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용수마을방사탑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포구에 있는 2기의 방사탑.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8호와 제8-9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포구에 있는 2기의 방사탑.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8호와 제8-9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강소전
정의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포구에 있는 2기의 방사탑.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8호와 제8-9호’로 지정되었다.
정의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포구에 있는 2기의 방사탑.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8호와 제8-9호’로 지정되었다.
내용용수리 포구에는 방사탑 2기가 남북으로 세워져 있다. 이는 조선 후기에서 근대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북쪽에 있는 방사탑은 포구의 오른쪽, 남쪽의 방사탑은 포구의 왼쪽에 각각 자리를 잡았다. 한편 방사탑이 자리한 지경의 이름에 따라 북쪽의 방사탑은 ‘새원탑’, 남쪽의 것은 ‘화성물탑’이라고 부른다.

방사탑은 [마을](/topic/마을)의 무사안녕을 기원하고 부정한 액을 막기 위하여 쌓아 올린 [돌탑](/topic/돌탑)이다. 마을 안에서 허하다고 인식된 방위나 지경에 세워 놓는다. 용수리에서는 바다 쪽인 서쪽이 허하다고 여겨 방사탑을 쌓았다. 예부터 주민들이 고기를 잡으로 나갔다가 사고를 당하거나 신원을 알 수 없는 시신이 잘 들어오자 포구 주위의 남쪽과 북쪽에 1기씩을 세웠다고 한다. 새원탑 안에는 소의 목과 어깨 부위에 걸치는 [멍에](/topic/멍에), 화성물탑 안에는 [보습](/topic/보습)을 각각 묻었다고 전해진다. 마을의 허한 곳을 강화하고자 하는 주술적 의미가 엿보인다.
참고문헌제주민속유적 (제주도, 1997)
북제주군의 문화유적 1 (북제주군·제주대학교박물관, 1998)
제주거욱대 (강정효, 각, 2008)
내용용수리 포구에는 방사탑 2기가 남북으로 세워져 있다. 이는 조선 후기에서 근대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북쪽에 있는 방사탑은 포구의 오른쪽, 남쪽의 방사탑은 포구의 왼쪽에 각각 자리를 잡았다. 한편 방사탑이 자리한 지경의 이름에 따라 북쪽의 방사탑은 ‘새원탑’, 남쪽의 것은 ‘화성물탑’이라고 부른다.

방사탑은 [마을](/topic/마을)의 무사안녕을 기원하고 부정한 액을 막기 위하여 쌓아 올린 [돌탑](/topic/돌탑)이다. 마을 안에서 허하다고 인식된 방위나 지경에 세워 놓는다. 용수리에서는 바다 쪽인 서쪽이 허하다고 여겨 방사탑을 쌓았다. 예부터 주민들이 고기를 잡으로 나갔다가 사고를 당하거나 신원을 알 수 없는 시신이 잘 들어오자 포구 주위의 남쪽과 북쪽에 1기씩을 세웠다고 한다. 새원탑 안에는 소의 목과 어깨 부위에 걸치는 [멍에](/topic/멍에), 화성물탑 안에는 [보습](/topic/보습)을 각각 묻었다고 전해진다. 마을의 허한 곳을 강화하고자 하는 주술적 의미가 엿보인다.
참고문헌제주민속유적 (제주도, 1997)
북제주군의 문화유적 1 (북제주군·제주대학교박물관, 1998)
제주거욱대 (강정효, 각, 2008)
형태방사탑은 2기로 조성되어 있다. 1호는 북쪽의 ‘새원탑’, 2호는 남쪽의 ‘화성물탑’이다.

방사탑 1호(민속자료 제8-8호)는 포구의 바닷가 암반 위에 잘 다듬어진 원추형으로 만들어졌다. 높이 370㎝, 밑지름 500㎝, 윗지름 260㎝이다. 쌓음돌은 현무암 잡석이며 막돌허튼층쌓기 방법으로 쌓았다. 방사탑의 안은 잔돌로 잡석채움하였다. 표준으로 선정한 쌓음돌의 크기는 127×82㎝, 100×57㎝, 46×43㎝, 44×23㎝이다. 탑의 윗부분에는 높이 100㎝, 너비 60㎝ 정도의 길쭉하면서 끝이 구부러진 돌을 세워 놓았다. 방향은 서쪽을 향하고 있다. 방사탑 위에 세운 이 돌이 매의 부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매조재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방사탑 2호(민속자료 제8-9호)는 바닷가 암반 위에 원추형으로 세워졌다. 현무암 자연석으로 허튼층쌓기를 하였고, 잡석으로 안을 채웠다. 크기는 높이 340㎝, 윗지름 220㎝, 밑지름 490㎝이다. 표준으로 선정한 쌓음돌은 상단과 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쌓음돌의 상단 크기는 48×30㎝, 50×20㎝, 44×28㎝이다. 하단은 108×89㎝, 120×60㎝, 97×32㎝이다. 탑 위에는 높이 105㎝, 너비 80㎝ 정도로 길쭉한 모양의 돌이 세워져 있다. 새의 부리와 비슷한 형태이다. 서쪽에 있는 차귀도와 바다를 향하고 있다. 방사탑 1호와는 500m 정도 떨어져 있다.
형태방사탑은 2기로 조성되어 있다. 1호는 북쪽의 ‘새원탑’, 2호는 남쪽의 ‘화성물탑’이다.

방사탑 1호(민속자료 제8-8호)는 포구의 바닷가 암반 위에 잘 다듬어진 원추형으로 만들어졌다. 높이 370㎝, 밑지름 500㎝, 윗지름 260㎝이다. 쌓음돌은 현무암 잡석이며 막돌허튼층쌓기 방법으로 쌓았다. 방사탑의 안은 잔돌로 잡석채움하였다. 표준으로 선정한 쌓음돌의 크기는 127×82㎝, 100×57㎝, 46×43㎝, 44×23㎝이다. 탑의 윗부분에는 높이 100㎝, 너비 60㎝ 정도의 길쭉하면서 끝이 구부러진 돌을 세워 놓았다. 방향은 서쪽을 향하고 있다. 방사탑 위에 세운 이 돌이 매의 부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매조재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방사탑 2호(민속자료 제8-9호)는 바닷가 암반 위에 원추형으로 세워졌다. 현무암 자연석으로 허튼층쌓기를 하였고, 잡석으로 안을 채웠다. 크기는 높이 340㎝, 윗지름 220㎝, 밑지름 490㎝이다. 표준으로 선정한 쌓음돌은 상단과 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쌓음돌의 상단 크기는 48×30㎝, 50×20㎝, 44×28㎝이다. 하단은 108×89㎝, 120×60㎝, 97×32㎝이다. 탑 위에는 높이 105㎝, 너비 80㎝ 정도로 길쭉한 모양의 돌이 세워져 있다. 새의 부리와 비슷한 형태이다. 서쪽에 있는 차귀도와 바다를 향하고 있다. 방사탑 1호와는 500m 정도 떨어져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진도 씻김굿의 무무에 관한 연구이명실1983
도서출판 금광한국무용사송수남1988
집문당한국의 전통춤정병호1999
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살풀이춤과 무속 연관성 연구이유나2004
공연문화연구전북지역 무당굿의 전반적 성격과 공연학적 특성이영금2005
도서출판 노리한국 무용민속학 개론이병옥2005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공연예술적 측면에서 본 진도 씻김굿 연구금나연2005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