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자운 사우
0
1289
2022.04.01 00:00
| 향토문화유적명 relicsNm | 윤자운 사우 |
|---|---|
| 문화유적지정번호 appnNo | 향토유적 제3호 |
| 향토문화유적구분 relicsKnd | 유형문화유적 |
| 향토문화유적종류 relicsSe | 건조물 |
| 소재지도로명주소 rdnmadr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남포방조제로 821-48 |
| 소재지지번주소 lnmadr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관당리 산37-1 |
| 위도 latitude | 36.24873937 |
| 경도 longitude | 126.5611925 |
| 지정일자 appnDate | 1991-12-10 |
| 소유주체구분 posesnSe | 사유 |
| 소유자명 ownerNm | 무송윤씨 |
| 규모 scale | 1동 |
| 조성시대 makePd | 조선 |
| 이미지정보 picInfo | |
| 향토문화유적소개 relicsIntrcn | 이 사우는 병조판서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문도공 윤회와 영의정을 지내고 무송부원군에 봉해진 문헌공 윤자운을 제향하는 사우이다. 원래 이 사우는 성종25년(1494)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홍죽리에 건립되었으나, 그 곳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괴학하여 관리가 부실해짐에 따라 1725년 웅천읍 소황리 지역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위패를 모셔다가 웅천 소황리에 재건립하였다. 그러니 소황리에 군사시설이 들어거면서 현 위치로 옮겨졌다. 이 문헌사는 현 위치에 옮겨지기 전까지만 해도 보령지역에서 가장 전통적인 사우 건축의 양식을 보존하고 있었지만 이전하면서 주초석만 옮겨왔을 뿐 나모지는 새로 만든 것들이다. 웅천 무송윤씨는 임지왜란 후 입향하여 지금까지 세거해 오고 있다. 종증에서 관리하고 제향한다. |
| 관리기관전화번호 phoneNumber | 041-930-6582 |
| 관리기관명 institutionNm | 충청남도 보령시청 |
| 데이터기준일자 referenceDate | 2022-04-01 |
ctprvnNm | 충청남도 |
sigunguNm | 보령시 |
sido | 34 |
sigungu | 34030 |
upmyundong | |
| 네이버 블로그 관련글 | |
|
Array ( [bo_table] => public_nvpc_cltur [page] => 295 [wr_id] => 159 )
|
|











