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황해도 무형문화재 제1호 만구대탁굿 보[유자](/topic/유자). |
---|---|
mp3Cnt | 0 |
wkorname | 양종승 |
정의 | 황해도 무형문화재 제1호 만구대탁굿 보[유자](/topic/유자). | 내용 | 1931년 황해도 안악군 대행면 풍곡리에서 출생한 정학봉(丁鶴鳳. 여)은 결혼 전 고향에서 신이 내려 우옥주를 스승으로 삼고 만구대탁굿과 소놀이굿을 학습하였다. 그러다가 평안도로 시집을 가게 되면서 우옥주와 헤어졌다. 한국 전쟁 때 인천으로 피난을 나와 인천에서 다시 무업 활동을 하면서 평안도 출신 쑤오리, 황해도 사리원 출신 이구 등과도 함께 굿을 하면서 굿 문서를 익혔다. 그러다가 인천에서 신어머니 우옥주와 상봉하였고, 이 후 스승과 함께 만구대탁굿 및 소놀이굿 학습을 계속하면서 스승과 함께 공연활동을 전개하였다. 정학봉은 족보있는 전승계보에 의해 무업을 해온 황해도 출신의 몇 안 되는 큰 만신이다. 그녀의 신할아버지 김기백은 황해도 신천에서 출생하여 10세 부터 옹진과 해주를 거점으로 무업을 하였는데, 사망 전까지 황해도 만신과 [단골](/topic/단골)들 사이에서 신화적인 존재로 명성을 떨쳤던 큰무당이었다. 김기백과 같은 해 출생하여 큰 명성을 떨쳤던 최일리도 고향 황해도에서 김기백과 함께 만구대탁굿을 주관하였던 큰 무당이었다. 김기백과 최일리는 만구대탁굿의 굿 문서를 정학봉의 스승 우옥주에게 전승하였다. 우옥주는 황해도 옹진군 북면 화산동리 출생으로 10대에 무속에 입문하여 김기백과 최일리 만신의 제자가 되어 만구대탁굿을 전수 받은 후, 한국 전쟁 때 월남하여 서울, 인천, 이천 등지에서 만구대탁굿을 전승하였다. 당시, 우옥주가 만구대탁굿으로 이름 석자를 날리게 된 것은 황해도 연백 출신의 환쟁이 및 소놀이굿 연희자 배문일, 황해도 해주 출신 [악사](/topic/악사) 박동신, 황해도 연백출신 악사 지관용, 황해도 재령 출신 송순복, 황해도 해주 출신 상장구 정기호, 황해도 황주 출신 악사 및 소놀이굿 연희자 김경복 등의 명인들과 함께 활동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들은 황해도 무속의례에 대한 정통한 전승자들로써 우옥주와 함께 만구대탁굿을 전승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던 인물들이다. 이들은 또한 정학봉이 우옥주의 만구대탁굿 전승자로 낙점케 하는데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결국 우옥주는 사망 전 자신의 굿 문서를 현재의 전승자 정학봉에게 전승하였고, 2006년에 만구대탁굿이 황해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보[유자](/topic/유자)가 되었다. 정학봉은 스승 사망 후, 만구대탁굿의 유일한 전승자로써 상장구 정순녀, 상장구 유재득, 악사 김주식 등과 함께 활약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굿 문서를 제자 김혜순, 강옥희, 김화선, 이정자, 양명덕 등에게 전수하여 왔다. | 참고문헌 | 황해도 무속과 무당 우옥주 (양종승, 민학회보, 1994) 큰무당 우옥주 유품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의 무속-서울·황해도편 (국립민속박물관, 1999)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봄편 (국립민속박물관, 2005) |
---|
민속원 | 동해안의 굿음악, 그 전승과 단절의 역사 | 장휘주 | 2008 |
---|
정학봉 | 64517 정학봉 |
---|---|
정학봉 | 64516 정학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