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제물

한국무속신앙사전
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정성스러운 상징적 제물. 인간을 대신하여 바치는 희생적인 상징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을](/topic/마을)굿에서는 신에게 [동물](/topic/동물)을 바치는 전통이 있다. 이 동물이 바로 희생제물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희생제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닭, 돼지, 소 등이 있다.
definition
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정성스러운 상징적 제물. 인간을 대신하여 바치는 희생적인 상징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을](/topic/마을)굿에서는 신에게 [동물](/topic/동물)을 바치는 전통이 있다. 이 동물이 바로 희생제물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희생제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닭, 돼지, 소 등이 있다.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정성스러운 상징적 제물. 인간을 대신하여 바치는 희생적인 상징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을](/topic/마을)굿에서는 신에게 [동물](/topic/동물)을 바치는 전통이 있다. 이 동물이 바로 희생제물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희생제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닭, 돼지, 소 등이 있다.
정의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정성스러운 상징적 제물. 인간을 대신하여 바치는 희생적인 상징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을](/topic/마을)굿에서는 신에게 [동물](/topic/동물)을 바치는 전통이 있다. 이 동물이 바로 희생제물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희생제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닭, 돼지, 소 등이 있다.
Huisaengjemul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los sacrificios de animales ofrecidos a los dioses en rituales.

El origen de sacrificios de animales en Corea se remonta a la época alejada de nuestra historia como se señalan los registros del reino Buyeo (siglo II a.C. – 494 d.C.) en cuanto a un registro que tenía lugar en tiempos de guerra para venerar a los cielos matando una vaca y haciendo predicciones sobre el resultado de la guerra mediante las pezuñas de dicha vaca. Los sacrificios humanos se conocen como la forma de sacrificios más primitiva, que iba sustituyéndose por los sacrificios de animales con el tiempo. Al principio se ofrecían los animales salvajes, los que se reemplazaron de nuevo por animales domésticos. Además, a lo largo del tiempo, los sacrificios de animales llegaron a ser criaturas que satisfacían a los dioses y los humanos a la vez, y también se estableció la práctica de consumir la comida sacrificial llamada eumbok.

Los animales ofrecidos como sacrificios en los rituales populares incluyen toros, cerdos, gallos y perros. Los toros se consideran el sacrificio más fundamental que se ofrece a la deidad guardiana del pueblo. Debido a los costos enormes de la preparación del sacrificio de un toro, se necesitan la convicción y la solidaridad de la comunidad en términos religiosos. En un ritual comunitario que conlleva el sacrificio de un toro, la mayoría de los procedimientos rituales se concentran en el toro, especialmente su sacrificio, despiece y colocación sobre la mesa ritual según las partes de carne incluyendo el consumo de ese animal sacrificado. Los cerdos se consideran también como un sacrificio importante que aparece en los rituales comunales incluyendo el ritual llamado byeolsinje y el ritual a gran escala en las aldeas dedicadas a las actividades pesqueras. Se cree que al dios de la montaña,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le gusta escuchar el gruñido agudo de los cerdos antes de descender a la tierra para consumir la comida sacrificial, por lo tanto a veces, la matanza del cerdo tiene lugar en el santuario que se encuentra en la montaña. Los gallos se ofrecen como sacrificios para los dioses y ancestros de uno individual. En los rituales chamánicos, los gallos son utilizados como sustitutos que son llevados a la muerte en lugar de un ser humano que tenga muy mala suerte cuya vida sería corta. En algunas regiones, los perros se usan también como sacrificios. Los sacrificios de perros en los rituales comunitarios se relacionan con la prevención de ataques de tigres ofreciendo los perros para entretener a los tigres porque a ellos les gusta comer perros.
人祭祀神时,作为祭品献上的动物。

牺牲祭品的起源可追溯到很早以前。据传,扶余(公元前二世纪~公元494 年)起兵前祭天,具体方式为杀牛观牛蹄,占卜吉凶。可知,当时就有牛这一牺牲祭品的形态。过去的习俗是,把人当作祭品敬献给神,这便是牺牲祭品的原始形态。随着时代的变迁,出现了可以替代人的牺牲祭品,且从起初的野生动物,逐步转变为人饲养的家畜类。从此,牺牲祭品成为了同时满足人类和神的对象,也催生了[饮福](/topic/饮福)的习俗。

在民间祭仪中,敬献给神的牺牲祭品多为牛,猪,鸡,狗等。献给村庄神的最大祭品是全牛,比起其他祭品,全牛的费用昂贵,需要村里人虔诚的信仰及宗教团结。当村落祭仪中准备全牛时,祭仪的相当一部分过程集中于牛,牛的屠杀,分解,分肉以及各部位在祭案的摆放,共同食用等都是祭仪中非常重要的环节。在一些别神祭或渔村的大规模堂祭中,猪是仅次于牛的上等祭品。据说,猪在屠宰过程中的悲鸣越大,[山神](/topic/山神)越容易歆享,因此,杀猪时将其带到有祭堂的山上屠宰。鸡是摆放在神灵或[祖先](/topic/祖先)祭案上的祭品,在巫俗信仰中,鸡是顶替人的坏运或命运而死去的动物。在一些地区将狗当作祭品,例如洞祭,这与老虎经常出没造成严重虎患有关,因老虎喜欢狗,所以将全狗作为牺牲祭品。
Huisaengjemul is the term for animal sacrifices offered to the gods in rituals.

The origins of animal sacrifices in Korea date back far in history, with records of the practice in Buyeo (2nd century B.C.E.–494) of a ritual for the heavens held in times of war, which included the killing of a cow and making predictions about the outcome by reading its hoofs. The most primal form of sacrifice is known to be human sacrifice, which was replaced by animals over time, beginning with wild animals, which was again replaced by domestic animals. Over time, animal sacrifices came to serve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gods and the humans, and the practice of consuming the sacrifice (eumbok) was also established.

Animals offered as sacrifices in folk rituals include cows, pigs, chicken and dogs.

Cows are considered the biggest sacrifice offered to a village guardian deity. Because of the enormous costs involved in sacrificing a cow, faith and religious unity of the community are required. In a village ritual that involves a cow sacrifice, a majority of the ritual procedures are focused on the cow, especially the slaughtering, butchering, the arrangement of the ritual table according to meat parts, and the consumption of the meat.

Pigs also make up a major sacrifice in large-scale communal rituals including byeolsinje and fishing village rituals. It is believed that the mountain god [[Sansin](/topic/MountainGod)](/topic/Sansin) demanded a loud squeal from the pig before coming down to consume the sacrificial foods so sometimes the slaughter takes place at the shrine in the mountain.

Chickens are offered as sacrifices for both the gods and one’s ancestors. In shamanic rituals, chickens are used as proxies that are put to death in the place of a human who is cursd with bad fortune or a short lifespan.

In some regions, dogs were also sacrificed. Dog sacrifices in village rituals were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attacks from tigers, offered to please tigers since they liked to eat dogs.
Huisaengjemul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los sacrificios de animales ofrecidos a los dioses en rituales.

El origen de sacrificios de animales en Corea se remonta a la época alejada de nuestra historia como se señalan los registros del reino Buyeo (siglo II a.C. – 494 d.C.) en cuanto a un registro que tenía lugar en tiempos de guerra para venerar a los cielos matando una vaca y haciendo predicciones sobre el resultado de la guerra mediante las pezuñas de dicha vaca. Los sacrificios humanos se conocen como la forma de sacrificios más primitiva, que iba sustituyéndose por los sacrificios de animales con el tiempo. Al principio se ofrecían los animales salvajes, los que se reemplazaron de nuevo por animales domésticos. Además, a lo largo del tiempo, los sacrificios de animales llegaron a ser criaturas que satisfacían a los dioses y los humanos a la vez, y también se estableció la práctica de consumir la comida sacrificial llamada eumbok.

Los animales ofrecidos como sacrificios en los rituales populares incluyen toros, cerdos, gallos y perros. Los toros se consideran el sacrificio más fundamental que se ofrece a la deidad guardiana del pueblo. Debido a los costos enormes de la preparación del sacrificio de un toro, se necesitan la convicción y la solidaridad de la comunidad en términos religiosos. En un ritual comunitario que conlleva el sacrificio de un toro, la mayoría de los procedimientos rituales se concentran en el toro, especialmente su sacrificio, despiece y colocación sobre la mesa ritual según las partes de carne incluyendo el consumo de ese animal sacrificado. Los cerdos se consideran también como un sacrificio importante que aparece en los rituales comunales incluyendo el ritual llamado byeolsinje y el ritual a gran escala en las aldeas dedicadas a las actividades pesqueras. Se cree que al dios de la montaña,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le gusta escuchar el gruñido agudo de los cerdos antes de descender a la tierra para consumir la comida sacrificial, por lo tanto a veces, la matanza del cerdo tiene lugar en el santuario que se encuentra en la montaña. Los gallos se ofrecen como sacrificios para los dioses y ancestros de uno individual. En los rituales chamánicos, los gallos son utilizados como sustitutos que son llevados a la muerte en lugar de un ser humano que tenga muy mala suerte cuya vida sería corta. En algunas regiones, los perros se usan también como sacrificios. Los sacrificios de perros en los rituales comunitarios se relacionan con la prevención de ataques de tigres ofreciendo los perros para entretener a los tigres porque a ellos les gusta comer perros.
人祭祀神时,作为祭品献上的动物。

牺牲祭品的起源可追溯到很早以前。据传,扶余(公元前二世纪~公元494 年)起兵前祭天,具体方式为杀牛观牛蹄,占卜吉凶。可知,当时就有牛这一牺牲祭品的形态。过去的习俗是,把人当作祭品敬献给神,这便是牺牲祭品的原始形态。随着时代的变迁,出现了可以替代人的牺牲祭品,且从起初的野生动物,逐步转变为人饲养的家畜类。从此,牺牲祭品成为了同时满足人类和神的对象,也催生了[饮福](/topic/饮福)的习俗。

在民间祭仪中,敬献给神的牺牲祭品多为牛,猪,鸡,狗等。献给村庄神的最大祭品是全牛,比起其他祭品,全牛的费用昂贵,需要村里人虔诚的信仰及宗教团结。当村落祭仪中准备全牛时,祭仪的相当一部分过程集中于牛,牛的屠杀,分解,分肉以及各部位在祭案的摆放,共同食用等都是祭仪中非常重要的环节。在一些别神祭或渔村的大规模堂祭中,猪是仅次于牛的上等祭品。据说,猪在屠宰过程中的悲鸣越大,[山神](/topic/山神)越容易歆享,因此,杀猪时将其带到有祭堂的山上屠宰。鸡是摆放在神灵或[祖先](/topic/祖先)祭案上的祭品,在巫俗信仰中,鸡是顶替人的坏运或命运而死去的动物。在一些地区将狗当作祭品,例如洞祭,这与老虎经常出没造成严重虎患有关,因老虎喜欢狗,所以将全狗作为牺牲祭品。
Huisaengjemul is the term for animal sacrifices offered to the gods in rituals.

The origins of animal sacrifices in Korea date back far in history, with records of the practice in Buyeo (2nd century B.C.E.–494) of a ritual for the heavens held in times of war, which included the killing of a cow and making predictions about the outcome by reading its hoofs. The most primal form of sacrifice is known to be human sacrifice, which was replaced by animals over time, beginning with wild animals, which was again replaced by domestic animals. Over time, animal sacrifices came to serve the satisfaction of both the gods and the humans, and the practice of consuming the sacrifice (eumbok) was also established.

Animals offered as sacrifices in folk rituals include cows, pigs, chicken and dogs.

Cows are considered the biggest sacrifice offered to a village guardian deity. Because of the enormous costs involved in sacrificing a cow, faith and religious unity of the community are required. In a village ritual that involves a cow sacrifice, a majority of the ritual procedures are focused on the cow, especially the slaughtering, butchering, the arrangement of the ritual table according to meat parts, and the consumption of the meat.

Pigs also make up a major sacrifice in large-scale communal rituals including byeolsinje and fishing village rituals. It is believed that the mountain god [[Sansin](/topic/MountainGod)](/topic/Sansin) demanded a loud squeal from the pig before coming down to consume the sacrificial foods so sometimes the slaughter takes place at the shrine in the mountain.

Chickens are offered as sacrifices for both the gods and one’s ancestors. In shamanic rituals, chickens are used as proxies that are put to death in the place of a human who is cursd with bad fortune or a short lifespan.

In some regions, dogs were also sacrificed. Dog sacrifices in village rituals were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attacks from tigers, offered to please tigers since they liked to eat dogs.
역사희생제물의 역사적 기원은 오래되었지만 부여의 습속에서 뚜렷한 흔적이 발견된다.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권30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제30 가운데 부여조에는 “군사를 일으킬 때에 또한 하늘에 제사를 지낸다. 소를 도살하여 발굽을 살펴서 길흉을 점치는데 발굽이 벌어져 있으면 흉하다고 하고, 모아져 있으면 길하다고 한다(有軍事亦祭天 殺牛觀蹄以占吉凶 蹄解者爲凶 合者爲吉)”라는 기록이 있다. 소를 희생제물로 삼은 전통을 이로써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주술적인 점술과 관련하여 해석하는 점이 부가되어 있다.

더욱 적극적인 사례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돗제](/topic/돗제)의 기원과 같은 본풀이에서 명확하게 희생제의가 신찬에 해당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을 뚜렷하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이 이다. 이 본풀이의 세부적인 내용에 돗제의 희생제의가 필요한 이유가 명시되어 있다.


안빌레는 식닥빌레 인발개발 쎄였수다. 남당 알은 개오줌내 탕천허고 궤눼깃 굴에 올라간다. 굴 안에 들어가난 니름 셋름 의지로구나. 남드레 돌아사난 벨이 솜솜 이 솜솜 보아지었구낭. “난 일루 좌정을 쿠다.” “뭐를 먹읍네까?” “나는 장수난 밥도 [장군](/topic/장군) 술도 장군 고기도 장군 고기 전머리 먹읍네다.” 허난 “어서 기영서.” “오름산이 불르라. 봉산이 불르라, 서져구리, 기마구리, 칼감제, 실멩일 불러오라.” 실멩일 불러오난 황밧갈쇠를 내여노라. 황밧갈쇠를 내여노난 동펜은 가린쇠 세경은 부린펜 페갤 베완 황밧갈쇠를 바칩데다. 에-. 황밧갈쇠를 바치나넨 는 말이 “부잿칩은 좋쿠다 마는 들 가난 집은 어떵네까?” “기영지 마라. 남도구리 아래 감은족발이 한족발이 물 주고 수금 주언 황밧갈쇠만이 크건들랑 창지만 똑귀 내어 두언 물 잔 떨어진 건 어시 올리쿠다.” “어서 기영서.”


이 본풀이는 희생제물이 어떠한 용도로 선택되고 어떻게 신과 인간 사이에 계약이 성립되는지를 알 수 있는 살아 있는 자료이다. 궤눼깃도가 고향에 돌아와도 아무도 알아주지 않자 장인에게 영험을 부리도록 해서 마침내 한 고장의 농사를 흉년이 되었다가 풍년이 되도록 하자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이 비로소 이 신의 능력을 알아채게 되었다. 마을 사람들이 이 존재에게 한 곳에 좌정할 것을 요구하자 여러 곳을 지적하다가 마침내 궤눼깃굴로 좌정하는 대목이 있다. 그리고 자신이 먹고자 하는 음식을 정하는데 그것이 황밧갈쇠라고 하는 황소이다. 마을 사람들이 처음에 그 요청에 응하였지만 나중에 가난한 사람은 그렇게 할 수 없어서 이에 대한 계약 변경이 이루어지고 돼지로 희생제물을 올리겠다고 하는 대목이 이 본풀이에서 제시되고 있다. 신찬으로 바치는 희생제물 역시 계약 변경이 가능하고, 형편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하는 점이 이 본풀이에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희생제물의 변천은 일정한 단계가 있었음을 여러 구전설화에서 두루 확인할 수가 있다. 널리 확인되지는 않지만 처음에 인간을 희생제물로 삼던 전통이 있었다. 식인관습이나 사람을 제물로 바치던 다른 민족의 사례는 이러한 사정을 분명하게 보여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중국 윈난성(雲南省)의 와족(佤族)이 거행한 와 같은 사례에서 이 점이 확인된다. 사람 머리를 잘라서 이를 제사 지내는 풍속이 핵심이다. [인신공희](/topic/인신공희)의 전통이 우리나라의 이야기와 본풀이 등에 풍부하게 전승되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엿보게 한다. , , 등의 전례는 이 단계의 상황을 짐작하게 하는 중요한 상징적 요소가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의 정체나 요구로 드러난다.

이 과정에서 사람을 잡아 희생을 하던 단계의 전환이 이룩되었다. 그것은 농경재배의 단계가 나타남으로써 이러한 단계의 전환은 불가피하게 되었다. 사냥을 하고 짐승을 잡아먹는 단계의 병존이 이루어지다가 마침내 이러한 문화적 단계와 결별하게 되었다. 문화사적 결별의 대표적인 희생제의를 담고 있는 신화가 하이누벨레(Hainuwele)과 같은 여성을 잡아먹는 단계로 전이된 것을 말한다. 이른바 데마(Dema)처녀의 살해가 [조상신](/topic/조상신)을 살해하고, 새로운 농경단계로 접어들고, 식인습속을 전환하는 동기를 일정하게 담고 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사람을 대신하는 희생물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희생제물이다. 희생제물의 등장은 일정한 변혁적인 사건이었다. 사람을 대신하여 희생제물로 [동물](/topic/동물)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 동물은 야생일 것으로 짐작되는 가운데 세월이 경과하면서 인간이 기르는 [가축](/topic/가축)과 같은 것들이 희생제물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

가축으로 희생물을 삼아서 인간을 대신하고, 인간과 신의 계약과 신찬을 돕는 점에서 희생제물은 중요한 변화를 초래했다. 인간과 신을 동시에 충족시키고 신들의 신찬을 인간이 [음복](/topic/음복)하는 제도가 탄생한 것이다. 농경사회의 전환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지만 인간의 희생제물 [헌식](/topic/헌식)은 여전히 병존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런 점에서 가축을 희생제물로 삼는 행위는 각별하다.

희생제물은 분명한 신찬이기 때문에 이를 분배하고 여러 사람이 나누어 먹는 것을 본격적으로 제도화하였다. 쇠머리 또는 돼지를 통째 바쳐야 한다는 규약 따위가 이를 말하는 구체적인 증거이다. 희생제물을 통해 여러 [가지](/topic/가지) 반기와 봉송을 하는 일은 희생제물의 구체적인 용례가 된다.
역사희생제물의 역사적 기원은 오래되었지만 부여의 습속에서 뚜렷한 흔적이 발견된다.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권30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제30 가운데 부여조에는 “군사를 일으킬 때에 또한 하늘에 제사를 지낸다. 소를 도살하여 발굽을 살펴서 길흉을 점치는데 발굽이 벌어져 있으면 흉하다고 하고, 모아져 있으면 길하다고 한다(有軍事亦祭天 殺牛觀蹄以占吉凶 蹄解者爲凶 合者爲吉)”라는 기록이 있다. 소를 희생제물로 삼은 전통을 이로써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주술적인 점술과 관련하여 해석하는 점이 부가되어 있다.

더욱 적극적인 사례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돗제](/topic/돗제)의 기원과 같은 본풀이에서 명확하게 희생제의가 신찬에 해당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을 뚜렷하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이 이다. 이 본풀이의 세부적인 내용에 돗제의 희생제의가 필요한 이유가 명시되어 있다.


안빌레는 식닥빌레 인발개발 쎄였수다. 남당 알은 개오줌내 탕천허고 궤눼깃 굴에 올라간다. 굴 안에 들어가난 니름 셋름 의지로구나. 남드레 돌아사난 벨이 솜솜 이 솜솜 보아지었구낭. “난 일루 좌정을 쿠다.” “뭐를 먹읍네까?” “나는 장수난 밥도 [장군](/topic/장군) 술도 장군 고기도 장군 고기 전머리 먹읍네다.” 허난 “어서 기영서.” “오름산이 불르라. 봉산이 불르라, 서져구리, 기마구리, 칼감제, 실멩일 불러오라.” 실멩일 불러오난 황밧갈쇠를 내여노라. 황밧갈쇠를 내여노난 동펜은 가린쇠 세경은 부린펜 페갤 베완 황밧갈쇠를 바칩데다. 에-. 황밧갈쇠를 바치나넨 는 말이 “부잿칩은 좋쿠다 마는 들 가난 집은 어떵네까?” “기영지 마라. 남도구리 아래 감은족발이 한족발이 물 주고 수금 주언 황밧갈쇠만이 크건들랑 창지만 똑귀 내어 두언 물 잔 떨어진 건 어시 올리쿠다.” “어서 기영서.”


이 본풀이는 희생제물이 어떠한 용도로 선택되고 어떻게 신과 인간 사이에 계약이 성립되는지를 알 수 있는 살아 있는 자료이다. 궤눼깃도가 고향에 돌아와도 아무도 알아주지 않자 장인에게 영험을 부리도록 해서 마침내 한 고장의 농사를 흉년이 되었다가 풍년이 되도록 하자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이 비로소 이 신의 능력을 알아채게 되었다. 마을 사람들이 이 존재에게 한 곳에 좌정할 것을 요구하자 여러 곳을 지적하다가 마침내 궤눼깃굴로 좌정하는 대목이 있다. 그리고 자신이 먹고자 하는 음식을 정하는데 그것이 황밧갈쇠라고 하는 황소이다. 마을 사람들이 처음에 그 요청에 응하였지만 나중에 가난한 사람은 그렇게 할 수 없어서 이에 대한 계약 변경이 이루어지고 돼지로 희생제물을 올리겠다고 하는 대목이 이 본풀이에서 제시되고 있다. 신찬으로 바치는 희생제물 역시 계약 변경이 가능하고, 형편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하는 점이 이 본풀이에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희생제물의 변천은 일정한 단계가 있었음을 여러 구전설화에서 두루 확인할 수가 있다. 널리 확인되지는 않지만 처음에 인간을 희생제물로 삼던 전통이 있었다. 식인관습이나 사람을 제물로 바치던 다른 민족의 사례는 이러한 사정을 분명하게 보여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중국 윈난성(雲南省)의 와족(佤族)이 거행한 와 같은 사례에서 이 점이 확인된다. 사람 머리를 잘라서 이를 제사 지내는 풍속이 핵심이다. [인신공희](/topic/인신공희)의 전통이 우리나라의 이야기와 본풀이 등에 풍부하게 전승되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엿보게 한다. , , 등의 전례는 이 단계의 상황을 짐작하게 하는 중요한 상징적 요소가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의 정체나 요구로 드러난다.

이 과정에서 사람을 잡아 희생을 하던 단계의 전환이 이룩되었다. 그것은 농경재배의 단계가 나타남으로써 이러한 단계의 전환은 불가피하게 되었다. 사냥을 하고 짐승을 잡아먹는 단계의 병존이 이루어지다가 마침내 이러한 문화적 단계와 결별하게 되었다. 문화사적 결별의 대표적인 희생제의를 담고 있는 신화가 하이누벨레(Hainuwele)과 같은 여성을 잡아먹는 단계로 전이된 것을 말한다. 이른바 데마(Dema)처녀의 살해가 [조상신](/topic/조상신)을 살해하고, 새로운 농경단계로 접어들고, 식인습속을 전환하는 동기를 일정하게 담고 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사람을 대신하는 희생물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희생제물이다. 희생제물의 등장은 일정한 변혁적인 사건이었다. 사람을 대신하여 희생제물로 [동물](/topic/동물)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 동물은 야생일 것으로 짐작되는 가운데 세월이 경과하면서 인간이 기르는 [가축](/topic/가축)과 같은 것들이 희생제물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

가축으로 희생물을 삼아서 인간을 대신하고, 인간과 신의 계약과 신찬을 돕는 점에서 희생제물은 중요한 변화를 초래했다. 인간과 신을 동시에 충족시키고 신들의 신찬을 인간이 [음복](/topic/음복)하는 제도가 탄생한 것이다. 농경사회의 전환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지만 인간의 희생제물 [헌식](/topic/헌식)은 여전히 병존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런 점에서 가축을 희생제물로 삼는 행위는 각별하다.

희생제물은 분명한 신찬이기 때문에 이를 분배하고 여러 사람이 나누어 먹는 것을 본격적으로 제도화하였다. 쇠머리 또는 돼지를 통째 바쳐야 한다는 규약 따위가 이를 말하는 구체적인 증거이다. 희생제물을 통해 여러 [가지](/topic/가지) 반기와 봉송을 하는 일은 희생제물의 구체적인 용례가 된다.
지역사례지역에 따라 희생제물의 사례가 각기 다르고 복합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어서 일률적으로 논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온전하게 돼지만을 요구한다고 하는 의미에서 성립된 제주도의 [돗제](/topic/돗제)에서는 순전하게 돼지만을 바친다. 돼지를 희생물로 바치는 사례가 전국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제주도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표현되는 사례는 없다.

이와 달리 소를 제의의 희생제물로 사용하는 지역도 있다. 서울 인근의 [마을](/topic/마을)굿에서는 닭과 소를 함께 제물로 사용하여 신에게 바친다. 이와 동시에 쓰러지는 방향에 따라 마을굿의 효험을 점치는 사례도 있다. 서울 지역의 중랑구나 도봉구, 경기도 구리시의 마을굿에서는 쇠머리 위에 닭을 활에 꿰어서 사슬을 세운 희생제물을 바친다.
지역사례지역에 따라 희생제물의 사례가 각기 다르고 복합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어서 일률적으로 논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온전하게 돼지만을 요구한다고 하는 의미에서 성립된 제주도의 [돗제](/topic/돗제)에서는 순전하게 돼지만을 바친다. 돼지를 희생물로 바치는 사례가 전국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제주도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표현되는 사례는 없다.

이와 달리 소를 제의의 희생제물로 사용하는 지역도 있다. 서울 인근의 [마을](/topic/마을)굿에서는 닭과 소를 함께 제물로 사용하여 신에게 바친다. 이와 동시에 쓰러지는 방향에 따라 마을굿의 효험을 점치는 사례도 있다. 서울 지역의 중랑구나 도봉구, 경기도 구리시의 마을굿에서는 쇠머리 위에 닭을 활에 꿰어서 사슬을 세운 희생제물을 바친다.
의의희생제물의 의의는 여러 각도에서 말할 수 있다. 하나는 자체의 역사적 전환과 의미를 환기하는 점에서 찾아야 한다. 사람-짐승의 희생물 대치와 수렵-농경의 문화사적 전환 등이 서로 맞물리면서 희생제물의 역동적인 전환과 변화를 암시한다. 단순하게 [동물](/topic/동물)을 바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 중요한 역사적인 변천 속에서 희생제물은 인간의 대속물, [대수대명](/topic/대수대명)물로 희생제물이 긴요한 구실을 하게 되었다. 이 점에서 희생제물은 문화적 과거와 현재를 보여 주는 적절한 예증이 된다.

더욱 적극적인 의미는 희생제물의 비교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 비교를 통해 희생제물에 대한 의례적 특징을 새삼스럽게 재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제주도의 [돗제](/topic/돗제)는 그 자체로 보면 이상한 습속일 수 있지만 다른 민족 가운데 이와 유사한 의례를 거행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비교할 필요가 있다.

희생제물을 돼지로 삼아서 하는 의례로는 여러 [가지](/topic/가지)가 있으며 중국에서는 다양한 지역적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만주족(滿洲族), 안후이성(安徽省) 츠저우시(池州市) 구이츠구(貴池區) 후난성(湖南省) 샹시투자족먀오족자치주(湘西土家族苗族自治州), 신황둥족자치현(新晃侗族自治縣) 등지에서 거행되는 돼지제사는 매우 유사한 형태로 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공통적인 사실은 돼지를 한 마리 모두 바치는 것을 핵심적인 내용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예외를 두는 것도 있어서 이 역시 사례는 매우 주목할 만한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면모는 [농경문화](/topic/농경문화)와 물의 상관성 속에서 돼지가 중요한 의의를 지닌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윈난성(雲南省)의 소수민족 가운데 여러 곳에서 우리나라 제주도의 돗제와 유사한 의례를 거행한다. ‘나시족(納西族)’은 중국 윈난(雲南)과 쓰촨(泗川)의 접경지대에 살고 있는 민족으로서 모계가정을 기본적인 사회구조로 하고 있다. 나시족의 전통문화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쓰촨성 경내 ‘리쥐쭈이(利咀嘴)’라는 [마을](/topic/마을)에서 추수가 끝나는 음력 10월이면 이곳 사람들은 돼지를 잡아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는 ‘사주지쭈(殺猪祭祖)’라는 제의를 거행한다.

이 제사는 동일 씨족 내부의 ‘쓰르(斯日)’라는 친족 집단에 속한 샤먼 ‘다바(達巴)’가 제사를 주재한다. 이 제사는 조상에 대한 은덕을 감사드리는 추수감사제와 같은 성격을 띠고 있다. 또한 집안의 식용 가능한 돼지를 잡아 소금에 절여 [저장](/topic/저장)해 놓고 필요한 경우 언제나 음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표육(猪膘肉)’을 만드는 시기와 연결되는 특별한 제의이다. 우리의 돗제 역시 이러한 성격을 강력하게 지니고 있어 돼지를 희생제물로 삼는 사례의 비교로 적절한 예증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돼지제사의 문화적 함의 (曹琳, 김지영 역, 서우얼출판사, 2006)
제주도 김녕리 [궤눼깃당본풀이](/topic/궤눼깃당본풀이) 연구 (김헌선, 2007,미간행)
쓰촨 나르인 ‘부콰스부(殺猪祭祖)’ 의식과 모계가정 (홍희, 동아시아고대학 9, 동아시아고대학회, 2009)
의의희생제물의 의의는 여러 각도에서 말할 수 있다. 하나는 자체의 역사적 전환과 의미를 환기하는 점에서 찾아야 한다. 사람-짐승의 희생물 대치와 수렵-농경의 문화사적 전환 등이 서로 맞물리면서 희생제물의 역동적인 전환과 변화를 암시한다. 단순하게 [동물](/topic/동물)을 바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 중요한 역사적인 변천 속에서 희생제물은 인간의 대속물, [대수대명](/topic/대수대명)물로 희생제물이 긴요한 구실을 하게 되었다. 이 점에서 희생제물은 문화적 과거와 현재를 보여 주는 적절한 예증이 된다.

더욱 적극적인 의미는 희생제물의 비교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 비교를 통해 희생제물에 대한 의례적 특징을 새삼스럽게 재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제주도의 [돗제](/topic/돗제)는 그 자체로 보면 이상한 습속일 수 있지만 다른 민족 가운데 이와 유사한 의례를 거행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비교할 필요가 있다.

희생제물을 돼지로 삼아서 하는 의례로는 여러 [가지](/topic/가지)가 있으며 중국에서는 다양한 지역적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만주족(滿洲族), 안후이성(安徽省) 츠저우시(池州市) 구이츠구(貴池區) 후난성(湖南省) 샹시투자족먀오족자치주(湘西土家族苗族自治州), 신황둥족자치현(新晃侗族自治縣) 등지에서 거행되는 돼지제사는 매우 유사한 형태로 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공통적인 사실은 돼지를 한 마리 모두 바치는 것을 핵심적인 내용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예외를 두는 것도 있어서 이 역시 사례는 매우 주목할 만한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면모는 [농경문화](/topic/농경문화)와 물의 상관성 속에서 돼지가 중요한 의의를 지닌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윈난성(雲南省)의 소수민족 가운데 여러 곳에서 우리나라 제주도의 돗제와 유사한 의례를 거행한다. ‘나시족(納西族)’은 중국 윈난(雲南)과 쓰촨(泗川)의 접경지대에 살고 있는 민족으로서 모계가정을 기본적인 사회구조로 하고 있다. 나시족의 전통문화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쓰촨성 경내 ‘리쥐쭈이(利咀嘴)’라는 [마을](/topic/마을)에서 추수가 끝나는 음력 10월이면 이곳 사람들은 돼지를 잡아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는 ‘사주지쭈(殺猪祭祖)’라는 제의를 거행한다.

이 제사는 동일 씨족 내부의 ‘쓰르(斯日)’라는 친족 집단에 속한 샤먼 ‘다바(達巴)’가 제사를 주재한다. 이 제사는 조상에 대한 은덕을 감사드리는 추수감사제와 같은 성격을 띠고 있다. 또한 집안의 식용 가능한 돼지를 잡아 소금에 절여 [저장](/topic/저장)해 놓고 필요한 경우 언제나 음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표육(猪膘肉)’을 만드는 시기와 연결되는 특별한 제의이다. 우리의 돗제 역시 이러한 성격을 강력하게 지니고 있어 돼지를 희생제물로 삼는 사례의 비교로 적절한 예증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돼지제사의 문화적 함의 (曹琳, 김지영 역, 서우얼출판사, 2006)
제주도 김녕리 [궤눼깃당본풀이](/topic/궤눼깃당본풀이) 연구 (김헌선, 2007,미간행)
쓰촨 나르인 ‘부콰스부(殺猪祭祖)’ 의식과 모계가정 (홍희, 동아시아고대학 9, 동아시아고대학회, 2009)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