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떡

한국무속신앙사전
당을 매고 당에 올리는 떡을 총칭하는 말.
definition
당을 매고 당에 올리는 떡을 총칭하는 말.
mp3Cnt
0
wkorname
시지은
정의당을 매고 당에 올리는 떡을 총칭하는 말.
내용당에 올리는 당떡에는 편을 세 켜 올려놓고 여기에 웃기를 올려놓는 달떡ㆍ[장구떡](/topic/장구떡)ㆍ[[벙거지](/topic/벙거지)떡](/topic/벙거지떡) 등이 있는데 이런 떡을 총괄해서 당떡이라고 한다. 전통적인 방식의 굿은 굿을 청한 [재가집](/topic/재가집)에서 했으므로 신이 거처할 수 있도록 집에 사위삼당을 매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사위삼당을 매고 여기에 정성을 들이는 일을 하였다. 서울 [만신](/topic/만신)의 [진적굿](/topic/진적굿) [사설](/topic/사설)에서 다음과 같은 대목이 발견된다. ‘오를 반도 열두 반 내릴 반도 아홉 반에 나비 앉은 꽃반에 새 앉은 잎반이요 안상에는 내리 받고 궁상에 높이 받고 공상에 재천하고’라는 사설에서 사위삼당을 매고 굿상을 각각 차린 전통을 확인할 수 있으나 현재는 집에 당을 매는 전통이 사라져서 이러한 사실이 잘 조사되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당을 맨 곳에는 일단 [한지](/topic/한지)를 깔아서 놓고 앞에서 말한 대로 떡을 놓는다. 이 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 편은 세 켜를 올린다. 편을 올리는 이유는 만신의 굿에서 집안과 만신이 평안하라고 하면서 올리는 것이다. 달떡은 일월성신을 상징하는 것으로 둥그런 떡을 올리게 된다. 장구떡은 만신이 항상 굿하는 일이 있어 장구채를 놓을 새도 없이 장구를 두드리라는 뜻으로 올리는 떡이고, 벙거지떡은 안올림벙거지를 상징하는 것으로서 대감이 조종이기 때문에 올리는 떡이다. 이렇게 당에 떡을 놓으면 당은 그 신의 차지가 되기 때문에 당떡에는 높은 신들을 좌정하게 하고 그 신들에게 일정한 음식을 공궤하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지역사례서울굿에서처럼 당에 당떡을 올리는 사례를 전국적으로 모두 확인할 수 없지만 황해도굿과 제주도굿에서 유사한 형태를 찾을 수 있다. 황해도굿의 다음과 같은 [사설](/topic/사설)에서 우선 신을 모시는 당을 확인할 수 있다.

오를 반두 열두 반 내릴 반두 열두 반 스물네 반 거둥 속에/
내려 깔아 화몽석 치깔아서 용몽석 돋아 깔아 별몽석에/
안당 밧당은 내외 삼당을 둘러매고 서리당 둘러매고/
안당 밧당을 꾸며 놓고 사위 삼당을 배설해서 구비당을 꺾어놓고/
백마지 [너울](/topic/너울) 속에 홍마지 그늘 속에/
열두 줄에 [거문고](/topic/거문고)요 만근다리 태징소리 천근다리 [제금](/topic/제금)소리

황해도굿에서 당을 매고 올리는 떡은 입쌀반대기, [수수](/topic/수수)쌀반대기, 차좁쌀반대기 등의 감흥반대기로 준비한다. 반대기떡은 일종의 호떡과 비슷한 크기로 앞뒤가 동일한데 이를 당떡으로 사용한다. 서울의 당떡과 매우 다르고 전통에 차이가 있지만 안당과 밧당을 매고 신찬으로 떡을 올리는 관념은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제주도굿에서는 당을 매는 것을 달리 일러 ‘[당클](/topic/당클)을 맨다’고 한다. 당클의 숫자에 따라 당클, 삼당클 등으로 지칭한다. 제주도에서 당클을 매는 것은 육지에서 당을 매는 것과 같은 관념이다. 당클에는 주잔삼잔과 떡 등을 올린다. 이때 올리는 떡이 바로 돌래떡이다. 돌래떡은 바로 황해도의 반대기떡과 아주 유사하게 생겨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서 의미가 상통하는 관념의 물질적 소산이다.

황해도와 제주도 굿에 비해 서울굿에서 사용하는 당떡이 조금 유다르게 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발상은 모두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집안의 평안을 위해 굿을 할 때 당을 매는 것으로 신을 초청하고, 그 신을 위해 놓는 떡이 당떡이라는 것이 핵심이다. 당떡이 달떡•해달반대기•돌래떡 등의 형태를 띠는 이유는 천상의 질서를 지상에 실현하고, 일월성신의 질서를 굿판에 구현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굿을 할 때 당떡을 올리는 전통은 전국적으로 모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떡의 실상만을 본다면 이 점이 명확하지 않으나 굿을 할 때 신을 모시는 당을 내당과 외당으로 매는 전통은 전국의 모든 굿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자료[사전](/topic/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김금화](/topic/김금화)의 무가집 (김금화, 문음사, 1995)
무·굿과 음식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