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옥

한국무속신앙사전
이명옥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topic/장군)[사당](/topic/사당)굿의 예능보[유자](/topic/유자).
definition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topic/장군)[사당](/topic/사당)굿의 예능보[유자](/topic/유자).
mp3Cnt
0
wkorname
김형근
정의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topic/장군)[사당](/topic/사당)굿의 예능보[유자](/topic/유자).
내용이명옥(李明玉, 여)은 1936년에 서울시 서대문구 아현동에서 서울 [무악](/topic/무악)의 [악사](/topic/악사)로 이름을 떨친 아버지 이달선의 4남 3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이달선의 형은 오늘날 서울굿 일류 악사들을 두루 길러낸 이충선이다. 큰형인 이일선, 이충선, 이달선 삼형제가 모두 유명한 서울굿 악사였다. 이들 형제의 아버지는 경기소리를 하는 명창이었고, 어머니는 몽촌관 광나루를 중심으로 무업을 한 만신이었다.

이명옥은 아현동에서 태어났지만 아버지가 굿일로 여러 지역을 이동하게 되어 몽촌·창신동·강원도 철원·신설동 등지로 옮겨 다녀야 했다. 이 때문에 공부에 재미를 느끼지 못한 이명옥은 집안 사정 또한 넉넉지 않아 소리를 배워 기생이 되고 싶어 왕십리에서 소리를 가르치는 아버지 친구로부터 소리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반대가 심했다. 20세 때 미군 부대를 상대로 장사하던 남자와 결혼하였지만 [약혼](/topic/약혼) 무렵부터 살아가는 내내 풍파가 끊이지 않았다.

이명옥은 27세 때 내림을 받았다. 잠을 자다가 갑작스레 깨어 미친듯 소리를 지르며 어머니를 불러오라고 했다. 어머니가 오자 바로 점을 치며 공수가 터[지게](/topic/지게) 되었다. 어머니가 이명옥을 데리고 왕십리 [작두](/topic/작두)방 무당을 찾아가자 [신내림](/topic/신내림)을 받으라는 말을 들었다. 그러나 이명옥은 이를 거부하였다. 집으로 돌아온 이후 몸이 계속 아파서 아버지를 악사로 자주 부른 종로 점백이무당집으로 갔다. 마침내 이명옥은 나이 27세가 되는 생일달인 3월에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게 되었다. 이후부터 집안의 풍파가 가라앉았다. 내림굿에 참여한 만신으로는 신어머니인 김은숙, 숭인동 조씨 아주머니, 노들순자(최순자) 등이었다. 악사로는 김순선, 김광복, 지광희 등 당대 일류 악사들이었다.

어려서부터 아버지를 따라 굿판에 구경을 다녔기 때문에 굿 학습은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다. 본격적으로 내림굿을 받은 이후에 신어머니 김은숙으로부터 학습을 하였고, 신어머니와 굿을 함께 하던 이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굿의 학습은 교재를 놓고 하나하나 가르치기보다 어깨 너머로 보고 들으면서 자연히 익히는 것이었다. 당대 일류의 굿을 보는 것이 곧 학습인 시절이기 때문이었다. 당대에 유명한 만신들이 노들순자, 검정판장집(김용주), 옥순네, 숭인동 돼지엄마(박종복) 등이었다. 특히 신어머니, 옥순네, 돼지엄마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 만큼 이명옥은 전통 서울굿을 체계있게 교육받아 아직까지 활동하고 있는 몇 안 되는 만신이다.

남이[장군](/topic/장군)사당은 성동구 사근동에도 존재하지만 이명옥이 담당하는 굿은 용산구 용문동 107[번지](/topic/번지)에 존재하는 [사당](/topic/사당)과 관련된다. 이 때문에 용문동부군당제, 남이장군당굿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남이장군당굿을 담당하는 당주 내지 사제무로 얻은어멈 문덕순, 밤쥐 최인순이 있었다. 이들이 작고한 이후로 이명옥이 맡고 있다. 최근 여러 서울·경기 [마을](/topic/마을) 당굿들이 문화재로 지정되는 과정에서 당주권을 가진 만신들도 문화재로 인정받는다. 이명옥은 1999년 7월에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사당굿의 예능보[유자](/topic/유자)로 지정됐다. 이명옥은 단순히 당주권만을 가진 만신이 아니라 실제 서울굿을 제대로 할 줄 아는 만신으로서도 의의가 있는 인물이다. 특히 이명옥은 꿋꿋하고 정제된 굿맛을 보이면서, 돼지엄마의 유려한 [춤사위](/topic/춤사위)에서 영향을 받아 춤태가 좋다.
참고문헌서울굿 음악연구-이명옥 만신의 진오귀굿을 중심으로 (하을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 경기도, 강원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남이[장군](/topic/장군)[사당](/topic/사당)굿 (하효길 외, 민속원, 2009)
서울새남굿보존회서울새남굿신가집서울새남굿보존회ㆍ조흥윤 감수1996
보고사서울진진오기굿무가자료집김헌선2008
이명옥
64506
이명옥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