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굿 무복

한국무속신앙사전
경기도 지방에서 굿을 할 때 무당들이 입는 복식.
definition
경기도 지방에서 굿을 할 때 무당들이 입는 복식.
mp3Cnt
0
wkorname
고부자
정의경기도 지방에서 굿을 할 때 무당들이 입는 복식.
내용경기도는 한반도의 중심에 있다. 북쪽으로는 황해도, 남은 충청도, 동은 강원도, 서쪽으로는 서해안과 각각 접하고 있다. 경기도 무속은 이처럼 인접한 지역들의 영향으로 특수성보다 종합된 여러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혼재 속에서도 경기 북부는 [신병](/topic/신병)체험자가 무업을 주관하는 강신무적 성격이, 남부는 의례를 주관하는 세습무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에 경기도 무속은 강신무와, 세습무가 접합되어 나타나는 복합권역인 셈이다. 따라서 [무복](/topic/무복)도 세습무는 의례를 주관함에 일정한 틀을 지니고 있으므로 단순한 편이지만, 강신무 는 의례 속에 신(神)적인 영험함을 드러내기 위해 화려하고 복잡하다.

현재 경기도에 전승되는 대표적인 굿은 [마을](/topic/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도당굿’이며, 대부분 만신들이 주관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굿의 무복은 경기도 굿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만신들은 강신무로 조병호(1933)•[정정애](/topic/정정애)(1936)•최옥순(1947)•장석만(1946), 세습무로 [오수복](/topic/오수복)(1924)•김순덕(1938) 등이 있다.

도당굿은 굿거리나 명칭이 무당이나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지만 크게 14거리로 분류될 수 있다(동막 1984, 장말 1991년 조사). 당주굿, 부정굿, 도당모시기, 돌돌이, [장군](/topic/장군)잡기, [시루말](/topic/시루말), 제석굿, 신장굿, 본양굿, 별상, 터벌림, 군웅굿, 도당모시기, 중굿, 뒷전 등이다.

무복은 기본으로 입는 평복(平服)과, 거리별로 입는 무복으로 구분된다. 다시 관복류(官服類)와 [승복](/topic/승복)으로 나뉜다.

1. 평복
[치마](/topic/치마)와 [저고리](/topic/저고리)로, 평상시에 입는 기본적인 옷이다. 색이나 옷감이 특별하게 정해진 것은 없다. 본격적인 굿거리에서는 이 평복 위에 거리마다 다른 신옷을 덧입는다. 치마는 따로 마련되는데 청ㆍ홍색 두 [가지](/topic/가지)이며, 홍색이 상위계념으로 쓰인다.

2. 무복
신이 강림할 때 입는 것으로 신격(神格)을 상징한다. 신에 따라 옷의 종류도 달라지며 관복류•승복•기타로 나뉜다.

1) 관복류
무복으로 종류는 크게 [철릭](/topic/철릭)과 [전복](/topic/전복) 및 [동다리](/topic/동다리)로 나뉠 수 있다. 모두 조선시대 관리용이며 주로 무관(武官)을 상징한다.

(1) 철릭은 경기도의 세습무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핵심적인 무복이다. 모양은 상의[衣]와 하의[裳]를 연결시킨 것으로 아래 옷(치마)에는 주름이 잡혀 있다. 마치 저고리와 치마를 붙여 놓은 것 같다. 소매는 통으로 된 것과, 한쪽 또는 양쪽에 매듭단추를 달아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된 것도 있다.

무복에 쓰이는 철릭은 ‘[의상](/topic/의상)(衣裳)연결’이라는 기본은 같지만, 부분마다 변형되고 수(繡)를 놓는 등 치레거리가 추가된 것이 많다. 특히 소매는 통으로 달렸으며, 소매의 진동 부근에 아귀를 터서 팔을 빼내어 활동하기 편리하게 했다. 색은 홍과 청이 기본이다.

홍철릭은 주로 재수굿의 산거리와 성주거리, 도당굿의 산신거리와 군웅거리 등의 가장 중요한 거리에 입기 때문에 경기 무복의 대표적인 옷이라 할 수 있다. 만신에 따라 “빨간 철륙, 홍철륙, 대왕님의대, 산신님의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빨간철륙, 홍철륙”이라는 것은 색을 구분한 것이고, “의대(衣帶)”라고 할 때는 각각 등장하는 신격의 입을 거리임을 상징한 말이다.

남철릭은 장군거리를 할 때 입는다. 만신에 따라 “장군님의대”(오수복, 정정애, 조병호), “장군복”(김순덕), “소장군복”(최옥순)이라고 한다.

남철릭은 장군거리 초입에서 입으며, [최영 장군](/topic/최영장군)을 위한 거리에서 입는 갑옷의 모양을 흉내 낸 것을 “장군복”이라 한다. 갑옷을 입을 때는 머리에 투구를 쓰고, 철릭을 입을 때는 머리에 갓[笠]을 쓴다. 투구를 “대왕님모자”, 갓을 “빛갓, 홍갓, 산신할아버지갓”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전복은 깃과 소매와 섶이 없으며, 여밈은 섶이 없으므로 좌우가 나란한 합임(合袵)이다. 양옆에 무가 달리고 뒤와 양옆이 트여 있다. 조선 후기에 남자어른이나 유생(儒生)과 남아(男兒)에 이르기까지 통상예복의 겉옷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특히 무복에 많이 입는데 이때는 주로 “[쾌자](/topic/쾌자)(快子)”라고 부르고 있다.

쾌자는 대감거리, 초가망거리, 산거리, 신장거리 등에 입는다. 만신에 따라 “대감복색, 대감의대”라고도 한다. 색은 남색(혹은 청색)과 검은색이 가장 많다. 쾌자를 입을 때는 머리에 [전립](/topic/전립)(戰笠)을 쓴다. 전립은 “대감모자, 장군모, 안울림[벙거지](/topic/벙거지)”라고 하기도 한다.

(3) 무복에서 중요한 것으로 ‘동’다리‘가 있다. 지금의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와 비슷하며 소매가 좁다. 만신들은 소매가 좁으므로 “섭수[夾袖]” 또는 “섭수두루마기”라고도 한다. 동다리는 길은 대부분 남이나 홍색이며, 진동 조금 아래 소매에 붉은색을 덧댄 포(袍)를 말한다. “동다리”라 함은 소매에 다른 색으로 ‘동’을 덧달았음을 나타낸 말이다. 조선 말기 정조(正祖, 재위 1776~1800년)대 이후 군복[戰服]용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며, 쾌자와 함께 한 틀로 입었다. 대감거리에는 평복 위에 쾌자만 입지만, 신장거리에서는 쾌자를 ‘섭수[夾袖]’ 위에 덧입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것도 만신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오수복은 쾌자를 신장거리에서는 길은 검은색에 붉은색 소매가 달린 “섭수두루마기ㆍ섭수ㆍ동다리”라고 하는 포 위에다 입는다. 이 쾌자는 겉은 검고 안은 붉은 겹옷이며. 이 옷을 “신장대감쾌자”라 하고 있다. 김순덕은 대감거리에도 섭수두루마기 위에 쾌자를 덧입어 신장거리와 같은 복색을 갖춘다. 보통 “신장의대”라 함은 섭수두루마기 위에 쾌자를 덧입는 것을 일컫는데, 김순덕은 섭수두루마기만을 “신장의대”라 한다.

2) 승복
승복은 불교를 상징하는 옷으로, 불사ㆍ제석ㆍ칠성을 모실 때 입는다.

불사거리에 입는 것은 “불사옷ㆍ불사의대” 등으로 부르고, 제석거리에서 입는 것은 “제석의대”라고 한다. [장삼](/topic/장삼)과 [가사](/topic/가사), [고깔](/topic/고깔)을 한 틀로 한다. 불사거리에서는 홍치마 위에 흰장삼을 입고 홍ㆍ청가사를 양쪽 어깨에 두르며 허리에 홍띠[紅帶]를 띤다. 머리에는 흰 고깔을 쓴다. 고깔에는 대부분 무늬가 없지만 최옥순의 ‘불사고깔’은 흰색 옷감으로 만들고 아래쪽에 태극, 위에 모란 무늬를 각각 덧대기도 하고 금박을 찍거나 잣물림을 한 것도 있다. 고깔은 옷감이나 종이로 만드는데 대부분 옷감으로 만든다. 옷감으로 만든 것은 여러 번 계속 쓰고, 종이는 주로 일회용이다. 최옥순은 제석거리에서 회색 장삼을 입고 ‘제석고깔’이라 불리는 고깔을 쓰는데 회색이다. 불사나 제석거리에서 승복은 의대(衣帶)를 갖추고 목에는 염주를 걸고, 목탁을 두드리며, 굿을 한다.

3) 기타
특수거리로 ‘[작두](/topic/작두)타기’가 있다. 이는 신의 용맹과 위엄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때 입는 무복으로 특수한 별상복이 있다. 또 연희와 치레성이 큰 무복이 있다. 주로 여성용 포류(철릭, [원삼](/topic/원삼), [몽두리](/topic/몽두리))를 변형한 것으로 옷의 명칭도 “[창부씨](/topic/창부씨)복ㆍ[가망](/topic/가망)ㆍ선녀옷”이라고 하는 등 너무 복잡하여 혼동이 온다.

(1) 작두타기는 강신무가 한다. 이때 특별한 무복을 입으며 만신들은 이 무복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정정애는 이 옷을 “작두별상복”이라고 한다. 이 옷은 길은 홍색에 소매는 녹색이며, 허리아래는 끝이 제비부리처럼 세모꼴로 된 여러 가지 색을 배합한 색동을 술처럼 상하로 길게 가닥가닥 늘어뜨렸다. 호구와 군웅거리에서도 사용한다. 최옥순은 청치마 위에 ‘작두대신복’을 입는데 길은 붉고, 소매는 색동이며, 등에는 호랑이 무늬가 있다. 작두를 탈 때 쓰는 ‘작두모자’는 붉은색이며, 모자 테두리에 오방색 술이 달려있다.

(2) 예능과 [악사](/topic/악사)들의 신령인 창부를 위한 거리 때 입는 옷이 있다. 색이나 치레가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길은 공통으로 연두(녹)에 앞은 짧고 뒤가 길며, 소매는 좁고 색동을 단 옷으로 원삼의 변형으로 보인다. 김순덕은 “창부씨복”이라고 하는데 길은 녹색이며 소매에 색동을 단 것으로 민간 [혼례복](/topic/혼례복)인 원삼과 같다. 부인굿(손굿, 마마굿) 때도 입는다. 그러나 오수복의 창부씨복은 녹색 길에 붉은색 단을 덧대고, 소매는 색동이며, 허리에 매는 녹색 대(帶)가 있다. 조병호는 “창부광부씨의대”라고 한다. 연두색 길에 모란 무늬와 봉황 수를 놓았으며, 소매는 넓고 수구에 백색 [한삼](/topic/한삼)(白汗衫)이 달려 있다. 창부거리에서 원삼은 현재 수를 놓은 [활옷](/topic/활옷)과 혼용된 변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3) 몽두리류의 포(袍)가 있다. 대신거리에서 입는 대신의대는 “대신(마누라)할머니옷, 대신몽두리복, 노란몽두리, 은아몽두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4) 황색의 포가 있다. 만신에 따라 이때 입는 무복을 “성전님의대, 성제님의대, 승전님의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저고리[衣]와 치마[裳]가 연결되어 길이가 길고, 소매도 넓으며, 허리에 주름이 잡혀있다. 모양은 장삼이나 철릭과 비슷하지만 소매 끝에 한삼이 달려있어 혼합형이다. 성전님거리에서는 장군거리와 신장대감거리 등 여러 굿거리가 연결되며 평복 위에 청치마, 섭수두루마기, 쾌자를 입고 허리에 [전대](/topic/전대)를 두른다. 그 위에 남철릭을 입고 붉은 띠를 두른 다음 [주립](/topic/주립)을 쓴다.

(5) 세습무인 오수복의 무복 중에는 다른 만신들과 다른 ‘관디’가 있다. 앞이 뒤보다 짧고, 길의 겉감은 붉은색이며, 안감은 분홍이다. 길이는 다른 무복에 비해 짧고, 소매는 좁은데 색동을 달았다. 이 옷은 길이가 앞뒤로 차이가 나고, 소매는 좁지만 색동을 댄 것으로 보아 “관디”라는 말은 여성용 관복인 원삼과의 동격에서 나온 말이 아닌가 추측된다. 불사거리에서는 이 위에 가사장삼을 덧기도 한다.
참고문헌경기도 도당굿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명선 중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경기도·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경기굿 (경기도국악당,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