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마을](/topic/마을)신들에게 바쳐지는 통소는 모든 제수(祭需) 가운데 으뜸이다. 대개 도서(島嶼) 지방이나 내륙의 대규모 당제 및 성황제에 통소를 [제상](/topic/제상)에 올린다. 이러한 동제(洞祭)의 절차는 상당 부분이 소에게 집중되어 있고 상호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동제를 구성하는 문화복합(culture complex) 중심에 소가 자리하는 것이다. |
---|---|
mp3Cnt | 0 |
wkorname | 이필영 |
정의 | [마을](/topic/마을)신들에게 바쳐지는 통소는 모든 제수(祭需) 가운데 으뜸이다. 대개 도서(島嶼) 지방이나 내륙의 대규모 당제 및 성황제에 통소를 [제상](/topic/제상)에 올린다. 이러한 동제(洞祭)의 절차는 상당 부분이 소에게 집중되어 있고 상호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동제를 구성하는 문화복합(culture complex) 중심에 소가 자리하는 것이다. | 정의 | [마을](/topic/마을)신들에게 바쳐지는 통소는 모든 제수(祭需) 가운데 으뜸이다. 대개 도서(島嶼) 지방이나 내륙의 대규모 당제 및 성황제에 통소를 [제상](/topic/제상)에 올린다. 이러한 동제(洞祭)의 절차는 상당 부분이 소에게 집중되어 있고 상호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동제를 구성하는 문화복합(culture complex) 중심에 소가 자리하는 것이다. | 내용 | 한자(漢字)의 ‘고할 고(告)’자는 ‘소 우(牛)’에 ‘입구(口)’를 더한 것으로, 신령에게 소를 바쳐 소원을 빈다는 뜻이다. 만주 송화강 유역의 연맹왕국 부여는 매년 은정월(殷正月)에 [영고](/topic/영고)(迎鼓)라는 제천의식을 행했다. 전쟁이 있게 되면 비정기적으로는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그때 희생으로 소를 바치고, 그 발굽이 갈라져 있으면 불길(不吉)하고 합쳐 있으면 길(吉)한 것으로 여겼다. 이처럼 소를 잡아 제사를 지낸 역사는 매우 오래됐다. [마을](/topic/마을)신에게 바치는 최대 제물은 통소이다. 풍족한 마을의 경제 형편과 마을신에 대한 깊은 믿음이 뒷받침되어야 통소를 올릴 수 있다. 소는 다른 제물에 비하여 엄청난 비용이 들기 때문에 많은 제비(祭費)를 걷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마을 사람들의 종교적 단결이 필요하다. 통소를 잡는 마을의 산신제는 의례 과정의 상당 부분이 소에 집중되어 있고, 그것과 상호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특히 소의 도살(屠殺), 해체 및 분육, 부위별 [제상](/topic/제상) 차림, 회식의 과정은 마을신앙 의례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제수용(祭需用) 소의 종류, 색깔, 체격, 외형상의 특징 등에도 일정한 선정 기준이 적용된다. 구입한 소에 대한 예우 방식, 존칭어 사용, 도살 및 해체 방식에도 마을마다의 규칙이 있다. 암소는 수태나 출산의 부정(不淨) 때문에 가능한한 회피한다. 당연히 황소를 선호한다. 그것도 골격이 장대하고 단색이어야 한다. 적당한 소를 찾으면 값을 절대로 깎지 않고 매입한다. 또 [제관](/topic/제관)이 선택한 소는 소 주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선선히 내놓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마을신이 소 주인이나 선정한 소를 죽게한다고 믿는다. 이런 속신은 마을신이 제관을 매개로하여 자신에게 바쳐질 소를 직접 선택했음을 일러 주며, 소 주인이 아끼던 소를 쉽게 내놓게 하는 관념적 장치가 된다. 당산에 올릴 소는 수시로 당샘 물로 목욕을 시키며, 도살할 때까지 뜨물은 먹이지 않고 청수(淸水)만을 먹인다. 제수용 소는 당산에 스스로 올라가서 죽을 자리에 우뚝 선다는 전설도 흔하다. 그만큼 당산신의 영험은 놀라우며, 미물인 소 역시 당산신을 위해 언제라도 죽을 각오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희생 소를 가엾게 여기기는 하지만 그래도 절을 받고 죽는 소여서 팔자 좋은 편이라는 생각도 한다. 소를 잡는 제관을 별도로 구성하는 마을도 있다. 그리고 도살하기 전에 제관들이 목욕재계하는 것은 보편적이다.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서는 소를 구입하면 그 순간부터 소를 양반이라 부른다. 소에게 금성대군(錦城大君)의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큰 [백지](/topic/백지)에 붓글씨로 근봉(謹封)이라 써서 소 등에 붙인다. 이는 동제를 위해 특별히 봉해졌다는 뜻이다. 제관들은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입고 [짚신](/topic/짚신)을 신고 의관을 갖춘 다음 세숫대야에 물을 떠서 얼굴과 손을 깨끗이 씻는다. 그러고 나서 양반인 소에게 정중하게 절을 두번 한다. 이런 절차가 끝나면 양반을 이끌고 도가(都家)로 돌아간다. 고삐를 이끌고 가는 도중에 방향이 어긋나면 “양반, 이리 갑시다! 저리 갑시다!” 하며 공대말로 모시고, 양반이 [가지](/topic/가지) 않으면 그곳에서 쉬었다가 간다. 양반을 맞은 집에서는 이때부터 ‘쇠죽을 준다’ 대신 ‘식사 하신다’는 말을 사용한다. 집에 있는 사람들은 목욕재계하고 기다리고 있다가 양반이 도착하면 제관들과 함께 전체가 모여 정중하게 재배한다. 제사날까지 아침 저녁으로 목욕재계하고 양반에게 인사를 드린다. 양반은 도가에서 보통 일주일 동안 머문다.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리의 성황제에서는 풍어를 위해 젖 뗀 수송아지를 올린다. 황소를 잡으면 부위별로 나눈다. 이때 오른쪽 부위와 왼쪽 부위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성황당 안에는 중앙에 남성황신, 그 좌우에 작은 마누라와 큰 마누라가 각각 모셔져 있다. 남성황신에게는 황소의 오른쪽 앞다리와 간·처녑·콩팥 등을 생것으로 올리고, 소의 생골도 나무판에 짚을 깔아서 그 위에 놓는다. 나머지 부위는 구워서 산적으로 만들어 조금씩 놓는다. 양쪽 여신에게는 모두 산적으로만 올린다. 이때 큰 마누라에게는 오른쪽 부위, 작은 마누라에게는 왼쪽 부위를 각각 올린다. 충남 보령시 외연도의 당제에서는 소를 존칭하여 ‘지태’라고 부른다. 지태가 쓰러지면서 땅에 닿은 쪽의 부위는 당제에 쓰지 않고, 당제를 치르고 하산한 뒤에 지내는 제사와 마을잔치에서만 쓴다. 땅에 닿지 않은 부위만 당산에서 치르는 제사에 쓴다. 쇠꼬리, 쇠불알, 신(腎)의 세 부위는 서로 분리시키지 않고 하나가 되게 조심스럽게 절단해 낸다. 이는 전횡(田橫)[장군](/topic/장군) 제상에만 올린다. 쇠머리는 도끼와 칼을 써서 사각(四角)을 친다. 네 등분 된 쇠머리 가운데 쇠뿔이 있는 부위는 세 분의 산신을 모신 갈당의 ‘뼈 묻는 바위’에 올리고, 혓바닥이 붙어있는 아래턱뼈는 장군[사당](/topic/사당)에 바친다. 그리고 쇠뿔이 있는 또 하나의 쇠머리는 당제 마지막 절차인 안땅고사를 치를 때 당산쪽을 향해 차린 제상에 올리고, 아래턱뼈 하나는 장배를 내준 선주네 집에 주어서 성의에 보답한다. 그러면 선주는 이를 받아 배고사를 지낸다. 내장 가운데 지라와 허파는 구워서 제상에 올리고, 간과 처녑은 날것으로 그냥 바친다. 지태는 해체되고 분육(分肉)되는 순서대로 이를 계속 솥에서 삶아 건져낸다. 이렇게 익힌 쇠고기와 쇠뼈는 산제당과 전횡장군사당 등에 진설한다. 마을 신령들에게 바쳐진 소는 제사가 끝난 뒤에 온 동민의 [음복](/topic/음복)(飮福)과 잔치에서 가장 중요한 음식이 된다. 각종 부위의 쇠고기는 물론 쇠[가죽](/topic/가죽)까지 인기가 높다. 쇠가죽은 주로 노인네들의 안주감으로 쓰인다. 각종 내장도 부위 별로 굽거나 삶아서 또는 날것으로 먹는다. 각종 부위를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최선의 전통적 조리법이다. 밤새 곤 쇠고깃국에 말아먹는 밥맛은 누구도 잊지 못한다. 어떤 마을은 아예 산에 올라 잔치를 벌이기도 하고 제관 집, 장자 집, 등 장[마당](/topic/마당), 마을회관 등에 모여 오랜만에 고기 맛을 보기 도 한다. 동제의 제수용 소는 마을신들이 [흠향](/topic/흠향)하고 나서 동민들에게 내린 최고의 선물이다. 동제라는 종교적 축제의 정점에 소가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 강원지방 장승·솟대신앙(국립민속박물관, 1988) 경북예악지(경상북도·영남대, 1989)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이필영, 웅진출판사, 1994) 충남 서해 도서지방의 당제 연구-외연도를 중심으로(이필영, 국사관논총 82, 국사편찬위원회, 1998). | 내용 | 한자(漢字)의 ‘고할 고(告)’자는 ‘소 우(牛)’에 ‘입구(口)’를 더한 것으로, 신령에게 소를 바쳐 소원을 빈다는 뜻이다. 만주 송화강 유역의 연맹왕국 부여는 매년 은정월(殷正月)에 [영고](/topic/영고)(迎鼓)라는 제천의식을 행했다. 전쟁이 있게 되면 비정기적으로는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그때 희생으로 소를 바치고, 그 발굽이 갈라져 있으면 불길(不吉)하고 합쳐 있으면 길(吉)한 것으로 여겼다. 이처럼 소를 잡아 제사를 지낸 역사는 매우 오래됐다. [마을](/topic/마을)신에게 바치는 최대 제물은 통소이다. 풍족한 마을의 경제 형편과 마을신에 대한 깊은 믿음이 뒷받침되어야 통소를 올릴 수 있다. 소는 다른 제물에 비하여 엄청난 비용이 들기 때문에 많은 제비(祭費)를 걷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마을 사람들의 종교적 단결이 필요하다. 통소를 잡는 마을의 산신제는 의례 과정의 상당 부분이 소에 집중되어 있고, 그것과 상호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특히 소의 도살(屠殺), 해체 및 분육, 부위별 [제상](/topic/제상) 차림, 회식의 과정은 마을신앙 의례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제수용(祭需用) 소의 종류, 색깔, 체격, 외형상의 특징 등에도 일정한 선정 기준이 적용된다. 구입한 소에 대한 예우 방식, 존칭어 사용, 도살 및 해체 방식에도 마을마다의 규칙이 있다. 암소는 수태나 출산의 부정(不淨) 때문에 가능한한 회피한다. 당연히 황소를 선호한다. 그것도 골격이 장대하고 단색이어야 한다. 적당한 소를 찾으면 값을 절대로 깎지 않고 매입한다. 또 [제관](/topic/제관)이 선택한 소는 소 주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선선히 내놓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마을신이 소 주인이나 선정한 소를 죽게한다고 믿는다. 이런 속신은 마을신이 제관을 매개로하여 자신에게 바쳐질 소를 직접 선택했음을 일러 주며, 소 주인이 아끼던 소를 쉽게 내놓게 하는 관념적 장치가 된다. 당산에 올릴 소는 수시로 당샘 물로 목욕을 시키며, 도살할 때까지 뜨물은 먹이지 않고 청수(淸水)만을 먹인다. 제수용 소는 당산에 스스로 올라가서 죽을 자리에 우뚝 선다는 전설도 흔하다. 그만큼 당산신의 영험은 놀라우며, 미물인 소 역시 당산신을 위해 언제라도 죽을 각오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희생 소를 가엾게 여기기는 하지만 그래도 절을 받고 죽는 소여서 팔자 좋은 편이라는 생각도 한다. 소를 잡는 제관을 별도로 구성하는 마을도 있다. 그리고 도살하기 전에 제관들이 목욕재계하는 것은 보편적이다.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서는 소를 구입하면 그 순간부터 소를 양반이라 부른다. 소에게 금성대군(錦城大君)의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큰 [백지](/topic/백지)에 붓글씨로 근봉(謹封)이라 써서 소 등에 붙인다. 이는 동제를 위해 특별히 봉해졌다는 뜻이다. 제관들은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입고 [짚신](/topic/짚신)을 신고 의관을 갖춘 다음 세숫대야에 물을 떠서 얼굴과 손을 깨끗이 씻는다. 그러고 나서 양반인 소에게 정중하게 절을 두번 한다. 이런 절차가 끝나면 양반을 이끌고 도가(都家)로 돌아간다. 고삐를 이끌고 가는 도중에 방향이 어긋나면 “양반, 이리 갑시다! 저리 갑시다!” 하며 공대말로 모시고, 양반이 [가지](/topic/가지) 않으면 그곳에서 쉬었다가 간다. 양반을 맞은 집에서는 이때부터 ‘쇠죽을 준다’ 대신 ‘식사 하신다’는 말을 사용한다. 집에 있는 사람들은 목욕재계하고 기다리고 있다가 양반이 도착하면 제관들과 함께 전체가 모여 정중하게 재배한다. 제사날까지 아침 저녁으로 목욕재계하고 양반에게 인사를 드린다. 양반은 도가에서 보통 일주일 동안 머문다.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리의 성황제에서는 풍어를 위해 젖 뗀 수송아지를 올린다. 황소를 잡으면 부위별로 나눈다. 이때 오른쪽 부위와 왼쪽 부위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성황당 안에는 중앙에 남성황신, 그 좌우에 작은 마누라와 큰 마누라가 각각 모셔져 있다. 남성황신에게는 황소의 오른쪽 앞다리와 간·처녑·콩팥 등을 생것으로 올리고, 소의 생골도 나무판에 짚을 깔아서 그 위에 놓는다. 나머지 부위는 구워서 산적으로 만들어 조금씩 놓는다. 양쪽 여신에게는 모두 산적으로만 올린다. 이때 큰 마누라에게는 오른쪽 부위, 작은 마누라에게는 왼쪽 부위를 각각 올린다. 충남 보령시 외연도의 당제에서는 소를 존칭하여 ‘지태’라고 부른다. 지태가 쓰러지면서 땅에 닿은 쪽의 부위는 당제에 쓰지 않고, 당제를 치르고 하산한 뒤에 지내는 제사와 마을잔치에서만 쓴다. 땅에 닿지 않은 부위만 당산에서 치르는 제사에 쓴다. 쇠꼬리, 쇠불알, 신(腎)의 세 부위는 서로 분리시키지 않고 하나가 되게 조심스럽게 절단해 낸다. 이는 전횡(田橫)[장군](/topic/장군) 제상에만 올린다. 쇠머리는 도끼와 칼을 써서 사각(四角)을 친다. 네 등분 된 쇠머리 가운데 쇠뿔이 있는 부위는 세 분의 산신을 모신 갈당의 ‘뼈 묻는 바위’에 올리고, 혓바닥이 붙어있는 아래턱뼈는 장군[사당](/topic/사당)에 바친다. 그리고 쇠뿔이 있는 또 하나의 쇠머리는 당제 마지막 절차인 안땅고사를 치를 때 당산쪽을 향해 차린 제상에 올리고, 아래턱뼈 하나는 장배를 내준 선주네 집에 주어서 성의에 보답한다. 그러면 선주는 이를 받아 배고사를 지낸다. 내장 가운데 지라와 허파는 구워서 제상에 올리고, 간과 처녑은 날것으로 그냥 바친다. 지태는 해체되고 분육(分肉)되는 순서대로 이를 계속 솥에서 삶아 건져낸다. 이렇게 익힌 쇠고기와 쇠뼈는 산제당과 전횡장군사당 등에 진설한다. 마을 신령들에게 바쳐진 소는 제사가 끝난 뒤에 온 동민의 [음복](/topic/음복)(飮福)과 잔치에서 가장 중요한 음식이 된다. 각종 부위의 쇠고기는 물론 쇠[가죽](/topic/가죽)까지 인기가 높다. 쇠가죽은 주로 노인네들의 안주감으로 쓰인다. 각종 내장도 부위 별로 굽거나 삶아서 또는 날것으로 먹는다. 각종 부위를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최선의 전통적 조리법이다. 밤새 곤 쇠고깃국에 말아먹는 밥맛은 누구도 잊지 못한다. 어떤 마을은 아예 산에 올라 잔치를 벌이기도 하고 제관 집, 장자 집, 등 장[마당](/topic/마당), 마을회관 등에 모여 오랜만에 고기 맛을 보기 도 한다. 동제의 제수용 소는 마을신들이 [흠향](/topic/흠향)하고 나서 동민들에게 내린 최고의 선물이다. 동제라는 종교적 축제의 정점에 소가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 강원지방 장승·솟대신앙(국립민속박물관, 1988) 경북예악지(경상북도·영남대, 1989)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이필영, 웅진출판사, 1994) 충남 서해 도서지방의 당제 연구-외연도를 중심으로(이필영, 국사관논총 82, 국사편찬위원회, 1998). |
---|
동아출판사 | 한국문화상징사전 |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 | 1992 | 아카데미서적 | 한국민속식물 | 최영전 | 1997 | 국립민속박물관 | 한국세시풍속사전-정월 | - | 2004 | 넥서스 | 高麗史, 三國遺事,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2ㆍ3 | 이상희 | 2004 | 민속원 | 충남 태안지역의 안택과 병경 | 임승범 | 2005 | 온지학회 | 복숭아나무의 민간신앙 연구 | 안병국 | 2006 | 시월 | 문과 상징 | 정연학 | 20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