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사용되는 지화. |
---|---|
mp3Cnt | 0 |
wkorname | 심상교 |
정의 |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사용되는 지화. | 내용 | 고동화는 둥글게 생긴 종이를 바깥에서 원 중심쪽으로 가위질로 8등분한 다음 이것을 고동처럼 둥글게 말아서 만든 꽃이다. 고동화는 10[가지](/topic/가지) 도래판에 따라 오려진 20장의 얇은 화지는 각 지화마다의 형상을 갖춘 다음 화지 한 장씩 꽃목대에 끼워져 전체적 형상을 갖추게 된다. 이때 꽃잎들은 무성하게 위로 솟게 하며 꽃을 세워 늘어뜨려지지 않게 하기 위해 화지 4장 정도마다 ‘가락지’라는 것을 끼운다. 가락지는 원래 [한지](/topic/한지)를 노끈처럼 말아서 사용했는데 요즘은 빨대를 1㎝ 정도 길이로 잘라 끼운다. 지화를 꽂는 삽화법(揷花法)은 크게 네 가지다. 지화를 꽂는 받침은 모래를 넣은 단지나 화분을 사용하다가 요즘은 플라스틱 화분을 주로 쓴다. 삽화되는 숫자는 굿의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꽃을 꽂는 방법은 12송이의 경우 2-3-4-3, 16송이는 3-4-5-4, 20송이는 4-5-6-5, 31송이는 6-7-5-4-3 등이 있는데 [마을](/topic/마을)굿에는 주로 16송이 꽂는 방법을 쓰고 개인굿에는 12송이 꽂는 방법을 쓴다. | 참고문헌 | 한국의 민속지화에 관한 연구 (강신영,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한국지화에 관한 연구 Ⅱ- [김석출](/topic/김석출)씨의 기법을 중심으로 (김태연, 산업기술연구, 대구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1985) 한국전통지화에 관한 연구 (박기복,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한국무가집 4 (김태곤 편, 집문당, 1992) 무화연구 (1) (김태연, 한국무속학 3, 한국무속학회, 2001) 서울굿 신화 연구 (양종승·최진아, 한국무속학 4, 한국무속학회, 2002) 지화 연구 (김명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지화 연구 Ⅰ (심상교, 한국무속학 6, 한국무속학회, 2003) | 형태 | 고동화는 [담배](/topic/담배) 말듯이 둥글게 말아서 만든다. 고동화는 꽃심이 있는 고동화와 외도래 고동화가 있다. 꽃심이 있는 고동화는 실제 꽃의 암술머리와 암술대에 해당하는 꽃심이 있다. 외도래 고동화는 꽃심 없이 만든 것이다. 고동화는 꽃잎이 고동처럼 둥글게 말려 있는 형상이기 때문에 고동화라고 불린다. 외도래 고동화의 색깔은 정해진 것이 없다. 옆의 꽃 색깔과 조화를 이루는 범위에서 외도래 고동화의 색을 정한다. 하지만 주황색인 경우가 많다. 꽃심이 없고 반구형이며 꽃받침이 있다. 꽃심이 있는 고동화도 정해진 색깔은 없다. 외도래 고동화처럼 주변의 색깔과 조화를 이루는 범위에서 화지의 색깔을 정한다. 하지만 노란색인 경우가 많다. 실제 꽃의 암술대와 암술머리와 같은 꽃심이 있는데 위가 잘린 원뿔 모양을 하고 있으며 꽃받침이 있다. |
---|
고동화 | 64611 고동화 |
---|---|
고동화 | 64610 고동화 |
고동화 | 64609 고동화 |
고동화 | 64608 고동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