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굿 무복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굿 무복
제주굿에서 입는 [무복](/topic/무복). 제주굿 중 강신무에서는 모시는 신과 연행하는 거리마다 [만신](/topic/만신)들이 그 신 자체가 되기 때문에 신의 성격, 위계에 따라 조선시대의 문관·무관·여관들의 복식을 입는다. 병을 고치는 추는굿에서는 심방의 역할이 복식을 통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한복](/topic/한복)을 입어도 평상복으로 착용한다. 그래서 [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만 입기도 하고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더 입기도 한다.
definition
제주굿에서 입는 [무복](/topic/무복). 제주굿 중 강신무에서는 모시는 신과 연행하는 거리마다 [만신](/topic/만신)들이 그 신 자체가 되기 때문에 신의 성격, 위계에 따라 조선시대의 문관·무관·여관들의 복식을 입는다. 병을 고치는 추는굿에서는 심방의 역할이 복식을 통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한복](/topic/한복)을 입어도 평상복으로 착용한다. 그래서 [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만 입기도 하고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더 입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김영재
정의제주굿에서 입는 [무복](/topic/무복). 제주굿 중 강신무에서는 모시는 신과 연행하는 거리마다 [만신](/topic/만신)들이 그 신 자체가 되기 때문에 신의 성격, 위계에 따라 조선시대의 문관·무관·여관들의 복식을 입는다. 병을 고치는 추는굿에서는 심방의 역할이 복식을 통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한복](/topic/한복)을 입어도 평상복으로 착용한다. 그래서 [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만 입기도 하고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더 입기도 한다.
내용제주 [무복](/topic/무복)은 중부 이북의 강신무에 따라 화려해졌다. 강신무의 경우, 굿의 성격이 모시는 신에 따라 다르고, 연행하는 거리마다 역할이 달라진다. 강신굿에서 만신들은 신과 거리마다 그 신이 되어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역할에 따라 다양한 복식을 착용하여 변화된 역할과 거리를 표시한다. 제주굿에서 착용하는 복식 명칭은 조선시대의 여복제도(與服制度)에 의거한다. 그러나 명칭만 조선시대의 것이고 실물은 반드시 그 복식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이는 복식의 명칭은 전해 들었지만 그 복식 자체가 본토에서 함께 입수된 것이 아니라, 여러 과정을 거쳐 입수되거나 입수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 복식 제도에서 사용되는 명칭이 존재할 수는 있지만 그 복식이 반드시 실물과 일치하지 않는다. 장식품이나 착용방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topic/가지)이다.

1. 관디차림: 관디[冠帶]는 [사모](/topic/사모)관대(紗帽冠帶)를 줄인 말로, 조선시대의 관복(冠服) 가운데 상복(常服)을 말한다. 상복은 [단령](/topic/단령)(團領)에 가슴과 등 부분에 [흉배](/topic/흉배)(胸背)를 부착하여 착용한 사람의 직급은 나타내었다. 문관(文官)의 경우 학(鶴), 무관(武官)의 경우 표범으로 각각 도안하였다. 당상관(堂上官)이냐 당하관(堂下官)이냐에 따라 [동물](/topic/동물)을 각각 두 마리, 한 마리로 구분하여 흉배를 만들었다. 여기에 품계를 구분할 수 있는 대(帶)를 허리에 하고, 머리에는 사모를 썼다. 관리들이 궁에 들어가 사무를 볼 때 입던 것을 인륜지대사인 혼례 때 모든 남성에게 착용할 수 있게 했다. 현재에도 혼인식을 마치고 폐백을 드릴 때 신랑이 입는다.

조선시대 일반인의 혼례 때 그 착용을 허용했던 유일한 복식인 상복을 제주굿에서 무복으로 착용하였다. 명칭인 ‘관디’라고 하면 이런 조합으로 된 복장을 말하지만 제주 굿의 무복으로서의 관디는 큰 차이가 있다. 즉 상복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단령이나 흉배가 없다. 흉배는 정교하게 자수로 문양을 수놓아 착용한 사람의 신분을 나타낸 것이지만 제주굿 무복은 이런 흉배 달린 상복이 아니다. 너른 소매의 [도포](/topic/도포)를 입고 가슴에 [세조대](/topic/세조대)(細條帶)를 묶어 늘어뜨리고 머리에 갓을 썼다. 사모와 갓은 모두 말총으로 만들어서 [의복](/topic/의복)이 도포와 같은 포(袍)라면 머리에는 사모를 쓰는 것은 격에 맞지 않고 갓을 쓰는 것이 당연하다. 또 갓에는 공작깃을 꽂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이는 무관 등이 위용을 나타내기 위해 장식한 것이다. 안에는 [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를 입었으며, 바지에는 [행전](/topic/행전)을 쳐서 움직임을 경첩하게 하였다. 이런 차림을 제주굿에서는 정장으로 여겨 큰굿의 책임을 맡은 수심방이 입으며, 초감제·[시왕맞이](/topic/시왕맞이) 등 주요 거리의 사제에 사용되었다.

2. 군복차림: 제주굿에서 군복차림이라는 명칭이 있지만 입는 내용을 보면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나 도포 혹은 [창의](/topic/창의) 등 포(袍) 종류를 입고 그 위에 [전복](/topic/전복)(戰服, [쾌자](/topic/쾌자))을 입는다. 군복(軍服)으로 입는 [동다리](/topic/동다리)와 전복이 아니라 포에 전복을 입은 것을 말한다. 머리에도 [전립](/topic/전립)(戰笠)을 쓰기보다는 흑립(黑笠 갓)을 쓴다. 세조대를 가슴에서 묶고 나머지는 늘어뜨린다. 바지 종아리 부분에는 행전을 쳐서 바지의 넓은 폭이 보행이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3. [장삼](/topic/장삼)차림: [한복](/topic/한복)의 [평상](/topic/평상)복인 저고리와 바지에 장삼을 입는 차림이다 주로 작은 굿에서 착용하며, 큰 굿에서는 청신의례의 신을 모시는 경우에 사용한다. 머리에 갓을 쓰기도 하지만 청신의례에서는 갓 대신 [고깔](/topic/고깔)을 쓰기도 한다.

4. 평상복차림: 평상복이라고 하면 평상시에 입는 차림새로, 바지와 저고리에 두루마기를 입고 굿을 한다. 한 두 시간 내의 간단한 비념 때 이런 차림으로 하며, 큰굿에서도 추물공연 때의 차림새이기도 하다. 본풀이를 구송할 때 평상복 차림으로 하기도 하지만, 이때는 [한지](/topic/한지)로 만든 고깔을 더하기도 한다.

5. 도포차림:도포차림은 관디차림과 유사하지만 제주굿에서는 관디차림과 도포차림을 구분하여 착용한다. 도포는 전통복 가운데 선비들이 주로 입는 옷으로, 관직이나 자신의 신분을 반영하는 의복이 아니라 선비로서의 교양과 수준을 나타내는 의복이었다. 이런 의복을 단일신을 모시고 기원하는 작은굿, [불도맞이](/topic/불도맞이), [칠성제](/topic/칠성제) 등에서 착용하였다. 도포를 입고 가슴에 띠를 묶어 늘어뜨리며 머리에 갓이나 고깔을 썼다.

6. 특수복 차림: 굿의 내용에 따라 분장이 필요한 경우에 착용한 복장을 말한다. 특히 제주굿에서는 본풀이의 내용에 따라 배역이 있어 그 역에 맞는 복장을 하였다. 예를 들어 [삼공본풀이](/topic/삼공본풀이)에서는 장님 거지 부부로 나오는 부모가 셋째딸 감은장아기가 개최한 거지잔치에 참가할 때 거지로 분장하는 경우가 있다. 또 염감놀이의 도채비나 악심꽃꺾음의 구삼싱할망이 종이 가면을 쓰고 그 역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밖에도 제주의 추는굿에서 영감신을 청하는 벨고 초감제에서 영감으로 분장하기 위해 가면을 쓰는 경우가 있다. 가면은 종이나 헝겊에 눈, 입 등의 부분을 뚫어 만들고 수염부분도 길게 늘인다. 가면 외에도 입에 담뱃대를 물고 손에 신불을 드는 모습으로 분장한다. 이렇게 분장하면 그 역을 맡은 사람의 성을 알 수 없는 것은 물론 익명성이나 신비감을 더해 영험함을 더 강조할 수 있다.

제주도의 무복은 본토의 복식과도 일맥상통한다. 특히 중부 이북에서 볼 수 있는 복장이나 각종 관복의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용상에서는 제주 특유의 환경에 맞는 복식으로 재정리하여 착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 특수복과 같은 역할을 좀 더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가면이나 복장을 역할에 맞게 분장해 입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진제주도 추는굿(국립문화재연구소) 도판 15 영감등장
참고문헌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장주근, 역락, 2001)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제주도무속논고 (진성기, 민속원, 2003)
제주도 추는굿 (고광민·강정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음악사학회남해안별신굿 장단 연구임수정2006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오구새남굿 전승계보와 장단연구박준식2009
제주굿 무복
64852
제주굿 무복
제주굿 무복
64851
제주굿 무복
제주굿 무복
64850
제주굿 무복
제주굿 무복
64849
제주굿 무복
제주굿 무복
64848
제주굿 무복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