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두리

한국무속신앙사전
몽두리
궁중 여령들이 정재에 참여할 때 입는 복식으로 대금형의 깃 모양이며 주로 황색으로 만들어진 표의(表衣).
definition
궁중 여령들이 정재에 참여할 때 입는 복식으로 대금형의 깃 모양이며 주로 황색으로 만들어진 표의(表衣).
mp3Cnt
0
wkorname
소황옥
정의궁중 여령들이 정재에 참여할 때 입는 복식으로 대금형의 깃 모양이며 주로 황색으로 만들어진 표의(表衣).
내용[무복](/topic/무복)(巫服)에서 사용된 예복류의 형태와 명칭은 궁중예복에서 비롯되었으며, 평복은 굿을 하는 지역의 특색을 나타내는 남녀 복식을 기본으로 하여 굿의 종류에 따라 신의 상징성이 내포되어 있다. 여기에 공연예술로서의 기능성과 장식성을 부가하기 때문에 무복은 궁중예복과 궁중 여령(女伶)의 정재복(呈才服)이 기본 복식 구조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 착용한 여성 표의류(表衣類), 즉 포제(袍制)의 기록에는 노의(露衣)•[장삼](/topic/장삼)(長衫)•몽두의(蒙頭衣) 등이 있으나 실제로는 [장옷](/topic/장옷)과 [원삼](/topic/원삼)이 대표적이며, 대한제국 말에는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가 남녀의 대표적인 포제로 일반화되었다.

조선시대 여자의 예복은 궁중을 중심으로 [적의](/topic/적의)•노의•장삼•원삼•[활옷](/topic/활옷)•[당의](/topic/당의) 등으로 외명부에게 적용되고, 다시 사대부가와 [민가](/topic/민가)에 전해진다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장삼은 5품 이하의 부인 예복으로 대홍색의 [대수](/topic/대수)(大袖)로 되어 있고, [흉배](/topic/흉배)와 [한삼](/topic/한삼)이 있으며 대홍라(大紅羅)의 대를 둘렀다. 원삼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예복으로 꾸준히 착용해 국속화됐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는 노의(露衣)•장삼 등의 대수(大袖)•대의(大衣)에 속하는 것들이 이 원삼 한 [가지](/topic/가지)로 집약되었다. 원삼은 뒤가 길고 앞이 짧고 소매가 넓으며, 끝에는 홍색과 황색의 끝동이 있고 수구에는 백한삼(白汗衫)이 달렸으며 다홍색 대대(大帶)를 둘렀다.

궁중 여령들이 정재에 참여할 때 입는 [몽두리](/topic/몽두리) 또는 몽두의는 대금형의 깃 모양이며 주로 황색으로 만든 표의(表衣)로 알려져 있으나 19세기 초부터 기록이나 회화 자료 등에서 대금(對襟)형이 아닌 교임(交衽)형의 몽두리가 등장하고 있다.

무복으로는 굿의 종류와 굿거리에 따라 또는 무당들에 의하여 색이나 형태가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의 몽두리가 은아 몽두리, 남색 몽두리, 노란 몽두리, 황색 몽두리 등의 명칭으로 강신무나 세습무의 무당들에게 착용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몽두리는 蒙頭衣(몽두의), 蒙頭里(몽두리), 夢道里(몽도리) 또는 한글 표기 ‘몽도리’ 등으로 조선시대 초기 여성 포제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밖에 ‘黃綃衫(황초삼)’, ‘羅衫(나삼)’, ‘夾袖(협수)’ 등 명칭으로도 기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에는 주로 궁중 기행나인(騎行內人)과 여령이 착용한 것으로 의궤류와 기록화를 통하여 찾아볼 수 있지만 몽두리라는 명칭의 유물로는 대한제국 말에 무녀용으로 사용된 것만이 남아 있다.

몽두의의 기록이 조선시대에 있었음에도 아직까지 여성 포의 유물로는 발견되지 않았다. 대한제국 말에 무당이 사용한 무복으로 몽두의라는 명칭으로 남아 있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조선시대 초기에서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기록되어진 몽두리의 용도와 형태 변화에 대하여는 명확히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앞으로 한국복식사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연구해야 할 조선시대 여성 표의류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蒙頭衣’의 기록은 15세기 초 태종 12년(1412)의 기록인(태종실록 권23, 태종12년 6월 丁卯)부녀의 의관제도에 대한 사헌부의 상소에서 처음 나타난다. 신분에 따라 4품 이상의 정처에게는 노의, 5품 이하 정처에게는 장삼, 서인의 부녀나 상기(上妓)•천녀(賤女)에게는 세저포몽두의(細苧布蒙頭衣)를 각각 착용하도록 하자는 것이었다. 이처럼 몽두의는 궁궐 내외 하층계급의 부녀자 복식이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기록에 나타나는 몽두리의 용도는 궁중 기행나인의 상복용(上服用) 몽두의, 궁중 여관의 상복용(喪服用) 몽두의, 중첩(衆妾)의 상복용(上服用) 몽두의, 궁중 여령의 정재복용 몽두의로 나뉜다. 몽두리는 일반적으로 낮은 신분의 궁녀와 서민녀들이 착용하였다. 색상은 기행나인의 몽두리에 보이는 홍색과 황색의 몽두리와 국상 중에, 궁중의 여관들이 상복으로 착용한 소색의 몽두리가 있다.

18세기 초의 이형상(1653-1733)이 지은 『병와집(甁窩集)』에서 몽두의는 황색이고, 소매가 짧고 깃이 곧으며, 섶이 없다고 전하면서 실녀(室女)의 [배자](/topic/배자)(背子)는 혼녀(昏女)가 착용하는 홍장삼과 유사하고 중첩의 배자는 관기가 착용하는 ‘몽두’와 같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헌종 효현왕후(1837)와 헌종 효정왕후(1844)의 국혼을 위한 『[가례도감의궤](/topic/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에는 기행나인의 [의복](/topic/의복)으로 홍저포 장삼과 황저포 장삼이 보이며, 정미년(1847) 국혼과 한 규모와 절차를 따른 것으로 보이는 헌종과 경빈 김씨의 혼례 절차를 기록한 『순화[궁가](/topic/궁가)례시절차(順和宮嘉禮時節次)』에는 가례에 참여하는 기행나인 4인의 복식으로 ‘홍몽도리’ 1쌍과 ‘황몽도리’ 1쌍이 표기되어 있다. 이것은 조선 초기에 장삼과 몽두의가 신분에 따라 구분된 각기 다른 옷으로 착용되었지만(이 당시 장삼은 사라단자(紗羅緞子) 등의 재질에 대한 제한이 없었음에 비하여 몽두리는 저포(紵袍)로써 제한하고 있으므로 장삼과 몽두리는 형태보다 재질의 차이에 신분적 차등을 두어 착용하였다고 볼 수도 있다) 이후 장삼과 국혼 때 기행나인들이 착용한 저포장삼은 몽두리와 거의 비슷하거나 동일한 형태의 예복으로서 같은 옷에 대한 이명(異名)으로 볼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 정조 19, 1795)』 여령복식도에서 몽두리라고 생각되는 황초삼(黃綃衫)을 양옆에 무가 달린 짧은 소매 형태의 표의로 앞자락 사이로 뒤 중심선에 있는 뒤트임을 확인 할 수 있으며, 홍초상(紅綃裳)과 함께 착용돠었다. 그 이후 순조 9년(1809)에 제작된 『기사진표리진찬의궤(己巳進表裏進饌儀軌)』와 순조 27년(1827) 『자경전진작정례의궤(慈慶殿進爵整禮儀軌)』의 여령복식는 동일한 형태의 황초삼(黃綃衫)에 홍초상과 황초상의 [치마](/topic/치마)를 함께 착용되는 것으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헌종 14년(1848)에 제작된 『무신진찬의궤(戊申進饌儀軌)』의 여령복식을 보면 [화관](/topic/화관)(花冠), 수대(繡帶), 오색한삼(五色汗衫) 등 복식 구성은 동일하다. 그러나 황초삼 고름이 달린 합임의 넓고 긴소매이며, 옆에 무가 없는 대신 앞•뒤•옆이 터져 있으며 치마는 홍초상만 함께 착용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몽두리 형태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화되었음을 의미하며, 몽두리와 함께 착용하는 치마도 경우에 따라 홍색의 이거나 홍색과 황색이었음을 알 수 있다.

유물로는 창덕궁 소장 몽두리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의 몽두리가 있다. 창덕궁의 몽두리는 19세기 의궤류에 나타나는 황초삼의 형태와 비슷하지만 앞길 좌우 중심에 동일한 형태의 섶이 달려 있고 어깨의 색동 장식 대신 잣 장식이 되어 있으며 깃과 어깨에 잔잔하게 잣물림이 둘려져 있다.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의 몽두리 4점 중 2점은 대금형의 맞깃이며, 나머지는 교임형이다. 대금형은 양옆과 뒤에 트임이 있어 홍색으로 단을 대어 장식하고 있음에 비하며 교임형 모두 좌임이며 두루마기 형태와 양옆에 약간의 트임을 주었다. 한편 섶이 달린 교임형 몽두리 유물과 관련하여 『무신진찬의궤(戊申進饌儀軌』의 여령 검기무 복식에서는 [전복](/topic/전복)을 괘자로 기록하였고 몽두리도 역시 금향협수로 기록하고 있다. 19세기의『광재물보(廣才物譜)』에 몽두의를 속칭 ‘장옷’이라 하는 것을 들어 협수로서의 몽두리와 쓰개용의 대금 또는 교임형의 장옷을 모두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기도 하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사한 큰무당 우옥주 유품에 기록된 조상거리 무복으로서의 황색 몽두리는 어깨 등에 아무런 장식이 없이 그저 평범한 황색의 좌임형 두루마기이다. 또한 여러 종류의 굿에서 몽두리라고 입혀지고, 무복 몽두리도 무당이나 지역 또는 조사보고서에 따라 색이나 형태에서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무복에서 칭하던 몽두리의 일반적인 형태는 두루마기형의 합임 또는 좌임이며, 앞•뒤•옆의 트임이 있거나 없는 경우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소매도 광수 또는 협수의 다양한 형태로 길이가 다르다. 한삼의 유무와 어깨 장식(오색의 장식 또는 잣 장식)의 유무 등 다양한 포를 몽두리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굿거리에 따라 몽두리의 색상을 달리하고 있고, 어깨의 오색장식이 잣장식으로 변하면서 은하수를 상징한다고 하여 은하몽두리라 한다는 기록 등도 있다. 무당들 사이에서 몽두리의 명칭으로 전해 내려오면서 부르고 있는 현 시대의 몽두리 형태는 조선시대 기록에 나타나 있다. 몽두리는 의궤 여령 복식도의 합임 반소매 형태인 황초삼에 원형을 두고 있지만 굿의 특성과 지역, 특히 무당들이 모시는 신들의 상징성이 부가되어 시대적인 변형을 가져왔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세습무와 강신무 차이, 특정 지역의 지리환경적 요인, 굿에서 발현되는 주술성과 예술성의 강약, 무당과 무복 제작자 등의 견해 차이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0세기에 이르러 우옥주 무당의 유품에서와 같이 아무런 장식이나 특징이 없는 황색의 평범한 두루마기를 몽두리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활옷이나 원삼 등 대례복 형식의 표의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겉옷을 몽두리라고 부르면서 복식의 형태나 색채 등에서 서로 다른 소재나 이미지를 융합시키는 크로스오버(cross over) 과정을 거듭하며 무당들 사이에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팔도굿 (황루시, 대원사, 1992)
큰무당 우옥주 유품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사진으로 보는 민속의 어제와 오늘 1 (국립민속박물관, 2003)
민속과 종교 (소황옥, 민속원, 2003)
한국복식의 역사 (백영자·최해율, 경춘사, 2004)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조선후기연향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속원, 2005)
조선시대 몽두의에 관한 연구 (박성실, 한국복식학회 55, 2005)
한국의 무신도 (홍태한·박우택, 민속원, 2008)
우옥주의 몽두리
64853
우옥주의 몽두리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