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 성황사 및 산신당

한국무속신앙사전
대관령 성황사는 강릉단오제의 주신인 대관령의 국사성황을 모시는 당. 산신당은 강릉단오제의 중요한 신격 가운데 하나인 대관령의 산신을 모시는 당이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14-255[번지](/topic/번지)에 있다. 이 건물은 1984년 6월 2일에 ‘강원도 기념물 제54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대관령 성황사는 강릉단오제의 주신인 대관령의 국사성황을 모시는 당. 산신당은 강릉단오제의 중요한 신격 가운데 하나인 대관령의 산신을 모시는 당이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14-255[번지](/topic/번지)에 있다. 이 건물은 1984년 6월 2일에 ‘강원도 기념물 제54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황루시
정의대관령 성황사는 강릉단오제의 주신인 대관령의 국사성황을 모시는 당. 산신당은 강릉단오제의 중요한 신격 가운데 하나인 대관령의 산신을 모시는 당이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14-255[번지](/topic/번지)에 있다. 이 건물은 1984년 6월 2일에 ‘강원도 기념물 제54호’로 지정되었다.
상호참조강릉단오제
참고문헌강릉의 [서낭당](/topic/서낭당) (강릉문화원, 1999)
강릉단오제 백서 (강릉문화원, 1999)
Seonghwangsa is the shrine for worshipping the village deity Seonghwang, serving as the venue for village rites and shamanic rituals.

Seonghwangsa was a state shrine that was built on major mountains around the country, starting in late Goryeo (918-1392). In Joseon (1392-1910), provincial officials continued to officiate rituals at these shrines, but eventually villagers took over the rituals. One of the few seonghwangsa from history that still remain include one at Daegwallyeong, a mountain pass in Gangwon Province, and one on the Twelve-Pass Mountain Route in Ulj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Shrine for Seonghwang at Daegwallyeong is a wooden structure with a tiled roof, its Chinesecharacter signboard reading “城隍祠 (Seonghwangsa).” Inside is a tablet that reads “大關嶺國師城隍之神 (State Preceptor God of Daegwallyeong)” and a painting of the deity, depicted as a general on horseback, carrying a bow in his hand and a quiver on his back. A servant is holding the reins of the horse, and a pair of tigers guard the god at the side, their front legs stretched forward. The shrine is believed to be divine, with shamans from around the country still visiting everyday to hold rituals and to offer prayers.

The Shrine for Seonghwang at Uljin Twelve-Pass Mountain Rout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untain pass Joryeong (Saejae), is a wooden structure with a gabled roof, measuring 1 kan (6.6 m²) in area. This shrine served as a place of worship for peddlers traveling on this mountain route and also for enshrining the spirits of deceased peddlers. Inside the shrine stands a wooden tablet with the Chinese characters “鳥嶺城隍神位 (Tablet for Seonghwang Deity of Joryeong)” written in ink.

Worship services at seonghwangsa were held in spring and fall, officiated by a village elderly, the costs covered by harvest from communal rice paddies maintained for village rituals (widap). Sacrificial foods comprised wine, steamed rice, white rice cake, beef, and fruits, and the service was followed by the village ritual byeolsingut.
Seonghwanga es el santuario para venerar a la deidad aldeana Seonghwang, sirviendo como un sitio donde tienen lugar los ritos comunitarios y rituales chamánicos.

El seonghwangsa era un santuario estatal que fue construido en las principales montañas del país a finales del reino Goryeo (918-1392). En la dinastía Joseon (1392-1910), los funcionarios provinciales oficiaban los rituales en dichos santuarios, pero con el tiempo los aldeanos iban tomando las riendas de los rituales. Uno de los pocos seonghwangsa que se observan en la actualidad es el santuario en Daegwallyeong, un paso de montaña que se encuentra en la provincia de Gangwon-do y otro está en la Ruta Montañosa de Doce Pasos en Uljin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nam-do.

El santuario de Seonghwang en Daegwallyeong es una estructura de madera con techo de tejas y un letrero escrito en caracteres chinos “城隍祠” que se pronuncian como “seonghwangsa”. En su interior, hay una tablilla que tiene una inscripción en caracteres chinos “大關嶺國師城 隍之神” que dice “dios protector estatal de Daegwallyeong” y una pintura de la deidad que se presenta como un general montado sobre su caballo con un arco en la mano y un carcaj en la espalda. A su lado, un sirviente sostiene las riendas del caballo, y un par de tigres con las patas delanteras estiradas hacia adelante protegen al dios. Dicho santuario se considera divino, por lo que los chamanes provenientes de todas las partes del país siguen visitando el seonghwangsa aun hoy en día casi a diario para realizar los rituales y elevar sus plegarias.

El santuario de Seonghwang en la Ruta Montañosa de Doce Pasos en Uljin, situado al pie del paso de montaña de Joryeong es una estructura de madera con tejado de pizarra con la superficie de 1 kan (1kan=6, 6 m2). Este santuario servía como un espacio para que los vendedores ambulantes que viajaban por esta ruta pudieran rendir culto a Seonghwang o realizar el ritual para adorar a los espíritus de los vendedores fallecidos. En el interior del santuario, hay una tablilla que tiene escritos caracteres chinos “鳥嶺城 隍神位” que significa “tablilla de la deidad Seonghwang de Joryeong”.

Los rituales de adoración en el seonghwangsa tenían lugar en la primavera y en el otoño, oficiados por uno de los mayores en la comunidad, y los gastos relacionados fueron cubiertos por el arroz cultivado en los arrozales comunitarios llamados widap. La comida sacrificial que se ofrecía sobre la mesa ritual era el vino, arroz cocido al vapor, pastel de arroz blanco, carne vacuna y frutas. Asimismo, dicho ritual era seguido del ritual comunitario que se conocía como byeolsingut.
供奉城隍神的祭堂,举行村庄祭礼与巫俗祭礼的场所。

“城隍祠”曾是高丽时代以来建于名山中的国家仪礼建筑。在朝鲜时代,祭礼由地方官吏掌管,但此后逐渐变为由以村民们为中心举行。迄今为止留存的城隍祠中,具代表性的有供奉大关岭国师城隍的大关岭城隍祠,以及供奉鸟岭城隍神的蔚珍十二岭鸟岭城隍祠。

大关岭城隍祠为木质建筑,铺有瓦砾,所挂匾额上写有“城隍祠”。城隍祠正面供奉着写有“大关岭国师城隍之神”的牌位及神图(巫神图)。神图中的国师城隍是位身骑白马,背着箭筒手中持弓的将军。侍从抓着缰绳站立着,白马左右各有一只老虎,老虎前爪伸出,露出挑衅的神情。传闻此城隍祠十分灵验,如今每天都有全国各地的巫师来此做法或祈祷,可见在民间信仰活动的场所中占据了重要的位置。

蔚真十二岭鸟岭城隍祠鸟岭之下即为铺有瓦砾的人字形屋顶,在正面与侧面各有一间房。此城隍祠不仅是褓负商和商人们的信仰场所,也是逝去的褓负商和商人们的斋舍。祭堂内正面有写着“鸟岭城隍神位”的木质牌位。

祭祀在一年中的春季和秋季举行。一般祭官选择年长者,祭祀费用则由祭田位畓负担。祭品有酒,祭饭,米糕,牛肉以及水果,举行告祀后会举行别神巫祭。
내용성황사 정면에 대관령국사성황지신(大關嶺國師城隍之神)이라고 쓴 [위패](/topic/위패)와 화분을 모셔 놓았다. 화분 속의 국사성황은 화살통을 메고 활을 든 [장군](/topic/장군)이며, 백마를 타고 있다. 시종이 말고삐를 잡고 서 있고, 양옆에는 앞발을 내민 호랑이가 시위하고 있다.

산신당에는 강인간지오복(降人間之五福), 응천상지삼광(應天上之三光)의 글귀가 양 [기둥](/topic/기둥)에 쓰여 있다. 정면의 단 위에 대관령산신지위(大關嶺山神之位)라고 쓴 위패와 화분을 모셔 놓았다. 화분은 연꽃을 든 노인이 호랑이를 거느리고 있는 모습이다. 배경으로 산과 나무를 그리고 오른쪽 뒤에는 동자가 서 있다.

대관령 국사성황은 강릉단오제의 주신으로 신라 말에 실존한 범일(梵日, 810~889)국사를 믿고 있다. [범일국사](/topic/범일국사)가 국사성황으로 좌정한 경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해마다 음력 4월 15일 [제관](/topic/제관)과 무당패, 강릉시민이 함께 대관령 국사성황을 모시러 올라간다. 성황사에서 유교식 제례와 무당굿으로 국사성황을 대접한 뒤 위패를 모시고 강릉 시내로 돌아온다. 대관령 국사성황의 위패는 단오제가 끝나는 날까지 신체로서 기능을 한다. 위패는 음력 5월 7일 ‘송신제’를 한 뒤에 소각한다.

대관령 산신당은 김유신(金庾信, 595~673) 장군을 모시고 있다. 대관령 산신이 김유신 장군이라는 전승은 1603년 허균(許筠, 1569~1618)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허균은 『대령산신찬 병서』에서 “명주 사람들이 5월 길일을 택해 대관령 산신인 김유신 장군을 모신다”고 하였다. 김유신이 젊었을 때 명주에서 공부하면서 산신으로부터 검술을 배웠고 명주 남쪽 선지사에서 칼을 주조하여 삼국을 통일하였다는 것이다. 죽은 뒤 대관령의 산신이 되었고, 신령스런 기이한 일이 일어나 고을 사람들이 해마다 5월 초하루에 괫대와 꽃을 갖추어 맞이하여 명주 부사에 모신다고 한다. 이 전통은 지금도 해마다 음력 4월 보름에 제관과 강릉시민들이 대관령에 올라가 산신당에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전승되고 있다.

대관령 성황사 위에는 산신당이 있고, 그 위에 용왕당과 칠성당이 있다. 대관령 국사성황은 영험하다고 소문이 나서 현재도 거의 매일 전국의 무당들이 성황사를 찾아와 굿을 하거나 치성을 드리고 있는 살아 있는 신앙처이다. 또한 대관령 산신이 영험하다는 믿음도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산신당을 찾아와 기도하는 사람들이 많다.
형태성황사는 ‘城隍祠’라는 [현판](/topic/현판)이 걸린 17㎡ 정도의 3칸 목조건물로, [기와](/topic/기와)를 얹었다. [산신당](/topic/산신당)은 목조 한 칸짜리 [기와집](/topic/기와집)으로, 건물 중앙에는 ‘山神堂’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