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생전에 요절․객사․횡사 등으로 원한(怨恨)이 남아 저승에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한 영혼으로 인간을 괴롭히는 악령(惡靈)을 일컫는 말. |
---|---|
mp3Cnt | 0 |
wkorname | 이건욱 |
정의 | 생전에 요절․객사․횡사 등으로 원한(怨恨)이 남아 저승에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한 영혼으로 인간을 괴롭히는 악령(惡靈)을 일컫는 말. | 정의 | 생전에 요절․객사․횡사 등으로 원한(怨恨)이 남아 저승에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한 영혼으로 인간을 괴롭히는 악령(惡靈)을 일컫는 말. | 내용 | 원귀는 왕신(王神), [몽달귀신](/topic/몽달귀신), 삼태귀신, 객귀(客鬼), 영산, 수비, 수부 등으로 불린다. 흔히 영혼은 사령(死靈)과 생령(生靈)으로 나눌 수 있다. 사령은 사람이 죽은 후 저승으로 가는 영혼이고, 생령은 살아 있는 사람의 몸속에 깃들어 있는 영혼이다. 사령은 다시 조상령과 원혼으로 나눌 수 있다. 조상령은 순조롭게 살다가 저승으로 들어간 영혼으로 선령(善靈)이 되고 원혼은 생전에 원한이 남아 저승으로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한 영혼으로 사람을 괴롭히게 된다. | 내용 | 원귀는 왕신(王神), [몽달귀신](/topic/몽달귀신), 삼태귀신, 객귀(客鬼), 영산, 수비, 수부 등으로 불린다. 흔히 영혼은 사령(死靈)과 생령(生靈)으로 나눌 수 있다. 사령은 사람이 죽은 후 저승으로 가는 영혼이고, 생령은 살아 있는 사람의 몸속에 깃들어 있는 영혼이다. 사령은 다시 조상령과 원혼으로 나눌 수 있다. 조상령은 순조롭게 살다가 저승으로 들어간 영혼으로 선령(善靈)이 되고 원혼은 생전에 원한이 남아 저승으로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한 영혼으로 사람을 괴롭히게 된다. | 지역사례 | 원귀를 달래는 [마을](/topic/마을) 신앙도 각 지역에서 관찰되고 있다. 은산별신제는 원귀와 관련이 있어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옛날 은산지방에 유행병이 돌아 많은 사람이 죽었는데, 특히 젊은 사람들이 날마다 죽어서 송장이 되어 나갔다. 마을 사람들의 근심은 이만저만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던 어느 봄날 마을의 한 노인이 잠시 낮잠이 들었는데, 꿈속에서 [마루](/topic/마루)에 앉아 있으려니 한 신선이 백마를 타고 나타나서 하는 말이 “이 마을에 병마가 들어 근심인 것을 풀어 줄 터이니 나의 청을 들어주겠느냐?”라고 말하였다. 마을 노인은 “병만 없어진다면 무슨 청이건 듣겠노라.”하고 대답하였다. 그랬더니 신선이 “나는 내 부하와 함께 억울하게 죽었으나 아무도 돌보는 사람이 없어 풍우(風雨)에 시달리고 있으니 잘 [매장](/topic/매장)해 달라”고 말하면서 그 장소를 가르쳐주고 사라졌다. 노인은 깜짝 놀라 깨어 보니 꿈이었다. 노인은 바로 마을 사람들을 모아 놓고 꿈 이야기를 하였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거느리고 가르쳐 준 장소를 찾아가 보니 과연 수많은 전사의 백골이 산재해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백골을 잘 매장하고 그 원귀를 위령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냈다. 그랬더니 병마는 없어지고 마을 사람들은 다시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었다.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동암리 원동암 [사도세자](/topic/사도세자) 당제도 원귀와 관련이 있다. 사도세자의 아버지 영조가 죽고 세자의 아들 정조가 왕위에 오르던 1776년 이 마을 사람들 꿈에 사도세자가 나타났다. 마을 앞에 배 한 척이 닿더니 귀공자가 내려 마을 뒷동산에 올라, 마을 사람들을 불러 이르기를 “나는 사도세자이다. 원한이 뼈에 사무쳐 나라를 두루 돌다가 이곳에 이르렀는데 이곳 풍광이 좋아 내 혼이 머물 것이니 그리 알라”라는 것이었다. 이튿날 사람들은 이 꿈 이야기를 했는데 저마다 같은 꿈을 꾸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후 같은 꿈이 계속되기에 마을 사람들은 회의를 열고 초혼장을 지낸 뒤 단을 모시고 제를 지내기 시작하였다. 이 제사는 음력 정월 상순 정일에 지낸다. 이 밖에도 배가 고파 물만 마시다 죽은 소금장수, 전쟁터에서 죽은 김충로 [장군](/topic/장군), 거사를 일으키려다 죽은 왕망, 선비를 사랑하다 죽은 청상과부 송여인 등 한이 맺혀 죽은 원혼을 달래는 제사가 전국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 참고문헌 |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巫와 민족문화 (조흥윤, 민족문화사, 1990) 공동체신앙과 당신화연구 (표인주, 집문당, 1996)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07) | 지역사례 | 원귀를 달래는 [마을](/topic/마을) 신앙도 각 지역에서 관찰되고 있다. 은산별신제는 원귀와 관련이 있어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옛날 은산지방에 유행병이 돌아 많은 사람이 죽었는데, 특히 젊은 사람들이 날마다 죽어서 송장이 되어 나갔다. 마을 사람들의 근심은 이만저만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던 어느 봄날 마을의 한 노인이 잠시 낮잠이 들었는데, 꿈속에서 [마루](/topic/마루)에 앉아 있으려니 한 신선이 백마를 타고 나타나서 하는 말이 “이 마을에 병마가 들어 근심인 것을 풀어 줄 터이니 나의 청을 들어주겠느냐?”라고 말하였다. 마을 노인은 “병만 없어진다면 무슨 청이건 듣겠노라.”하고 대답하였다. 그랬더니 신선이 “나는 내 부하와 함께 억울하게 죽었으나 아무도 돌보는 사람이 없어 풍우(風雨)에 시달리고 있으니 잘 [매장](/topic/매장)해 달라”고 말하면서 그 장소를 가르쳐주고 사라졌다. 노인은 깜짝 놀라 깨어 보니 꿈이었다. 노인은 바로 마을 사람들을 모아 놓고 꿈 이야기를 하였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거느리고 가르쳐 준 장소를 찾아가 보니 과연 수많은 전사의 백골이 산재해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백골을 잘 매장하고 그 원귀를 위령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냈다. 그랬더니 병마는 없어지고 마을 사람들은 다시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었다.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동암리 원동암 [사도세자](/topic/사도세자) 당제도 원귀와 관련이 있다. 사도세자의 아버지 영조가 죽고 세자의 아들 정조가 왕위에 오르던 1776년 이 마을 사람들 꿈에 사도세자가 나타났다. 마을 앞에 배 한 척이 닿더니 귀공자가 내려 마을 뒷동산에 올라, 마을 사람들을 불러 이르기를 “나는 사도세자이다. 원한이 뼈에 사무쳐 나라를 두루 돌다가 이곳에 이르렀는데 이곳 풍광이 좋아 내 혼이 머물 것이니 그리 알라”라는 것이었다. 이튿날 사람들은 이 꿈 이야기를 했는데 저마다 같은 꿈을 꾸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후 같은 꿈이 계속되기에 마을 사람들은 회의를 열고 초혼장을 지낸 뒤 단을 모시고 제를 지내기 시작하였다. 이 제사는 음력 정월 상순 정일에 지낸다. 이 밖에도 배가 고파 물만 마시다 죽은 소금장수, 전쟁터에서 죽은 김충로 [장군](/topic/장군), 거사를 일으키려다 죽은 왕망, 선비를 사랑하다 죽은 청상과부 송여인 등 한이 맺혀 죽은 원혼을 달래는 제사가 전국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 참고문헌 |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巫와 민족문화 (조흥윤, 민족문화사, 1990) 공동체신앙과 당신화연구 (표인주, 집문당, 1996)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07) |
---|
신구문화사 | 제주도무속자료사전 | 현용준 | 1980 | 집문당 | 제주도무속연구 | 현용준 | 1986 | 집문당 |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 현용준 | 2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