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개

한국무속신앙사전
일월신(日月神)의 양산을 상징화한 황해도 무구. 일월신이 하강할 때 해, 달, 비, 바람 등을 가려주는 [가리개](/topic/가리개)를 상징화한 무구로서, 황해도 무속 의례 중 만구대탁굿이나 [만수대탁굿](/topic/만수대탁굿) 등의 큰 굿의 굿청에 장식된다.
definition
일월신(日月神)의 양산을 상징화한 황해도 무구. 일월신이 하강할 때 해, 달, 비, 바람 등을 가려주는 [가리개](/topic/가리개)를 상징화한 무구로서, 황해도 무속 의례 중 만구대탁굿이나 [만수대탁굿](/topic/만수대탁굿) 등의 큰 굿의 굿청에 장식된다.
mp3Cnt
0
wkorname
최진아
정의일월신(日月神)의 양산을 상징화한 황해도 무구. 일월신이 하강할 때 해, 달, 비, 바람 등을 가려주는 [가리개](/topic/가리개)를 상징화한 무구로서, 황해도 무속 의례 중 만구대탁굿이나 [만수대탁굿](/topic/만수대탁굿) 등의 큰 굿의 굿청에 장식된다.
내용일월개(日月蓋)는 양산[日傘]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불교의 법구(法具)와 조선시대 의장용구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불교의 법구는 천개, 산개, 보개, 화개, 닫집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이것은 대웅전에 불상 위에 [지붕](/topic/지붕) 형태를 갖추는 등으로 변화하였는데, 그 의미는 개와 동일하다. 『고려도경(高麗圖經)』, 『[국조오례의](/topic/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세종실록(世宗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의하면, 왕실에서 의장구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도경』에는 곡개(曲蓋), 청개(靑蓋), 홍개(紅蓋), 화개(華蓋)의 형태와 용도에 대한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 무속에서의 개는 일산과 달리 손잡이가 없고 가로 폭이 넓지 않은 기다란 원통형 양산에 가까우며 손잡이는 생략된 채 무속에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일월개는 천신을 그 특성에 맞게 구체화한 자연물개(自然物蓋)에 해당된다. 개에는 황해도 무속의 신관이 반영되어 있는데, 무속의 신은 천신, 자연신, 인격신, 잡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천신에는 지고신인 제석, 불사, 칠성, 일월신 등이 있으며, 자연신에는 산신, 용왕신 등이 있다. 무속에서는 무신도를 비롯한 부채 등에 천신과 자연신 등이 모두 인격화된 신으로 묘사되며, 개도 마찬[가지](/topic/가지)로 그러한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다. 대체로 무신도나 부채 등에서 일월신은 남녀의 머리 위에 각각 해와 달이 그려진 것으로 묘사되지만 일월개만 유일하게 그 형태를 인격화하지 않고, 해와 달로 구체화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개는 양산의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일월신이 개 아래에서 비와 햇빛 등을 피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개 아래에 일월신이 좌정되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개는 만장발과 함께 굿청의 상단에 설치되고 해당신을 위한 제물상이나, 해당 신이 초대될 공간에 장식된다는 점에서, 굿청의 공간을 구획해주는 경계구(境界具)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개를 통해 제물상의 주신과, 어떠한 신이 특정한 공간에 초대될지 짐작이 가능하게 한다. 일월개는 실외에 주로 장식한다. 황해도굿에서는 일월신을 실외에서 맞이하여 실내로 들어오기 때문에 일월맞이의 주요 의례는 실외의 일월개 아래에서 진행된다. 일월개는 황해도굿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서, 황해도굿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무구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高麗圖經
國朝五禮儀
增補文獻備考
世宗實錄
큰무당 우옥주 유품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의 무속-서울·황해도편 (국립민속박물관, 1999)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황해도 굿에 쓰이는 종이 신화와 신구의 종류, 형식, 상징성 고찰 (양종승, 한국무속학 13, 한국무속학회, 2006)
형태개(蓋)는 제작자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기도 하지만, 대체로 통의 개수에 따라 두 [가지](/topic/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개는 나무를 깎아 한 아름 정도의 둥그런 틀을 만든 것이 기본 틀인데, 그 통의 개수에 따라, 일층개와 이층개로 구분된다. 일층개는 원형의 통 하나를 기본 틀로 사용하는 반면에, 이층개는 원형의 통 두 개를 위아래로 연결 해 그 기본 틀로 사용한다. 통의 둘레는 성인이 양팔을 벌렸을 때 한 아름 정도가 적정하다. 일층개에는 둥근 틀 주변으로 띠처럼 종이나 천을 두른 다음 그 위에 장식을 한다. 그리고 아래쪽에 [한지](/topic/한지)나 천을 늘어뜨려 붙인다. 이층개는 한 아름 정도의 둥그런 틀 두개를 위아래로 연결하고 이 원형통을 기본 틀로 하여, 통의 면이 보이지 않게 그 겉면에 한지나 천을 늘어뜨리거나 덧붙인다.

그림을 그려 넣는 경우는 그 위로 각각의 상징하는 신의 모습을 묘사하며, 그림 사이의 여백의 공간에는 장식물을 장식하기도 하는데, 주로 청색, 홍색, 황색, 백색, 녹색의 오색을 나란히 덧붙인 종이나 천을 장식한다. 일월개의 경우 해·달 문양-오색장식-해·달 문양-오색장식으로 반복되는 형식이다. 해는 붉은색의 원, 달은 노란색의 원으로 그려진다. 이층개의 경우 이와 같은 작업이 끝난 뒤에는 틀의 상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종이나 천을 잘라 술처럼 덧붙여 장식하고, 개의 가운데 부분에 천이나 종이띠를 두른다.

이렇게 완성된 개는 대체로 야외에 마련된 굿청 중앙에 설치된 만장발이나 천정에 매달거나 해당 신의 제물상 위에 매달아 설치하기도 한다. 황해도 무당들의 말을 빌리면, 이것을 ‘띄운다’라고 표현한다. 개는 원래 일회용으로 제작되었으나, 근래에는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제작방식을 학습한 제작자가 많지 않은 점이 원인이 되어, 종이 대신 천으로 만들어 재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또한 일부사례에서는 장기간 사용을 위해 천 위에 씌운 비닐을 벗기지 않고 그대로 의례에 사용하기도 한다.
동문선조선무속의 연구 하赤松智城ㆍ秋葉隆, 심우성 역1991
문음사김금화의 무가집김금화1995
국립문화재연구소서울새남굿1998
고려대한국학연구소동해안 오구굿의 종교적 성격-함께하는 삶, 함께하는 죽음이용범2006
창비조선무속고-역사로 본 한국 무속이능화, 서영대 역주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