 어업 쇠퇴로 인해 민간신앙이 많이 약화되면서 당제도 시들해졌고, 결국 한동안 당제가 중단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신안군 국립공원 측에서 전통문화자원 보호의 일환으로 2009년에 진리당을 복원하면서 진리마을 사람들도 점차 당제의 복원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2010년부터는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자시에 마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당제를 지내오고 있다. 현재 복원된 당제는 성황제와 용왕제만 모실 뿐 갯제는 따로 지내지 않고 있다. 제관은 따로 선정하지 않고 마을 이장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제사를 지낼 때는 축문을 읽지 않으며, 제물은 당집 문간방에서 부녀자 몇 명이 간단하게 마련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진리마을 당제가 많이 약화된 상태이지만, 마을 사람들은 당제의 복원을 반기고 있으며, 앞으로도 당제가 활성화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참고문헌한국구비문학대계 6-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은문화사, 1985~1986)
역사진리당은 과거에 있던 당집 터에 두 번에 걸쳐 복원되었다. 1938년 7월 1일에 이전의 당집을 헐고 [기와](/topic/기와)[지붕](/topic/지붕)으로 당집을 복원하고 지금의 당집은 2009년에 훼손된 당집을 헐고 다시 복원했다고 한다. 과거의 진리당은 많이 훼손되고 [담장](/topic/담장)이 무너진 상태여서 신안군 국립공원 측이 전통문화자원 보호의 일환으로 진리당 복원사업을 시작하였다. 진리[마을](/topic/마을) 사람들도 진리당을 복원할 필요를 느끼고 동참하였다. 그 당시 성황당과 용신당의 건물이 크게 소실되었기 때문에 복원 작업은 기존 건물의 형태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당집 복원은 2009년 2월에 착수하여 10월 13일 완공되었다. 10월 14일에는 흑산면장과 마을 이장,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리당에서 [고사](/topic/고사)를 지냈다. 진리당은 훼손된 상태로 오랫동안 방치되어 왔으나 당집이 복원되자 마을 사람들은 매우 만족스러워하였다. 마을 이장은 화재로 소실된 화상들도 철저한 검증작업을 거처 복원할 것을 다짐하기도 하였다. 진리마을 당제도 2010년에 복원되어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지내고 있다.
역사진리당은 과거에 있던 당집 터에 두 번에 걸쳐 복원되었다. 1938년 7월 1일에 이전의 당집을 헐고 [기와](/topic/기와)[지붕](/topic/지붕)으로 당집을 복원하고 지금의 당집은 2009년에 훼손된 당집을 헐고 다시 복원했다고 한다. 과거의 진리당은 많이 훼손되고 [담장](/topic/담장)이 무너진 상태여서 신안군 국립공원 측이 전통문화자원 보호의 일환으로 진리당 복원사업을 시작하였다. 진리[마을](/topic/마을) 사람들도 진리당을 복원할 필요를 느끼고 동참하였다. 그 당시 성황당과 용신당의 건물이 크게 소실되었기 때문에 복원 작업은 기존 건물의 형태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당집 복원은 2009년 2월에 착수하여 10월 13일 완공되었다. 10월 14일에는 흑산면장과 마을 이장,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리당에서 [고사](/topic/고사)를 지냈다. 진리당은 훼손된 상태로 오랫동안 방치되어 왔으나 당집이 복원되자 마을 사람들은 매우 만족스러워하였다. 마을 이장은 화재로 소실된 화상들도 철저한 검증작업을 거처 복원할 것을 다짐하기도 하였다. 진리마을 당제도 2010년에 복원되어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지내고 있다.
형태진리당은 상당(上堂)인 성황당과 하당(下堂)인 용신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의 이 두 당집은 많이 훼손되어 2009년에 복원되었다. 성황당의 뒤편 오른쪽 [돌담](/topic/돌담) 밖에는 용신당이 있다. 성황당과 용신당의 거리는 약 150m이다.

성황당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의 맞배 [기와](/topic/기와)[지붕](/topic/지붕)으로 되어 있다. [기와집](/topic/기와집)은 신격을 모신 신당 한 채와 [부엌](/topic/부엌) 용도로 쓰는 문간방 한 채로 모두 두 채이다. 문간방은 당제 때 제물을 준비하는 곳이다. 이곳에 제기, 취사도구, [장작](/topic/장작) 등이 보관되어 있다. 돌로 축조된 돌담이 두 채의 기와집을 직사각형으로 감싸안고 있다. 입구 근처에 문간방이 있고, 문간방에서 신당으로 향하는 길에는 양쪽으로 돌담이 이어져 있다. 과거에는 담을 돌만 [가지](/topic/가지)고 쌓았으나 최근에 복원된 담은 돌에 흙과 시멘트를 섞어 쌓았다고 한다. 돌로만 쌓은 담이 쉽게 무너져 내리자 2009년에 돌 사이로 흙과 시멘트를 이겨 넣어 돌담을 견고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성황당의 전용면적은 50㎡이며, 용신당은 성황당의 절반 정도 크기이다.

용신당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의 [맞배지붕](/topic/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용신당 내부는 한 사람 정도 들어갈 정도로 공간이 매우 좁다. 당집 앞 돌담 밖에는 넓은 [마당](/topic/마당)이 있고, 마당 오른쪽에는 총각화장이 떨어져 죽었다는 노송과 그의 무덤이 있다.
형태진리당은 상당(上堂)인 성황당과 하당(下堂)인 용신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의 이 두 당집은 많이 훼손되어 2009년에 복원되었다. 성황당의 뒤편 오른쪽 [돌담](/topic/돌담) 밖에는 용신당이 있다. 성황당과 용신당의 거리는 약 150m이다.

성황당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의 맞배 [기와](/topic/기와)[지붕](/topic/지붕)으로 되어 있다. [기와집](/topic/기와집)은 신격을 모신 신당 한 채와 [부엌](/topic/부엌) 용도로 쓰는 문간방 한 채로 모두 두 채이다. 문간방은 당제 때 제물을 준비하는 곳이다. 이곳에 제기, 취사도구, [장작](/topic/장작) 등이 보관되어 있다. 돌로 축조된 돌담이 두 채의 기와집을 직사각형으로 감싸안고 있다. 입구 근처에 문간방이 있고, 문간방에서 신당으로 향하는 길에는 양쪽으로 돌담이 이어져 있다. 과거에는 담을 돌만 [가지](/topic/가지)고 쌓았으나 최근에 복원된 담은 돌에 흙과 시멘트를 섞어 쌓았다고 한다. 돌로만 쌓은 담이 쉽게 무너져 내리자 2009년에 돌 사이로 흙과 시멘트를 이겨 넣어 돌담을 견고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성황당의 전용면적은 50㎡이며, 용신당은 성황당의 절반 정도 크기이다.

용신당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의 [맞배지붕](/topic/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용신당 내부는 한 사람 정도 들어갈 정도로 공간이 매우 좁다. 당집 앞 돌담 밖에는 넓은 [마당](/topic/마당)이 있고, 마당 오른쪽에는 총각화장이 떨어져 죽었다는 노송과 그의 무덤이 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